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내마기 60기 강사와의 만남 후기 feat.코크드림님, 빈쓰님] 그리고 중요한 건 꼭 사는거!!!! - 71조 마이크를 든 라이언

25.11.07

지난 11/4일 화요일!

내마기 60기 강사와의 만남에 운 좋게 뽑혀서, 다녀왔습니다 🙌

후기를 남겨야겠다 다짐했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남겨야 할지 고민하다 보니 벌써 이틀이 지났네요

 

 기억에 남은 것들을 남기고, 

같은 기수 분들 중에 아쉽게 못 다녀오신 분들께도 나누면 좋을 것 같아서 후기 남겨봅니다

 

(내가 강사와의 만남에 초대되다니!!!!!!!!!!!! 예에~~~~!!!!)

 

 

이제는 반가운 월부건물

일찍 퇴근해서 역삼역 <월급쟁이 부자들>건물로 한 걸음에 달려갔씁니다!!!!

환하게 빛나고 있는 월부 건물👍

지난번 용용맘맘맘님 오프 강의 이후로 2번째라 그런지 친근하게 느껴졌어요

 

 

내마기를 하며 가장 많은 소통을 해주셨던 클로이님이 반겨주셨어요!

온라인 조모임이나, 튜터님과의 Q&A, 놀이터 등에서 봤던 반가운 닉네임이 많았어요

 

오늘의 강사님 등장

그리고 시작 시간이 되자 오늘의 깜/짝/등/장!

강사&튜터님 등장! 오늘 강사와의 만남에 와주신 분은

💖코크드림 강사님, 빈쓰 튜터님, 프메퍼 튜터님, 김다랭 튜터님💖

 

저는 <용>방 에 배정을 받았고, 방마다 10명이 배정되었고 

첫타임엔 코크드림님, 두번째 타임엔 빈쓰님께서 오셔서 한명씩 질문 1가지에 대해 답해주셨어요

실제로 만나뵙고 Q&A를 하니 시원시원하게 고민에 대한 해답을 주셔서

아하! 그렇구나 하고 무릎을 탁! 치게 되는 순간이 많았습니다

 

반가운 얼굴들과 강사님&튜터님들 브이 vv

저녁 7시에 와서, 어느덧 밤 10시,생각보다 3시간이 빠르게 지나가 버렸어요. 

뜨거웠던 질문의 현장이 끝나고 마지막으로 포토타임을 갖고 행사가 종료되었답니다. 

 

지난 10.15 대책 발표 이후 빠르게 매수를 한 사람들도 있는데, 

당시 구체적으로 살 매물도 정하지 못했고, 막연하게 앞마당 1번 만들기만 하고 있었던

저의 상황이, 너무 중요한 기회를 놓쳐버린 것만 같아서 아쉬운 마음이 들었지만…..

 

이미 지나간 일은 지나간 것😭

기회를 놓쳐도 어쨌거나 대응하면 되니까, 

이제부터 열심히 그리고 빠르게 움직이자라는 다짐으로

다시 한번 내집마련 의지를 불태우는 귀갓길이었습니다. 

 

시원시원한 쿨워터향 솔루션을 주셨던 코크드림님👍

따뜻한 아이스 아메리카노 같은 답변 해주셨던 빈쓰 튜터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내마중에서도 이 마음 변치않고 불태워보리라 다짐합니다!!

내집마련 60기 파/이/팅!!!!!!!!!!!!!!!!!!!!!!!!!!!!!!!


🤔🤔🤔

<강사와의 만남> Q&A에서 나온 좋은 인사이트가 담긴 질문과 답을 정리해봤습니다

 

  1. 서로 다른 동네, 가격 비슷한 매물 고민 될 땐

 ==> 우선 매물임장 해보고 결정해라,

가격 협상이 가능한 매물이 있을 경우 네고 

그래도 비슷하다면 평소 출퇴근이 그래도 나은 곳 (왜냐면 거기서 실거주 해야하니까)

그것도 비슷하면 주변 단지들의 환경이 더 좋은 동네 순으로 비교

 

2. 대출 금액 얼마까지 나올지 정확히 모르겠어서 고민될 땐

==> 네이버에 대출상담사 검색해서 의뢰해보자

저도 사실 이 부분을 강의에서 배운 LTV, DSR 계산기 기준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진짜 대출이 나올지 아닐지 확신이 없어서 궁금했는데, 다른 분께서 해주셔서 덕분에 같이 들었답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저는 또 깜빡 했는데 LTV 기준은 KB시세로 나온다는 것! 매물 가격 기준이 아님 주의) 

 

3. 지금 전고점 갱신한 단지, 매물이 없는데 어떻게 하나

==> 당분간 정책 발표나 규제가 없는 이상 계속 상급지부터 매물이 빠져나갈 것

토허제 구역은 허가 신고(?) 2주 → 1달 이내 실거래 신고 이므로 통상 1.5달 이후 실거래 반영

 [제 얕은 지식으로… 용어가 부정확한 점은 양해해주세요]

 

4. 역세권 주상복합vs비슷한 가격 역에서 좀 떨어진 아파트 단지

==> 이건 저의 고민이었는데요, 역세권 주복이라 하더라도 

결국 내가 좋은 매물보다는 남도 좋아하는 물건인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가 선호도가 높다!   

(* 비교해보려면 같은 지역의 주상복합과 아파트단지 실거래 그래프를 비교해서    

얼마나 가격이 어떻게 올랐는지 추이를 보면, 사람들의 선호가 어느쪽으로 더 쏠리는지 볼 수 있다고) 

 

5. 지금 종잣돈이 1억인데, 주담대 포함해서 실거주 vs 비규제 지역 투자

==> 기본적인 비교 기준은 ‘내가 가진 종잣돈+대출레버리지(혹은 전세레버리지)’로 살 수 있는 매물의 가치가 높은 것

더 가치가 높은 것을(더 가격 높은거) 사는게 앞으로 가치가 오를 확률이 높음
그래서, 1억 갭으로 살 수 있는 아파트 가격과 주담대 포함한 아파트가격을 비교해서 결정!

 

6. 저층(1~3층)/탑층 매물 가격만 예산에 맞는데 사면 어떨지?
==> 저층, 탑층 매수 비추 이유는 나중에 매도가 힘들어서 임, 감당할 수 있다면 사지만 

그래도 그 중에 따지자면 1층은 그나마 아들2 가족 같은 수요가 있지만, 2~3층은 비추.

 

7. 200세대 이런 소형단지 3급지 vs 대단지 4급지?
==> 대단지 4급지 추천 
이유는 나중에 소형단지는 매도 힘듦. 갈아타기가 맘대로 안됨

 

8. 비슷한 가격의 다른 동네 고민

==> 땅의 가치를 잘 모르겠다면? 공식처럼 외우자 !!

     아파트 가격 = 입지 + 연식

(땅의 가치를 잘 모르겠다면, 연식이 비슷한 구축의 가격을 비교해보면 됨) 

 

 

 

사진제공: 해내는 오소리님
귀여운 사진 제공 : 해내는 오소리님

 


댓글


마이크를 든 라이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