우리가 어떤 일을 하더라고 최선을 다하되, “혼신으로 노력했고 지긋지긋했다” 라는 경험은 피해야 한다. 대신 “호닌으로 노력했지만 좋았다” 라는 경험을 해야한다. 그래야 다시 혼신을 되풀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으로 중요한 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은 그 생활이 단순하다. 그들은 쓸데없는 일에 마음을 쓸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
지극히 현실에 순응하는 삶을 살면 그 순간은 편할지 모르지만 인생을 정리하는 단계에서는 후회를 하게 된다. 현실적인 어려움과 능력의 한계에 부딪히더라고 정말 중요한 주제, 그리고 꼭 해결해야 하는 주제를 선택해 최선을 다해 연구하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 이상 잘하기도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0배까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오랜기간 몰입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오랜 시간 생각햇는데 아무런 진전이 없으면 헛수고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이유로 오랜 시간 생각하기를 포기한다. 몰입도가 변화하는 것이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몰입도를 수치로 나타내면 좋다
잠이 든 상태의 ‘천재의 뇌’ 를 활용하려면 잠이 든 상태에서도 그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긍정적인 보상과 부정적인 보상이 유도하는 목적지향성은 우리 뇌가 작동하는 기본 메커니즘이다. 그러므로 몰입에 들어가려면 반드시(위기감을 활용하거나, 재미를 활용하거나)목적지향을 이용해야 한다. 다른 방법이 없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자율적으로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방법이 바로 ‘천천히 생각하기’다. 천천히 생각하기에 의해 몰입에 들어가는 것은 마음의 산책을 하는 것과 같아 심리적인 부담이 없고 습관이 되면 오히려 즐겁게 실천할 수 있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자율적으로 몰입도를 올리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몰입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다 한번쯤은 겪어보았던 상황들이었고, 몰입을 통해 한 경험으로 '이렇게 하면 더 좋은 결과가 나왔던 것 같은데?'라는 상황들이 실제로 그렇다고 말해주는 책이었다. 책을 보면서 중학교 때 성적오르는 것을 목표로 열심히 공부해서 오르는 성적을 보고 쉬는시간에도 계속 공부했던 경험, 고등학교 때 수학 1문제를 1시간 이상 풀어본 경험 등이 그랬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된 책이었고, 반면에 성인이되어서는 내스스로 시간을 계획하고 활용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몰입이라는 경험을 한 기억이 별로없어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제부터는 내가 좋아하는 일들을 찾고 몰입의 경험을 실제로 해보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회사나 집에서 어떤일을 할 때 생각은 별로 안하는 것 같은데 어떤 일이 주어졌을 때 생각하는 것을 귀찮아하지말고, 천천히라도 생각을 해보자!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나의 비전보드 뽑아서 책상에 붙이기
7/3일까지 책읽는 것에 몰입하고 독서의 재미 찾아보기
(처음엔 책처럼 책의 권수를 수치화로해서 흥미 찾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106p) 참으로 중요한 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은 그 생활이 단순하다. 그들은 쓸데없는 일에 마음을 쓸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