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로버트 기요사키 지음]
두려움의 대상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면 인생이 바뀐다.
* 실수를 두려워 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
-P115 부자 아버지는 실수를 굉장히 존중했고 가끔 이런 말씀을 하셨다. “신께서는 실수를 통해 너에게 말을 건낸다. 실수란 ‘정신 차리고 일어나 여기에 네가 배워야 할 일이 생겼어.’라는 뜻이거든. "
-P117 나는 실패한 것이 아니다. 나는 단지 작동하지 않는 1만 가지 방법을 찾았을 뿐이다.
*사분면을 바꾸기 위해 필요한 것들(P130)
1. 영적 지능 - 당신 안에 더 위대한 사람, 꿈을 이룰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아는 힘이다.
2. 정신적 지능 - 배울 수 있는 지식과 능력
3. 감정적 지능 - 실수로 부터 배우는 능력(벽: 두려움)
4. 신체적 지능 - 실행력, 연습, 신체적 지능이 지배적인 지능이라는 점을 명심하라!
*분산투자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P149 분산 투자는 무지에 대비한 보호 수단이다.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면 굳이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
*재무제표의 중요성
-재무제표는 금융 문해력의 핵심이며, 재무제표는 학교를 졸업한 이후의 성적표
-손익계산서(수입/지출), 대차대조표(자산/부채)로 이루어짐
-부자는 소득보다 자산에 더 집중하고 부채를 사용하여 자산을 획득하고 키운다.
-자산은 일을 하든 하지 않든 주머니에 돈을 넣어 준다. (현금 유입)
-부채는 비록 그 가치가 올라가더라도 주머니에서 돈을 빼 간다. (현금유출)
-순자산: 자산과 부채의 차이, 즉 현금 유입과 유출의 차이를 순자산(재산)이라고 함.
-주요 용어: 수입, 지출, 자산, 부채, 현금, 흐름 이해하기
*진정한 금융 교육이란 무엇인가?
-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면 꼭 그렇게 무서워 할 것도 아니다.
- 진정한 금융 교육은 부채와 세금이라는 동전의 이면을 살펴야 한다. 부채와 세금은 진정한 금융 교육의 핵심이다.
- 돈은 언어다. 부자가 되는 법을 배운다는 것은 외국어를 배우는 것과 굉장히 비슷하다. 시간, 연습, 그리고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세 가지 소득의 구분
-일반소득: 돈을 위해 일할 때 발생 (세율 40%)
-투자 소득: 자본 이득으로 낮은 가격에 매수하고 높은 가격에 매도할 때 발생 (세율 20%)
-수동적 소득: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임대 소득) (세율 0%)
*좋은 부채란 다른 사람이 대신 갚아주는 부채
-부채에서 나오는 유령 소득: 돈을 벌기 위해 일하고 그 돈에 붙은 세금을 내면서 저축하는 대신에 ‘돈을 빌려서 절약한 시간과 돈’이다.
-자산가치 상승은 유령 소득이다. 자산가치 상승은 부채가 되어 유령 소득으로 세금 납부 없이 우리 주머니로 들어온다.
*진정한 교육이란?
-영감(영혼에 감동을 선사)을 주어야 하며, 용기를 북돋워야 하며, 실질적으로 행동하도록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 또한 깨달음을 통해 학생의 마음을 열어 이 세상의 경이로움에 눈뜨게 하고 평생 배우는 사람이 되도록 해야 한다.
-학생들은 대부분 금융에 문맹인 채로 학교를 떠나며 고학력이지만 금융에는 문맹인 지도자들이 이끄는 세상이야말로 우리가 치러야 할 가장 큰 비용이다.
*무작정 돈을 저축하거나 주식 시장에 장기 투자하거나, 재정적 안정을 위해 정부 연금에 의존하는 일은 미래에는 재정적인 자살행위가 될 것이다.
사분면 중 전형적인 E(봉급생활자)인 나, 플랜 B가 있는가?
-구시대적 조언 “학교에 다니고, 일자리를 구하고, 돈을 저축하고, 빚에서 벗어나고, 주식 시장에 장기투자해야 한다. ”를 바탕으로 성장하였으며 그렇게 살아온 나에게 이제 플랜 B가 필요하지 않을까? 이를 위한 계속적인 공부와 실행이 필요한 때이다.
-사분면을 변화하기 위한 네 가지 지능을 키워나가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P179쪽의 그림은 내게 큰 충격을 주었다. 부채는 나쁜 것이라는 편견이 아니라 부채를 영리하게 활용함으로써 착하지만 포커판의 봉이 되지 말아야 하겠다.
3. 국가는 필요에 따라 돈을 계속적으로 찍어내고 있으며 이에 따른 통화량의 증가와 자산 가치의 하락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의 재정적인 자살행위는 하지 않아야 겠다는 생각을 한다.
4. 나는 금융 문해력을 가지고 있는가? 돈이라는 언어를 이해하고 있는가?
-금융 문해력을 키우고 실행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자녀들에게도 금융 문해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겠다.
댓글
행복샤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