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독모] 게으르게 살지만 부자는 되고 싶어

  • 25.07.01

 

 

 

✅ 도서 제목 - 게으르게 살지만 부자는 되고 싶어

저자 예프리는 경제 콘텐츠를 만드는 크리에이터로, 처음에는 계약직 월급 170만 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연봉 인상을 위한 노력, 저축, 주식 투자, 환테크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며 자산을 늘려왔다. 이 책은 저자가 직접 경험한 방식들을 바탕으로, 돈을 모으고 불리는 데 필요한 생각과 시스템을 정리한 내용이다.

 

 

✅ 가장 인상깊은 구절 1가지는 무엇인가요?

 

p.213 – “딱 만원부터 벌어보세요”

 

‘딱 만 원부터 벌어보라’는 문장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작은 것부터 시작하라는 의미이기도 하고, 막상 만 원을 직접 벌어보려 생각해보면 돈을 버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절감하게 된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 역시 결국은 돈을 벌기 위한 행위라는 사실을 다시 떠올리게 했고, 내가 목표로 삼은 금액을 생각하면 지금의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자각도 들었다. 

물론 ‘지금 하는 노력으로 부족하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그 노력이 기본 전제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지를 꾸준히 탐구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핵심 메시지 / 저자의 이야기

  • p.8 – “월급 말고 또 다른 부수익 파이프라인이 딱 한 개라도 있었더라면 내가 이렇게까지 스트레스 받지 않았을텐데”
  • p.21 – “저축에 실패한 자신에 자괴감을 느끼며 스스로를 다그치지 말라는 이야기를 해주고 싶다. 소중한 시간을 내 책을 펼쳤고 인생을 더 좋은 방향으로 바꾸고 싶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 칭찬받을 일이다.”
  • p.25 – “목표 쪼개기 스킬은 재무 계획 뿐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두루두루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 p.226 – “우리는 저마다 세상에 하고싶은 말들이 있다. 하지만 문제는 사람들이 너무 본인이 하고 싶은 말만 한다는 것이다. 내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자체가 좋으니 자연스레 대중들이 내말에 귀 기울여주고 따라줄거란 착각때문이다. 나의 스토리를 콘텐츠에 녹여내면 된다. 내가 걸어온 내 삶의 궤적은 그 누구도 흉내낼 수 없다. 이게 나만의 차별성이 된다.”

 

실행 / 적용 아이디어

  • p.58 – “실질금리, 실질 임금 계산해보기”
  • p.200 – “완벽한 이론을 갖추고 시작하는 재테크보단 일단 소액으로라도 먼저 투자해서 시행착오를 겪어나가는 투자가 훨씬 낫다. 기다리지 말고 일단 먼저 시도해 보는 습관을 가지길 바란다.”
  • p.213 – “딱 만원부터 벌어보세요”
  • p.229 – “비슷한 주제의 채널 3개를 찾아 잘하고 있는 점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차별화될 수 있는 나만의 강점은 무엇일지 생각해보세요”

 

✅ 책을 읽고 알게 된 점 또는 느낀 점

이 책이 특별히 새로운 재테크 이론이나 혁신적인 기법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많이 들어본 방식들

저축, 소액 투자, 목표 쪼개기, 콘텐츠 수익화 등의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이 책이 달랐던 점은, 저자가 말한 그대로 자신의 스토리를 담고 있다는 데 있었다.

저자는 왜 돈을 모으고 싶었는지, 그래서 어떤 시도를 해왔는지, 그중 무엇이 잘됐고 무엇이 실패했는지를 솔직하게 서술한다. 단순히 ‘요즘 다들 주식하니까 나도 했다’가 아니라, 본인의 상황과 가치관에 맞춰 판단하고 선택해온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한 팁을 넘어서, 다음 단계를 스스로 찾는 힘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해줬다.

이 책을 통해 얻은 가장 큰 배움은 결국 ‘방법’보다는 ‘태도’였다. 자신을 탓하지 않고, 작게 시작하며, 완벽하지 않아도 행동하는 자세. 그리고 결과보다는 과정을 점검하고, 자기만의 기준으로 삶을 설계하려는 태도. 이 점들이 책을 덮은 뒤에도 오래 남았다.


 

✅ 나에게 적용할 점

  • 실행하기
  • 229. > 단순하게 잘하는 사람을 따라하려는 BM이 아니라 어떤 점에서 잘하고 있는지 나한테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분석하면서 BM 하기

 

 

 

 

 


댓글


야유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