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중급반 45기 35조] 등기둥가 그릿 독서후기

  • 25.07.01

 

그릿(50만부 판매 기념 리커버 골드에디션) | 앤절라 더크워스 - 교보문고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그릿

2. 저자 및 출판사: 엔젤라 더크워스, 비즈니스 북스

3. 읽은 날짜: 2025.06.29

4. 총점 (10점 만점): 8점/10점

5. 위 점수를 준 이유 간략하게

 타고난 재능보다 지속하는 노력을 강조하는 내용이 배울 점이 있었음. 성취는 재능과 노력이 모두 어우러져야함을 배웠고 단순히 노력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닌 삶의 상위목표와 타인을 위한 삶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었음.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1. 그릿이란 무엇인가?]

#그릿 #재능 #노력

 능력이 부족해서기 보다, 절대 포기하지 않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 성공한 사람들은 회복력이 강하다. 자신이 원하는 바를 뚜렷하게 알고 있다. 그릿이 있다는 점이 차이가 있었음. 잠재력과 잠재력을 발휘하는 것은 차이가 있다. 재능을 발휘하기 위해선 그릿이 필요하다.

 성취는 재능과 노력의 곱이고 중요한 것은 노력은 제곱승이다. 흔히 천재를 두고 나와는 다른 사람으로 취급해서 정신적인 안정감을 얻기도 한다. 재능도 중요하지만 노력이 훨씬 더 중요하다. 맣은 사람들이 시작했던 일을 너무 빨리 자주 그만둔다. 꾸준히 루틴을 만들어서 묵묵히 실행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 상위 목표를 향해서 하위목표를 하나씩 수행해 나가야한다. 하위 목표는 중간목표로와 상위목표로 가는 활동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그릿을

 

[Chapter2.포기하지 않는 나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 가]

#천직 #몰입 #목적의식 #성장형 사고

 열정을 가지고 있을까? 자기가 하는 일이 삶 전체의 상위목표에 부합하고 그릿을 발휘할 수 있다고 자부할 수 있을까? 그러한 열정을 가지기 위해선 일단 꾸준히 시도해 봐야한다. 열정은 운명처럼 오징않는다. 자연스럽게 온다.

 그러한 열정을 발휘할 수 있는 대상이 정해졌다면 몰두해야한다. 질적으로 다른 연습을 해야한다. 단순히 취미처럼하는 것이 아닌 질적으로 의식하고 있는 연습을 해야한다. 몰입과 많이 비교되는 개념이지만, 질적으로 의식하고 그 일이 익숙해지면 몰입을 하게 된다고 판단됨.

 높은 목적의식이 있어야 한다. 타인의 행복에 기여하겠다는 의지가 중요하다. 목적의식을 가지기 위해서는 세가지 방법을 이야기한다. 첫번째는 목적에 대한 성찰, 두번째는 현재의 일에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주어서 핵심 가치와의 연관성을 증대시킬 방법, 세번째는 롤모델을 찾는 일임. 그리고 성장형 사고방식을 탑재하자.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내가 생업으로 몸 담고 있는 분야에서 내가 천직으로 느낀 적이 있었는지 계기가 되었고 투자공부를 하던, 생업을 하던 궁극적인 내 삶의 목표에 연관성이 있는 방향으로 틀어봐야겠다는 판단이 듬.

2.     사람들의 마음은 다 비슷하다. 눈부신 성과를 낸 사람들을 보면 그 사람의 노력과 지속적인 관심을 무시하고 단순히 저 사람은 재능이 있고 천재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생각을 한다. 나 또한 그렇게 생각했는 데, 돌아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음.

3.     자신만의 목표와 함께 이타심도 궁극적인 삶의 목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이 듬.

4.     태어날 아이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물려줄 수 있는 가장 큰 자산은 그릿이 아닐까 생각함.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나의 삶의 상위 목표를 설정하고 중간목표, 하위 목표를 설정하기

2.     목표를 달성하는 데 의식적인 노력을 하기.

3.     피드백을 받고 비난을 받는 것에 두려워하지 말기. 내가 잘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지 말고 지금 부족한 것 개선해야 할 부분에 더 몰입할 것.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068) 우리는 허영심과 자기애가 천재 숭배를 조장한다. 왜냐하면 천재를 마법적인 존재로 생각한다면 우리 자신과 비교하고 우리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p81) 많은 이들이 시작했던 일을 너무 빨리, 너무 자주 그만두는 듯하다. 어느 날 하루 기울이는 노력보다는 다음 날, 그다음 날도 눈을 드면 런닝머신 위에 올라갈 각오가 되어 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P. 168) 의식적인 연습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발전이 없는 거에요.


댓글


등기둥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