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성과=실력x열정

        실력=재능x노력(누적시간) 1만 시간의 법칙 - 1000시간, 주당 20시간 데일리 루틴 정하기

 

평일 3시간x5일=15시간, 주말에 5시간은 투자 공부 하기

 

COMFORT ZONE→FEAR ZONE→LEARNING ZONE→GROWTH ZONE

 

반드시 공포의 단계에 진입하게 될 것이다. 그 위기를 잘 넘어가면 성장 할 수 있다.

 

부동산 투자의 숲과 나무

장기(숲)

단기(나무)

물가-부동산은 실 사용재이기 때문

통화량

경기-경기가 상승하면 집값도 상승

수요(입지)- 직장, 교통

입지독점성- 주변에 땅이 없음

가격저평가여부

(가치>가격)

매수(매도)심리

입주물량(공급)

투자기준

부동산 가격은 오를 것인가?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는 자급력이 있다.

장기: 물가

단가: 입 주물량, 전세 대출 금리, 전세 대출 규제 평균적으로 전세는 5년 상승, 3년 보합, 2년 하락

                                              위기: 전세 놓기 어려움

                                              기회: 전세입자 못 구해 매물로 나옴

 

1970년 근로자 월 평균 소득→251배→6,509,450원

1971년 여의도 시범 18평의 가격→704배→ 18억

 

근로 소득 오르는 비율< 자본 소득 오른 비율

 

아파트 건설원가= 재료비+노무비+경기(식비…)+토지

 

통화량은 왜 느는가? 경상수지 990.4억 달러(약대 2위)- 삼성 전자, 하이닉스- 우리나라로 돈이 쏟아져 들어오고 있음.

 

부동산 투자의 기준(전세가 변동률)

오를 요인- 입주물량 적음, 전세가 변동률 낮음

내릴 요인- 전세 대출 3억

평균보다 전세가가 더 올라갔을 때에는 역전세 맞을 확률이 높다.

은행 마진은 예/대 마진으로 됨, 대출 규제를 계속하면 은행이 망하고 은행이 망하면 나라가 망함

 

부동산 투자의 기준(수요와 공급)

멸실- 서울 노후화 된 건물이 많다

사용

신규- 자녀가 독립하면서 새로운 집이 필요해진다

입주물량이 많으면 전세가 잘 안나갈 수도 있다. 부동산 지인, 호갱노노로 꼭 확인(계약 3개월전 후 입주물량 확인)

 

투자 VS 투기

투기꾼투자자

가격, 감정에 따라 투자(투자 대상을 잘 모름)

타인에게 의지

결과만 중요(돈만 벌면 되지 뭐, 투자=운)

투자의 리스크와 성과를 모름

원칙에 따라 투자(투자대상을 잘 알고 있음)

투자는 SELF

과정과 결과 모두 중요(실력=돈)

투자의 리스크와 성과를 알고 투자

비용을 치르더라도 투자한다는마인드

 

부동산 투자의 원칙 잡기

  1. 저평가 여부(가치>가격)
    투자물건을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매매 가격이 적정한가?
    *가치평가- 같은 가격이라면 수요와 공급에 따라 어디가 더 가치 있냐?, 같은 가치일 떄 더 낮은 가격
    매매 가격이 적정한 지를 어떻게 알까? - 비교 평가
  2. 환금성
    부동산은 환금성이 낮음

    부동산 중 아파트가 좋음(1,2,3,탑층(구축)X)

    주식- 상장폐지= 부동산- 환금성 없는 물건(매도 안되는 것)

  3. 수익률
    투자금 대비 내 돈이 얼마로 돌아오는가?
    수익률= 수익금/투자금(매매가-전세가)
    72의 법칙- 72/수익률= 원금이 2배가 되는 기간 EX) 72/3=24년
    투자 1년차- 잃지 않는 것
    투자 2년차- 10%
    투자 10년차-20%
    부자:5%~10%
    수익률 높이는 법
    1)앞으로 가치가 오르는 부동산(수요, 공급) -서, 경, 인-=1500만(세계 TOP 10안), 수요는 많고 공급은 없는 곳

    2)적절한 투자금, 전세금 상승
    3)좋은 타이밍
    4)수익률, 수익 둘 다 중요- 시세 차익이 핵심/ 월세 생각하지 마라, 월 1000만원X, 한 방에 10억 벌기!

    5) 인내(투자시장, 가치 신뢰)

    투자는 사는 것만큼(시장의 전망을 무시하며) 존버하는게 중요합니다.

 4. 원금 보존

     얼마나 떨어질까?- 전세가 까지

     *전세가는 우상향 할 듯

      적정 전세가율- 서울: 0.6, 강남: 0.5, 지방:0.8

매수시: 이 물건을 통해 내가 겪을 수 있는 최악의 손실은 얼마일까?

매수시: 적정 전세가율 이상의 부동산을 매수한다.

매수시: 앞으로 전세가가 오를 수 있는 부동산을 매수한다.

매수시: 수요가 많고, 입지 독점성이 높은 부동산을 매수한다.(가치)

보유: 가치 있는 부동산을 매수했다면 가격이 하락 또는 오르지 않더라도 버틴다.

최악의 상황에서 이 물건은 얼마나 떨어질까?

이 물건의 안전 마진은 얼마인가?

혹시 전세가가 빠질 수는 없을까?

-이 물건의 적정 전세가율은 얼마일까?

-이 물건의 전세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가? 30년 넘은 집은 전세가 오르지 않음.→재건축 가능한지 확인(용적률200이하)

-이 물건은 수요가 많고 입지 독점성을 갖는가?(이 물건은 가치가 있는가?)

-이 물건의 단기 입주물량은 적정한가? 

*전 고점 대비 15퍼센트 빠진 것은 원금 보전이 된다고 본다.

  5. RISK 관리- 최악의 상황 생각해 보기

시세차익 부동산의 리스크리스크 헷지
역전세적은 갭X(전세금 욕심X)
대량 공급입주 물량(3년내, 입지독점성)
급격한 전세 상승

무리한 전세가X, 전세금 5%상승

전세 보증금 전체 5~10% 보유

수익 시기(상승 시기)- 언제 이익이 날지 모름모른다(운), 고정적인 수입(급여)

   “ 전문가로부터 시장 전망을 듣는 것은 시간낭비다” - 워렌 버핏

      시장을 전망하는 건 불가능하다. - 어떤 파도가 올 지 모르니 수영을 잘 하는 방법을 준비하자.

      상승할 때의 시나리오- 나는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

      하락할 때의 시나리오- 내가 가진 자산은 안전한가? 원금 보전 가능한가?

 

규제가 있더라도 내가 어느 사이클에 있는지 알아야 한다. 세계적으로 매매가는 높지만 월세가는 매우 낮다.

규제 있을 때 기회를 잡아야 한다. -서울, 광역시 안에 가장 저평가 된 부동산 사기

 

시세 차익 부동산의 정의와 종류- 낮은 가격에 사서 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투자법

투자용 부동산 순위- 1. 아파트 2. 아파트가 되는 빌라 3. 단독 주택, 오피스텔, 다가구 원룸 (투자하지 말 것)

아파트는 원금보존, 환금성, 수익성, 리스크 모두 높다.

다가구(원룸), 단독주택은 토지가를 봐야한다.

 

투자의 단계

 1단계(투기)2단계(갭투자)

3단계(똘똘한 한채)

우량주 투자

4단계

(월부 가치투자)

특징

가격을 기준으로 하는 투자

(투자 원칙X, 정보, 직관, 

감정으로 투자)

분위기에 휩쓸려 매도

적은 투자금액만 보고 투자

(5천만원, 무피투자)

내가 가진 돈으로 

가장 좋은 부동산에 투자

투자기준과

 원칙에 집중

(저,환,수,원,리)

중장기투자

장점

돈을 벌수도 있음

(복불복)

레버리지 극대화

시세 상승시 큰 수익

투자 공부에 큰 부담X

세금 규제 리스크 없음

장기간 가격 상승

소액으로 투자 가능

돈나무 재배

시스템 구축

단점

크게 잃을 수도 있음

(운이 중요, 타율)

(장기간 투자시 필패)

저가치 물건 투자시

수익이 크지 않음

역전세 등

하락시 반대로 큰 하락

종자돈이 적다면

접근 불가

통찰력을 쌓는데

시간이 걸림

(장, 단점)

앞마당→비교, 평가

1단계- 투기(묻지마 투자)

2단계- 갭투자

3단계- 우량주 투자(똘똘한 한채)

4단계- 가치투자(담배꽁초투자) 담배꽁초투자: 저평가된 초저렴한 매물을 발굴하는 투자방식- 매도, 매수 타이밍 중요

5단계- 가치투자(성장가치투자)

잡주로 시작해서 우량주로 끝난다.

 

가치투자= 잃지 않는 투자,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

싸게 사서- 이 물건이 싼지 알아야함(저평가)

비싸게 판다- 비싸질 것이라는 것을 믿기(가치)

진짜 부자의 의미- 자산이 많은 것/사고 팔지 않음

 

NOT 완벽주의 BUT 완료주의

투자하는 직장인직장인 투자자
똘똘한 한채비조정지역
일시적 1가구 2주택 적극 활용40억 이하(명의 분산)
 충분히 싸다면 취득세 내세요(전고점 기준)

시세 차익 투자의 투자방법

내 월급으로 저평가된 부동산을 한채 씩 늘여가는 것→결국 돈이 일하게 하는 것


댓글


예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