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4 – 김경문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문 저 /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025년 6월 25일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금리와부동산 #세대교체 #미래입지분석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 : 10점
『부동산 트렌드 2024』의 저자 김경문은 부동산 시장 분석가이자 전략가로서, 대한민국 부동산 흐름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예측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다수의 칼럼과 강연 활동, 유튜브 채널을 통해 현실적인 투자 전략과 거시경제 흐름 속 부동산 시장의 연계성을 설명해온 그는 이번 책을 통해 2024년을 기점으로 변화하는 시장 구조와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단순한 예측서가 아니라, 현장감 있는 분석과 미래 전략이 결합된 실전서로 평가받는다.
『부동산 트렌드 2024』는 팬데믹 이후 급변하는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중심으로, 금리 사이클, 세대별 주거 수요 변화, 인구구조 재편, 정책 흐름, 기술 발전 등의 요인이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상세히 다룬다.
저자는 특히 "금리의 시대가 바뀌었다"고 강조하며, 저금리의 시대가 끝났다는 점에서 부동산 시장의 수익 구조 또한 재정의돼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도권 중심의 수요 집중, 신축 아파트 프리미엄의 지속 여부, 지방 중소도시의 위기, 재건축·재개발 시장의 방향성, 임대차 시장의 전환기 등을 분석한다.
또한 MZ세대의 주거 패턴 변화와 이들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흥미롭게 조망하며, 단순히 입지만이 아닌 ‘거주의 질’을 중시하는 흐름으로 부동산 평가 기준이 달라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마지막에는 인공지능과 스마트시티 등 기술이 미래 도시 개발에 어떤 방향성을 제시할 것인지에 대한 전망도 덧붙인다.
나는 현재 수도권과 지방 부동산의 흐름을 분석하며 실거주 및 투자 전략을 수립 중인데, 이 책은 그러한 나의 목적에 매우 밀접하게 다가왔다. 특히 금리 인상의 장기화와 이에 따른 실수요자의 자금 조달 부담 문제, 이에 대응한 투자 전략을 저자의 논리로 풀어낸 점이 실용적이었다.
또한 시장을 단기 시세 위주로 보지 않고, 구조적인 시선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 점이 유용했다. 예컨대, 세대교체와 인구구조 변화는 내가 놓치고 있던 중장기 변수였는데, 이 책은 그것이 실제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데이터와 함께 설명해주었다.
결정적으로 이 책은 "지금 투자하지 마라" 혹은 "지금이 기회다"라는 단순한 메시지를 던지기보다는, 각자의 상황에 맞춘 선택지를 생각하게 만드는 구조라 실전 감각에 더욱 적합했다.
무엇보다 부동산은 "이제 입지보다 구조"라는 저자의 말이 깊이 남았다. 수도권이라는 큰 틀 안에서도 입지의 미세한 변별력이 강화되고 있고, 과거처럼 단순히 역세권이라는 이유만으로 프리미엄을 기대하기 어려운 시대가 왔다는 점에 공감했다.
또한, 인구감소와 세대 간 자산 격차, 세입자 중심의 주거 문화 확대 등의 흐름을 통해 이제 부동산은 "누가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수인 시장이 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 책은 시장을 단순히 ‘부동산 가격’이라는 2차 결과로 보지 않고, 그 뒤에 놓인 구조적 변수들을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앞으로의 전략 수립에 있어서도 단기 흐름보다는 근본적인 변화에 집중해야 함을 강조해주었다.
저자의 신중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문체는, 과도한 낙관론이나 공포마케팅 없이도 부동산을 냉정하게 볼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해주어 독자로서 신뢰가 갔다.
『인구 미래 공존』 – 조영태
이 책은 부동산 시장에서 자주 언급되는 인구 구조 변화에 대해 보다 심도 깊게 다룬다. 김경문 저자의 책이 부동산 중심의 시각에서 인구 변화를 해석한다면, 조영태 교수의 『인구 미래 공존』은 통계학자이자 인구학자의 시각에서 미래 사회 구조를 바라본다. 두 책을 함께 읽으면 현재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구조적 맥락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댓글
알롱초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