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부동산 기초 챌린지] 전고점 이상 호가 아파트 매수여부

  • 25.07.17

안녕하세요 너나위님 소중한 시간내주셔서 만들어주신 강의와 챌린지 감사합니다. 질문 기회 주신 점 가슴 깊히 감사드립니다.

 

질문 드립니다. 매도인이 가격협상에 응하지 않아 매도가격이 전고점보다 높으면 다른 물건을 알아보는 것이 맞겠지요?

 

저는 현재 무주택자로 올해 10월 전세만기 시점에 맞춰 실거주 목적으로 마포구 염리상록 아파트를 매수하려합니다. 지금 예산은 대출금 3억원 포함 10억원입니다. 전고점이 9.9억이고 최근(6월) 실거래가 중 제일 높은 가격은 9.6억원입니다. 마포구의 상당수 아파트는 이미 전고점을 돌파했는데 해당 단지만 아직 전고점을 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전고점을 돌파한 단지는 일단 거르라는 말씀은 월부에서 들었습니다.

 

6.27 정책 발표전까지 매물이 없다가 최근 2주 사이에 매물이 올라왔습니다. 그리고 하나같이 매도호가 11억원(24평)/10억원(21평)으로 전고점보다 높은 가격입니다. 

 

전임을 해보니 일단 가격협상은 어렵다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매도인 대부분이 지금 사는 곳보다 더 상급지 이동을 위해 대출로 자금을 조달하려는 계획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6.27 정책으로 대출한도가 제한되는 바람에 매도인들은 지금 보유한 아파트 매도를 통해 자신들이 갈아타려는 상급지 소재 아파트 매수비용을 충당하려고 한답니다.

 

현재 매도호가에서 가격 협상이 불가능하다면 신고가로 해당단지 물건을 매수하는 당사자가 되기보다 다른 지역(영등포 경남아너스빌, 삼성래미안 등) 의 후보 물건을 매수해야 맞겠지요?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제이든Juser-level-chip
25. 07. 17. 13:11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월부에서 공부한지 3년차 투자자가 된 제이든J입니다. 너나위님은 아니지만 저의 의견을 조심스레 달아봅니다. 실거주 or 투자 두 가지 관점은 조금 다르게 접근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투자는 저의 직장 위치, 저의 선호요소(연식, 역세권 등)이 중요한 것 보다 제가 투자 할 수 있는 것 중에 가장 가치가 높은 것(수요가 많은 단지)에 투자한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거주를 한다면 나의 선호요소, 직장과의 거리도 어느정도는 고려대상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미래를 예측 할 수는 없지만, 전고점을 넘긴 단지는 특히 많이 넘긴 단지는 그만큼 떨어질 수도 있는 여지가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해당 단지의 매수가 정말 무리가 되지 않는다면 저는 고려 해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선택의 문제일 것 같네요 "내가 살 수 있는 것 중에 가장 좋은 단지를 산다" 이게 지금 시장에서도 유효한 것이 아닌가 싶어요. 말씀주신 것 처럼 마포구 염리상록에 너무 살고 싶은데, 더 떨어질까봐 걱정된다거나, 영등포 경남아너스빌, 삼성래미안 같은 단지 전고점을 뚫지는 않았지만, 실제 내가 거주하고 싶은 것보다 마음에 들지 않다거나. 정리를 한번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장단점을 저의 관점으로 정리해볼것 같습니다. 아래는 예시인데, 생각나는대로 한번 써본거에요 1. 염리상록 매수시 1) 장점 : - 내가 원하는 곳에 거주할 수 있다. 만족도 있음 - 어쩌면 지금 이 가격이 다시 못 오는 가격일수도 있다 2) 단점 : - 가격이 떨어지면 마음이 아프다. -> 하지만 10년 그 이상 보유할 것이라면 문제 없지 않을까요? - 무리해서 샀다면 대출이자 감당 불가할 시 매도를 해야한다. 2. 영등포 단지 매수시 1) 장점 : - 전고점 이전에 사서 안심이 된다. 싸게 산 것 같고 더 많이 오를 것 같다. 2) 단점 등등 ---------- 실제 거래가 되지는 않는데 매도호가는 높게 올려놓은 형국이더라구요. 이건 강남, 송파 등 상급지도 마찬가지라서 갈아타고 싶은 매도자들 역시 호가를 높게 부르는 것 같습니다. 이것 역시 선택의 문제이지만, 지금 무리되지 않는다면 산다거나 혹은 조금 더 기다려 보면서 타겟 단지들을 임장해나갈 것 같습니다. 임장을 해보면 지금 당장의 돈이 급한 사람은 없기에 버텨보는 분위기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다가 거래가 끊기고 누군가 돈이 급한 상황이 오게 되면 그때 가격을 낮춰서 매도하는 물건이 생길 것 같아요. 미래를 예상 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떻게 하는게 좋겠다 확실하게 말씀드리기는 어렵네요. 다만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해, 나의 마음, 혹은 이 매수를 왜 해야하는지 그에 따른 편익과 기회비용은 무엇인지를 정리해보시면 좀 더 말끔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월현일천님 응원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