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임장으로 하나되는! 우린 그런 42다!_리프로] 2주차 강의후기

  • 25.07.18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2주차 잔쟈니님의 창원시 지역분석 강의를 듣고 

후기를 올립니다.

 

통합창원시에 대해 새롭게 알게된 점

 - 지리적으로 부산 좌측에 위치하고 있고 바다를 끼고 있음

 - 창원시 + 마산시 + 진해시 = 통합창원시(인구 100만)

 - 국가산업단지가 있는 제조업 중심 도시

 

□  통합창원시 입지분석

 - 직장 : 창원국가산업단지가 있으며, 대기업(효성중공업, 세아제강, STX엔진, LG전자, 

             현대위아, 현대모비스, 한국지엠, 현대로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이 다수

 - 학군 : 성산구 반송동과 용지동 사이, 절대적 요인은 아님

 - 환경 : 창원시 > 마산시 > 진해시 

 - 공급 : 26년부터 공급물량 부족 시작

 - 교통 : 창원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자차 이동, 출퇴근시간 러시아위

 

강의를 듣고 느낀점

 수도권과 지방 입지분석시 접근 방식이 다르다

 

 수도권은 지하철(교통)을 중심으로 가까울수록 입지가 강하고 멀어질수록 약해지면서

 가격에 반영이 되고, 입지 강한 곳 가격이 오르면 주변까지 퍼져나가는 모습을 보이지만,

 

 지방은 해당지역 거주민의 선호도가 중요하다. 학군이 우선인 곳, 직주근접이 우선인 곳,

 부촌지역이 우선인 곳, 환경(바다, 상권, 연식 등)이 우선인 곳, 여러 요인이 복합적인 곳 등등

 선호요인이 혼재되어 파악하기가 어렵다

 

 즉, 수도권은 땅의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장기투자관점에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농부가 씨앗을 뿌린 다는 마음으로 투자를 해야하지만, 

 

 지방은 지역 선호지역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시로 변화할 수 있어서 단기접근이 필요하고

 그래서 어부가 물고기가 지나는 길목에 그물을 던지듯이 투자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 적용할 점

 - 2~3주차 단지임장시 ‘거주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연령대, 회사는 어디이고, 어느학교를 다느며, 출퇴근은 어떻게하고, 쇼핑은 어디서하고,

    주말은 무엇을 하며 보내는지 등등)

 - 대구 달서구 투자대상 우선순위 10곳 선정하고 비교평가하기


댓글


리프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