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목실감
25.06.30
A지역 단지분석 (완료) - 2시간
B지역 시세조사 (완료) - 3시간
그릿 독서 (완료) - 1시간
경제신문 읽기 (완료) - 30분
제 9장 다시 일어서는 자세 희망을 품어라
어떤일을 수행하는데 있어 누구나 난관을 마주한다.
그 상황에서 누구는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지고 행동하고 누구는 고정형 사고방식을 가지고 행동한다.
성장형 사고방식이란 마주한 난관에 대해서 비관하고 좌절하기 보다는 그 상황을 마주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식을 뜻하고 고정형 사고방식은 그 반대이다.
나는 지금까지 마주한 난관에서 어떻게 행동했나?
고정형 사고방식으로 행동한적도 물론 있었다.
하지만 현재의 나의 모습은 성장형이고 그 모습을 나의 모습으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좌절과 실패를 맛보더라도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말라” 이럴 때는 한걸음 물러나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말이 정말 와닿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진 그릿을 가진 아이로 성장하기 위해서 성장시키기 위해서 부모가, 부모가 아닌 다른 멘토가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습니다. 아직 아이가 있지 않지만 내가 어떻게 살아왔고 나의 부모님은 나를 어떻게 대했나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아이를 대할 때 온전한 사랑만으로 대하거나 엄격하게만 대하는 방식을 아이가 그릿을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어렵다고 합니다.
이 두가지를 적절히 섞으면 된다라는 말의 정의를 사례를 통해서 보여주는데 겉으로 보기에 엄격하기만한 부모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아이를 얼마나 사랑하고 그런 방식으로 대하고 있는지 알 수 있거 겉으로 보기에 사랑으로만 키우는 부모는 그 속에서 엄격한 기준을 정해 아이를 키우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해당 가정의 교육이 어떤방식으로 이뤄지고 있고 아이가 부모가 하는 교육방식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우리는 모르기 때문에 함부로 판단하면 안된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한가지 확실하게 알게된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지 못합니다.
어릴 때부터 부모나 주위 멘토에 의해 어렵고 힘든 상황을 마주하고 그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할 수 있게 환경을 마련해주는게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게 됐습니다. 저의 부모님이 저에게 그랬듯이..
해당 배움을 잃지 않고 기록하여 훗날 나의 자녀가 그릿을 터득할 수 있게 좋은 환경을 만들어줘야겠다 다짐하게 되었습니다.
감사일기
일주일의 하루를 의미있게 시작할 수 있어 감사합니다.
나와 같은 길을 가는 사람들이 옆에 있어 감사합니다.
여자친구 친구를 통해 더 많은 성공적인 사람들의 모임에 참석할 수 있게 되어 감사합니다.
댓글
내집받고하나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