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마머미]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 독서후기

  • 25.08.05

 

텍스트, 인간의 얼굴, 의류, 포스터이(가) 표시된 사진

AI 생성 콘텐츠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

2. 저자 및 출판사: 오건영

3. 읽은 날짜: 2025.07.07 ~ 2025.07.18

4. 총점 (10점 만점): 7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이 무엇인지 아주 기초적인 것부터 알기쉽게 설명을 해주는데,

특히 경제 이벤트에 맞춰(코로나19 같은) 연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쉽게 알려준다.

경제학 기본서인 멘큐의 경제학보다 설명이 쉽게 잘 된 책 인 것 같다.

인플레이션이 뭔데 싶으신 분들은 읽어보면 정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후반부에는 코로나19 인플레이션 발생하던 상황에서

어떻게 투자를 하면 좋을지에 대한 이야기인데, 주식,채권,현물 등과 같은 투자이야기라 조금 집중도가 떨어졌지만

그래도 투자자의 관점에서 적용시킬 점을 찾아보며 읽어보려고 했다.

 

[Chapter3. 11장. 분산투자, 그 참을 수 없는 지루함]

#자산분산 #종목분산 #통화분산 #시점분산

 분산 효과를 키워주는 ‘4가지 분산 투자’라는 콘셉트를 제안해봅니다.

 첫 번째는 앞에서 설명한 자산의 분산입니다. 주식, 채권, 원자재 등의 자산 하나만을 투자하지 않고 여러 자산에 고르게 분산 투자를 하는 방법이죠. 주식 하나만 보유했을 때보다는 주식과 채권을 함께 가지고 있을 때, 그리고 원자재까지 함께 투자하고 있을 때 분산 투자의 효과가 커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지역, 섹터 및 종목의 분산입니다. 주식 투자라고는 하지만 주식에는 참 많은 종류가 있죠. 미국 주식, 국내 주식, 신흥국 주식, 선진국 주식, 아시아 주식 등 정말 다양한 분류가 존재합니다. 지역별로, 국가별로 서로 다른 성과를 내는 만큼 다양한 지역 및 국가에 위험을 분산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런 지역 분산은 주식에만 해당되는 건 아닙니다. 채권 역시도 선진국 채권과 신흥국 채권 등으로 나뉘고, 국가나 지역별로 서로 다른 금리를 주고, 서로 다른 성과를 내곤 합니다.

 세 번째는 통화의 분산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투자를 할 때 한국 원화로 된 주식이나 채권 투자를 생각하죠. 다른 나라 통화로 투자한다는 생각 자체를 하지 못하곤 합니다. 그렇지만 한국 자체의 리스크가 불거졌을 때에는 원화 표시 자산 전체도 크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원화 표시 자산 전체를 살펴봐도 답을 찾을 수 없다면 다른 나라 통화 표시 자산에도 눈을 돌려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앞서 말했던 궁극의 안전 자산인 달러고, 위기 국면에서 항상 다른 통화보다 강한 움직임을 보이는 엔화나 스위스 프랑 등도 이런 통화 분산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통화 분산 자체가 다소 생소한 개념이고 일반 투자자들이 엔화, 스위스 프랑 등을 투자하는 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닌 만큼 한국 원화에만 쏠려 있는 포트폴리오에 달러를 포함해서 분산을 해보는 정도를 추천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점 분산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안한 자산, 지역 및 종목, 그리고 통화 분산은 어느 한 순간을 보면서 그 순간에 자산을 어떤 식으로 분산하면 좋을지에 대한 얘기입니다. 그런데 이런 각각의 분산 투자의 성과는 순간순간마다 다 달라지곤 하죠. 호황 국면에는 신흥국 주식이 좋다가 인플레이션 국면에서는 원자재가 좋죠. 그리고 위기 국면에서는 달러가 활약하곤 합니다. 시기에 따라서 각 자산들의 기여도가 계속해서 바뀌게 되죠. 그럼 어느 시점에 투자를 했는지에 따라 포트폴리오 성과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도 합니다. 자산, 지역 및 종목, 통화 분산을 통해 만들어낸 투자 포트폴리오 역시 어느 시점에 진행되었는지에 따라 상당한 성과 차이가 나타날 수 있죠. 그럼 당연히 베스트 투자 타이밍을 찾고 싶겠죠. 그런데 아쉽게도 이건 신의 영역입니다. 최저점에 투자해서 최고점에 나오고 싶은 마음은 투자자 누구에게나 있겠죠. 그걸 모르기 때문에 시점을 조금씩 나누어서 투자를 하는 겁니다. 다양한 자산이 버무려는 혼합 투자 포트폴리오를 매월. 매분기 조금씩 나누어 투자하는 방법, 이런 걸 시점 분산 투자라고 합니다. 보다 친숙한 표현으로는 ‘적립식 투자’ 혹은 ‘분할 매수’라고도 합니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지금 현재의 경제 환경에 집중하기보다는 지금의 환경이 바뀔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유연한 투자를 해야한다. 거시경제 환경 변화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지금 경제 환경이 계속될 것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앞으로의 시나리오를 감안하여 투자해야 한다. 한동안 급격히 상승했던 서울 상급지가 계속 상승하지 않고 잠시 주줌하는 것처럼, 이 주춤하는 시장이 또 계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걸 꼭 생각하고 실력을 끌어올리자.
2. 세계 경제가 무탈하게 돌아갔던 적은 없다. 이 파고 속에서 살아남아야 역경 뒤에 찾아오는 경제 발전의 과실을 함께 누릴 수 있다. 투자하고 오래 시장에 남아야 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경제기사 꾸준히 읽고 시장의 변화에 둔감해지지 말자.
2. 어려움 속에서도 투자를 해야 결실을 맺을 수 있다. 규제를 두려워하지 말자.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399) 역경 뒤에 찾아오는 과실을 함께 누립시다.

 


댓글


띠아띠아해
25. 08. 05. 01:50

마머미님 대단하셔요! 또 배웁니다👍👍

쿳쥐
25. 08. 05. 04:50

과실을 함께 누립시다. 책 속의 한 줄 찾아내는거 안하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네요...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