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내집마련 하기 전 꼭! 알아야할 A to Z
너나위, 용용맘맘맘, 코크드림

잊기 전에 기록하기
1) 부동산 대책 정리
- DSR: 소득대비 상황비율
- LTV: 집값대비 대출비율
2) 시기
- 부동산은 필수재이면서 투자재이다.
- 공급의 비탄력성
- 전세가율= 전세/매매 → 부동산 시장 분위기를 반영 ex. 전세가율 상승=전세선호 시기
- PIR=평균 집값/평균소득
: 평균 PIR > 현재 PIR : 집값 저렴
- 내 집 마련의 BEST 상황
: PIR 평균이 낮음 & 전세가율이 평균보다 높음
- ★ 가격이 저렴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시기: PIR 12 이하 & 전세가율 60%이상 → but 단지 별로 달라
- ★ 기준
① 전고점(21년 3,4분기) 넘은 단지: 이전 실거래가 이하 가격
② 전고점 넘지 못한 단지: -10%정도라면 매우 좋은 가격
- ★★ 원칙
① 내 집 마련은 항상 옳다.
② 서울, 광역시 등 범위 내의 집은 비싸지 않게만 하면 이긴다.
+ 지금 상황: 10-15% 조정 발생 시 감내 가능 여부 확인 필요
3) 범위
- 인구 감소시기에는 구축 아파트를 빌라처럼 생각.but 서울 구축 아파트는 우량자산
- 아파트만 고려해야 하는 이유: 주택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아파트는 전체 주택의 60% 수준
4) 내 집 마련
- 시장의 원인 3가지: 금리, 공급, 기타환경(정책)
· 전세가 감소 → 반드시 매매가 감소 : 전세가가 내려가면 기회!
· 금리: 그밀와 집값은 반비례 관계
· 공급: 신축아파트 공급 하락 → 전세가 상승 → 매매가 하락 방어
· 기타환경(정책): 규제 시기는 상승장 중간의 눌림목 이자 기회가 됨.
- 시장의 결과 1가지: 가격
나에게 적용할 점
과제대로 나만의 드림하우스를 세워보고 드림하우스로 가고자하는 징검다리 지역을 탐색해본다.
꾸준한 저축 및 재테크를 통해 목돈 마련을 위한 노력을 하는 동시에 환경이 좋은 지역을 알아본다.
강의는 대부분 서울 및 수도권을 예시로 들어서 내가 살고 있는 광역시(부산)에 적용하는 것이 조금 막연하나, 일단 커리큘럼 상의 내용을 하나씩 적용해보고자한다.
댓글
VitmainJ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