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8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독서멘토, 독서리더

내 돈은 스스로 지키고 책임져야 한다는 사실을 절대 잊지 말도록 하자
ETF 선택시 꼭 체크해 봐야 할 6가지 기준
1. 운영 자산 규모는 크면 클수록 좋다. 자산규모가 최소 1B달러 이상 되는 ETF를 선택하자.
2. 하루 거래량은 최소 10만건 이상이 좋다. 미국은 자산운용사 판단하에 수지에 맞지 않거나 거래량이 적다고 판단되면 임의로 ETF를 상장폐지할 수 있다.
3. ETF 거래기간이 최소 5년이상이면 좋다. 그만큼 안정적인 상품이기 때문이다.
4. 규모가 큰 자산운용사를 선택하면 좋다. (Black Rock, Vanguard, State Street 등)
5. 운용보수율이 비싸지 않은지 체크하자. 보통 0.6%가 넘으면 비싸다고 여긴다.
6. ETF의 자산 구성 내역 확인은 필수다. 아무리 자산운용사가 알아서 투자해 준다고 하더라도, 어떤 기업에 투자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배당주 투자의 장점
1. 꾸준한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2.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3. 시세차익 효과도 누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어떤 배당주를 선택할까?
- 5년 이상 배당금을 지급한 기업 : 배당 블루칩 / 10년 이상은 배당 챔피언 / 25년 이상은 배당 귀족 / 50년 이상은 배당 킹 (ex. 월마트, 존슨앤드존슨, 킴벌리클라크, 코카콜라, 3M, 펩시)
- 최소 10년 이상 배당금을 지급하였고 삭감 이력이 없는 기업들
- 고배당주라고 해서 혹하지 말자.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기에 상대적으로 배당률이 올라간 것일 수도 있다.
ETF 수수료 확인 방법
1.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접속하기 (https://dis.kofia.or.kr)
2. 오른쪽 상단 위 전체메뉴 클릭
3. 펀드 보수 및 비용 항목에서 펀드별 보수비용 비교 클릭
4. 펀드명에 ‘미래에셋TIGER미국나스닥100(또는 원하는 ETF명)’을 입력하고 검색
5. 해당 펀드를 찾아서 보수율, 기타비용, 판매수수료, 매매/중개수수료율을 모두 더한 값인 총운용수수료 확인
국민연금 금액 확인하기
1.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접속 - 금융소비자보호 메뉴 선택 - 통합 연금 포털의 ‘내 연금조회 재무 설계’ 선택
2. 국민연금 ‘계약상세’ 버튼 클릭
3. 이때까지 쌓인 국민연금 확인
ISA에서 인도에 투자하기
<이유>
1. 분산투자 효과를 누리기 위함이다.
2. 높은 수익률 때문이다. 최근 5년동안 미국 증시보다 인도 시장 수익률이 더 높았다.
3. 계속 성장하고 있는 GDP성장률이 인상적이다.
4. 젊은 인구다.
- 생산 가능 인구 2024년 인도 14억2800만명, 중국 14억2500만명
- 중위연령(인구 분포상 한 가운데 연령) : 인도 28세, 중국 42.7세, 미국 39.7세, 베트남 35.6세
<투자방법>
1. 인도 니프티(Nifty) 50 : 인도 거래소에 상장한 기업 중 규모가 크고 유동성이 풍부한 우량주 50개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
환테크의 장점
1. 쉬운 투자 난이도
2. 어디서든 투자 가능
3. 소액 투자도 가능
4. 세금을 내지 않는 투자
5. 상방 하방이 막혀 있는 재테크
환테크의 단점
1. 소소한 수익률
2. 인내심 - 워낙 다양한 이해 관계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환율이 언제 오를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투자로 자산을 불리려면 투자금액, 투자기간, 수익률 이라는 세 변수 중 최소 하나 이상의 값을 높여야 한다.
(투자금액 X 투자기간 X 수익률 = 수익금액)
연예인이 아닌 일반인이 가장 빠르게 자신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SNS를 통한 퍼스널 브랜딩’이라 생각한다. 나를 적극적으로 세상에 알릴수록 생각지 못한 기회가 더 많이 생겨난다
1.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와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는 이야기의 ‘교집합’을 먼저 찾자.
2. 이 교집합을 잘 찾았다면 내 주제에 나만의 ‘스토리’를 입히는 작업을 꼭 하도록 하자. - 남들은 할 수 없는 내 이야기를 하는 것 자체가 퍼스널 브랜딩의 시작이다.
재테크의 시작부터 차근차근 설명되어 있는 책인 것 같다. 놓치기 쉬운 기본부터 하나 하나 실천해 봐야 겠다.
댓글
수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