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1강을 수강하며, 투자기준을 구체화하고 정리하는데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내가 돈이 없는 소액투자자라도 성급하게 들어가지 말고, 싼 시기에 제일 좋은 단지를 반드시 찾아야 한다.
3사분면보다 2사분면에 있는 상품을 찾아서 투자하자.
좋은땅, 좋은단지, 좋지 않은 땅, 좋지 않은 단지의 기준을 가지고 4분면으로 나누어 내가 투자하려는 단지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기에 너무 좋은 툴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3사분면(좋지 않은 땅, 좋지 않은 단지)
막연하게 네이버부동산만 펼쳐놓고 내가 가진 투자금으로 뭘 할 수 있지만 찾아봤을 때,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영역의 상품들입니다. 서울외곽 구축에 해당하는 단지들이죠.(비선호까지는 아니지만 덜 선호하는 곳들입니다.)
기존 저의 짧은 생각으로는 해당 단지들도 투자기준에만 들어오면 일단 사서 보유하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2사분면(좋지 않은 땅, 좋은 단지)의 존재에 대한 고민이 없이요.]
그러나, 해당 단지들을 급하게 투자 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Why?
내가 투자할 수 있게 오래 기다려주는 단지들이라는 사실을 알았거든요!
이런 곳들의 특징은 가수요(투자자)가 쉽게 끼지 않는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투자자들이 최우선으로 선택할 일이 없습니다.
내가 가진 돈으로 최고의 투자를 하고 싶은 빼꼼이(?) 투자자들이 이런단지를 가장 처음으로 접근할까요?
아니라는 확신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내가 투자금이 적은 소액투자자라도 2사분면(좋지 않은 땅의 좋은 단지)의 놓인 단지를 알아볼 수 있어야합니다.
전세가가 더 빨리 오르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니깐요.
저도 전세를 구할 때, 이런 플로우를 많이 탔습니다.
지역이 안좋아도.. 새아파트는 가자..
꼭 이 부분을 정리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2,3사분면에 놓인 단지들은 수도권 시장전체에 전세가율이 최대로 오르는 시기에 정리하고 갈아타야 하는 상품이라는 점을 확실히 인지했습니다.
Why?
하락에서 상승으로 막 전환하려는 시장에서는 2,3사분면의 상품들이 접근하기는 좋지만
이런 땅에 놓인 단지들은 상승장에서 매매가가 덜 오르고 늦게 오른다는 사실을 꼭 알아야한다.
구로구의 상품이 마포구의 상품보다 더 빨리 많이 오를 수 없다.
그럼 마포구를 처음부터 사면 되지 않냐구요?
돈이 없습니다. 돈이..
그래서!
전체적으로 시장이 쌀 때, 구로구 물건을 사고 매매가가 일부 올라오면 매도해서, 여기에 내 종잣돈과 합쳐 마포구로 들어가야한다는 겁니다. 아 완전 감사합니다. 자모님.. 너무 이해가 됐습니다.
(혹시 잘 못 이해하고 있는건 아니겠죠..)
마포구에 들어갈 그 시기에! 전세가가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에 이 때 갈아탄다면 향 후 상승장 끝에서 더 큰 돈을 벌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물론, 상급지의 가장 선호하는 단지들은 그 기회를 오래 주지는 않습니다.)
위에서 정리한 부분을 과거 시장으로 비교해보면, 그 시기가 2012~2021년이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2012년 초기에 구로구로 접근해, 2016년에 마포구로 이동하는 시나리오 그리고 2021년에 큰 시세차익을 본다.' 그리고 지금 2023년 시즌이 2012시즌과 닮아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결론
돈이 없는 지금 저는 2,3사분면 상품에 집중하려합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 벌어질 일에 대해서도 잘 알고 투자하려 합니다.
1강은 정말 저에게 소중한 강의였습니다.
다시 한번 명강사 자모님께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댓글
넝쿨넝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