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비슷한 급지의 A지역과 B지역을 한번에 비교해 주니 이해가 쉽게 되어 좋았다.
서투기에서는 A지역이 임장지이다. 장안생활권에 대해 우선순위를 분류할 세대당 인구수, 초등 학급당 학생수, 실거주시 쾌적성 등 생활권 순위를 보고 생활권 우선순위를 분류했었다. 그런데 프메퍼님은 업무접근성이 좋은 교통 즉 입지가치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장안생활권의 우선순위가 다른 점이 인상깊었다.
너나위님이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에서 미래 호재가 불확실성이 있으므로 현재 가치의 저평가로 투자를 하라고 했었다. 프메퍼님 강의를 들으면서도 교통호재와 청량리 뉴타운 예정에 너무 높은 가치를 부여했구나 하는 반성을 했다.
이전 실준반 임장지 동작구는 내가 오래 살았던 지역이라 생활권 우선순위를 나누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실준반 강의에 나왔던 강서구 생활권 우선순위는 권유디님이 알려주신대로 ‘ 생활권이 저렇게 되구나 ’ 하고 그대로 받아들였다. 실제 분임을 했을 때 생활권 우선순위는 바뀌지 않았다.
A생활권 우선순위가 프메퍼님과 달랐을 때 든 생각은 첫째, 투자를 오래하고, 성공한 투자자는 저렇게 생활권 우선순위를 분류하네 였고, 두번째는 불투명한 미래 호재에 현재 시점에서 너무 많은 가치를 부여했구나 하는 반성 세번째는 나처럼 생활권을 나누었을 때, 투자한다면 잃는 투자를 하는 걸까 하는 점이었다.
3강 후 적용할 점은 시세트레킹시 전세 트레킹도 같이 하기, B지역 분임, 단임 하여 앞마당 늘리기, 답은 현장에 있으므로 전임, 매임하기 , 강의 안에 있지만 주어지지 않는 양식(시세트레킹 양식 등) 만들어 사용해 보기이다.
1호기 투자를 위해 비교평가할 앞마당을 만들어 보자. 할 수 있다. 화이팅!!!
댓글
실행하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