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장보고서-비교의 기반을 쌓아가고 있다는 마인드로, 그냥 한다!
비교는 본질적으로 최소 두 개 이상의 대상만 있으면 가능하다.
우리가 ‘잘했냐, 못했냐’를 따지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비교할 수 있는 지역이 충분히 확보되었는지이다.
너무 결과에만 마음쓰지 말고, 차근차근 비교의 기반을 쌓아가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단지임장-잘 하려고 하는 것이 아닌 쌓아간다는 생각으로 임하자.
익숙하지 않은 분야는 기억에 잘 안 남는 것이 당연하다.
강도와 방법의 문제로 집착하면 산으로 간다. 축적의 관점에서 고민해야한다.
잘 하는 것이 아닌 오래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한다.
매물임장은 최선의 단지를 선택할 수 있는 실력을 쌓기 위해 필요한 절차이다.
같은 단지라도 집 상태나 점유자 조건에 따라 투자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만큼 세심하게 들여다보는 게 중요하다.
매물을 보지 않고도 부동산 사장님과 소통도 할 수 있고, 같은 단지 내 매물을 비교하여 최선의 단지를 선택할 수 있는 실력을 쌓기 위해 필요한 절차이다.
공급물량 리스크의 범위, 영향권, 양면
공급물량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는 이사를 가게 되었을 때
직장, 학교 등의 기존 삶의 터전을 변화시키지 않고 충분히 감당가능한 지역까지이다.
서울 강남구에 공급이 많은 경우 동작구의 전세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대전 서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같은 논리로 대전 유성구에 공급이 많으면 대전 서구와 세종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부산 해우대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향후 대전 공급이 적정 수요량 대비 많아 공급이 부족한 지역에 비해 전세가 상승이 더딜 수 있지만 전세가격이 주춤하면 매매가격이 저렴한 기회가 많을 수 있다.(양면)
서울의 지역별 가치-수도권 단지의 가치 판단 프로세스
성장하는 방법:: 원하는 결과를 낸 사람들을 관찰하고 따라하며 벤치마킹한다.
“지금 하는 방법이나 방향이 잘못되었구나. 다른 방법으로 해야겠다!”
2.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때 하는 또 하나의 생각
“똑같은 방법으로 결과를 낸 사람들과 나의 차이가 무엇일까?”
“그 사람들은 어디에 있을까?”
댓글
리치풀마인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