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월300 포트폴리오 완성반 강의를 들으며 2주차 관련 궁금한 부분들이 많아 질문을 남기게 됩니다.
도움 주실 수 있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ref 11p) ISA 3년 만기 후 예시로 4200만원을 연금저축 계좌로 이전하려는 경우 세액 공제 받는 금액 300만원 / 세액 공제 받지 않은 3900만원은 자유롭게 인출하려는 경우, ISA계좌 만기 금액을 연금 저축 계좌 이전을 위해 ISA계좌 주식을 팔고 현금성 자산으로 소유한 뒤 이전해야 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이때 이전하는 연금저축 계좌를 세액공제 받는용 / 받지 않는용 2개로 생성하고 2개의 계좌에 각각 300 / 3900을 나눠서 계좌 이체하듯이 이전이 가능한 걸까요? 혹은 이전할 경우 무조건 한 계좌로만 이전 할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위의 질문에 꼬리 질문입니다. 만약 연금 저축 계좌로 이전 시 세액 공제를 받지 않고 4200만원을 모두 세액공제 받지 않는 않는 원금으로 활용하려는 경우, 내가 만든 세액 공제 받지 않는 계좌에 4200만원을 모두 이전한 뒤 추후 인출 할때 증권사에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금액을 인출하는 것에 대해 문의 하면 되는 걸까요?
(ref 20p)수업에서 알려준 IRP가 적립형 IRP계좌이면 연금 저축 계좌 수업에서 알려주신 연금 수령 한도(기준금액 1500만원)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연금계좌의 평가액은 개인연금저축계좌 + IRP 모든 금액을 합한게 연금계좌의 평가액이 되는게 맞을까요?
(ref 23p)IRP계좌에서 수업 때 알려주신 편입하기 합리적인 주요 안전 자산들 중 주식과 채권의 투자 비중이 나눠져 있는 것들이 있는 경우 주식의 비중이 70%정도 있는 것 상관없이 그 자산 자체가 안전 자산으로 통해지기에 IRP내에서 예를 들어 S&P500 ETF 70% / 안전자산(주식 비중 70% / 채권 30%) 30% 이렇게 투자함으로써 절대적 주식 투자 비중을 높일 수 있다 라고 이해하면 되는게 맞을까요?
(ref 44P) 세액 공제 활용하지 않는 직장인+전업 부부 관련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직투 계좌]를 우선 납입 후 2. [ISA 계좌]를 납입하고 3. [남은 금액에 대해서 선택에 따라 금액 납부]를 하면 된다는 것은 이해 했는데, 이 경우 세액 공제를 활용한 경우와 달리 2. [ISA 계좌 납입]을 남편이나 주부 둘 중 한명만 납입 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예시로 들어주신 금액을 계산해봤을 때 3. [남은 금액에 대해 선택에 따라 급액 납부] 하는 것에서 175 / 155가 나오려면 2. [ISA 계좌 납입]을 남편이나 아내 중 한명만 해야 나오는 차액 금액이 아닌가 해서요. 제가 계산을 잘못 하고 있는것 이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유쾌한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