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지투기 31기 27조 이부작] 1강 후기 : 어렵다어려워 지방투자기준...

25.10.04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지방투자를 시작하려고 하니 참 허들이 많았다.

임장가는 것만 어려운 줄 알았더니 투자기준도 서울수도권과 많은 것들이 달라 어려웠던 지방투자의 기준! 

유디튜터님의 하루일찍 업로드된 강의로 기분좋게 시작했지만… 들으면 들을수록 미궁속에 빠지는 기분!

그래도 역시 반복의 힘이 중요하다고… 한번 더 들으니까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니 그냥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지방 사이클의 핵심 : 공급량

 

-지방 투자의 핵심 : 수요가 있는 지역, 수요가 있는 단지에 투자하기

(광역시 모두 절대적 저평가 시점이므로 투자범위 좁히기)

  1. 인구수 : 많을수록
  2. 입지 : 주로 학군지(아닐경우엔, 3박자 골고루 갖춘 환경 => 학군+환경+직주근접) or 전통적인 부촌
  3. 상품성 : 연식, 브랜드, 택지 ← 눈으로 볼 때 좋은 곳(+문주 갖춘 단지 ㅎ)

**선호요소 교집합이 많을수록 가치가 더 좋다.

 

-학군은 지방마다 상대적인 것. 광주의 95%이상 학업성취도 중학교가 없다고 해서 울산으로 이사를 하지는 않는다는 것. 그 지방마다 선호하는 학군지가 있음. 다만, 학군을 별로 신경안쓰는 중소도시도 있으니 교재에 나온 지방의 학군지 기능하는 도시 알아놓기!

-학군은 가성비의 요소가 아니다. 원탑(1등)이 수요를 모두 빨아들인다.

 

-지방사람들은 중심지보다 외곽 신도시를 더 선호한다. 왜냐? 중심지, 직장까지 가는 시간이 30분 이내로 모두 해결되므로.

 

-투자결정요소 : 어느정도의 저평가 + 적은 투자금과 리스크

 

 

오픈북지역인 ‘울산’의 각 지역별 특징과 선호도순서 상세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처음엔 뭔 말인가? 싶었지만 두번 듣다보니 조금은 이해도가 높아졌습니다.

임장가기 전에 한번 더 교재 보면 조금 더 이해가 될 듯 싶습니다. 지방투자 기준 상세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은 생소하고 어렵지만 실제 임장지(지역)에 가서 많이 보고 물어보고 배워오겠습니다!!

 

 

 

 


댓글


Woody
25. 10. 08. 14:03N

저도 여러번 들어야 이해가 가는거 같아요 ㅎㅎㅎ 같이 내공 쌓아서 한번에 척척 알아듣는 수준까지 가보자구영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