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마오은] '계획이 실패가 되지 않게' 독서후기

  • 24.01.02

계획이 실패가 되지 않게

저자 및 출판사:

이소연 / 다산북스

읽은 날짜: 2023.12.23~12.27

도서 점수(10점 만점): 10

𝘊𝘢𝘵𝘦𝘨𝘰𝘳𝘺

[] 자본주의 · 경제

[] 투자일반

[] 부동산

[x] 자기 경영

[] 마인드셋

3 𝘒𝘦𝘺 𝘞𝘰𝘳𝘥𝘴

# 왜

# 인생의 사명

# 우선순위


1 𝘔𝘦𝘴𝘴𝘢𝘨𝘦

: 언제나 떠올릴 수 있는 우선순위가 높은 목표 두세 가지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나의 시간과 노력을 그곳이 집중시키는 것, 그것이 실패 확률을 줄이고 성공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는 길이다.


1 𝘉𝘔

: 우선순위는 2~3가지만 설정하자


│ 책의 핵심 내용 (요약/ 정리)



OKR : 수영을 더 잘하고 싶어 (X) ->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세부 목표를 갖고 있는 것


ex) O : 멋진 수영인이 되자

KR1 : 자유형 500미터 10분 안에 주파하기

KR2 : 접영 연습 50킬로미터

KR3 : 수영장 100번 가기



<왜 내 다짐은 변화가 되지 못했을까>

-의지 고갈 (의지력은 무한한 자원이 아니며, 사용할 수록 고갈 된다)

-너무 많은 목표 (우선순위 2~3개만 설정)

-견적 실패

-불분명한 성공 기준

-시간에 쫓기는 삶 (하루에 1시간 이상 덩어리 시간 확보)

-잘못된 방향성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 점검)

-완벽주의


<쪼개기의 기술>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끝마칠 수 있다고 여기고 있는 그 일은 생각보다도 훨씬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인 경우가 많다. 그러한 일 덩어리를 분해하여 몇 시간 안에 끝낼 수 있는 과제, 즉 '태스크 task' 단위로 쪼개 놓지 않으면 실제로 언제 그 일을 전부 마칠 수 있는지에 대해 정확한 견적을 내기 어렵다.

해야 할 일을 태스크 단위로 잘게 쪼개고, 각각의 태스크에 걸리는 시간을 예상해 표로 나열한 것이 계획 수립의 첫 단계이다. (p.161)


<간트 차트>

장점 : 해야 할 모든 일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지금 이 태스크를 끝마치면 다음에는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각각의 태스크는 얼마나 시간이 걸릴 예정인지, 현재 이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지, 아니면 다소 늦어지고 있는지 등의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p.166)


<계획 시트>

장점 : 습관 정착.

매일 언제 어떻게 행동하여 이 핵심 결과를 달성할 것인지 미리 머리속에 그려둘 필요는 있다.

달리는 시간에 더해 스트레칭을 하고, 샤워를 하고, 또 땀에 젖은 옷을 세탁하는 등의 부가적인 태스크도 미리 시간의 견적 안에 포함시킨다.

실제로 달린 날의 칸에 선명하게 동그라미를 치고, 달린 거리를 기록하며, 매일매일 내 눈으로 볼 수 있는 성과가 쌓이면 자연스럽게 동기를 지속할 수 있게 해준다. (p.168)


<일주일 리듬>

월요일 : 점검하고 전념하는 날. 지금까지 진척 상황을 살피고 이번 주에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파악하며 새로운 마음을 다진다.

금요일 : 일주일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축하하는 시간

장점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꼭 필요한 현황 점검이나 동기 부여와 같은 활동을 루틴 안에 짜 넣어,

장기간에 걸쳐 지치거나 의욕을 잃지 않고 꾸준히 같은 리듬으로 일을 반복해나갈 수 있게 한다는 점. (p.171)


월요일에 할 일 4가지

1.목표를 다시 새기고 핵심 결과의 달성률을 확인하며 '자신감 점수'를 매기는 일.

2.앞으로 4주간 할 일을 생각해본다.

3.그 중에서도 더 우선하는 태스크 순으로 배열해 보는 것. P1, P2, P3로 표시

4.프로젝트의 건전성과 나의 건강 상태를 확인


<만다라트>

단번에 만다라트를 채우는 것이 쉽지 않다면, 잘 보이는 곳에 붙여놓고 더 깊게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 것도 효과적이다.

만다라트 기법을 사용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만들어낸 후에는 반드시 더 중요한 것을 골라내는 과정이 뒤따라야 한다. (p.221)



│ 나의 이해와 해석/ 느낀점



무엇을 하든 완벽을 고집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성과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납득하지 못하게 아예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지금까지 해온 것을 모두 포기하고 지워버리려 한다. 이러한 기질을 가진 사람들은 결과가 완벽하지 못하면 강박적으로 자기 자신을 탓하거나 깎아내려 사서 스트레스를 받고 쉽게 소진되는 경향이 있다. 달리기를 하루 빼먹고 말았다면 '그럴 수도 있지' 라고 가볍게 생각하고 다음 날 다시 달리면 된다. 실패를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받아들여 자책을 일삼다 보면 그것만으로도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실패를 실천의 과정에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실패 가능성을 관리해야겠다는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 좋다. (p.77)

=> 완벽하게 하고 싶어서 시작도 못하는 유형이다. 실패도 과정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걸 생각하자.


도전적인 목표의 경우에는 목표 자체를 야심차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70퍼센트 정도를 달성해 기대 점수가 0.7에 이르면 성공으로 간주한다. 그렇다고 해서 처음부터 0.7만 달성하면 충분하다며 안이하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1.0을 추구하되 결과가 그에 미치지 못했다고 해서 좌절하지 않는 것이 OKR의 정신이다. (p.83)

=> 나는 목표를 세울 때 실패할 것이 두려워 달성할 수 있을 것 같은 범위까지만 짜곤 한다.

한계를 뛰어 넘어야 성장할 수 있다.


나는 뛰어난 도예가들이 도기를 자주, 또 많이 빚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수도 없이 많은 도기를 빚고 구웠기에 그 중 최상의 도기가 몇 개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p.98)

=> 투자 한두개로 최상의 성과를 낼 수 없다. 여러번 경험을 쌓아야 그 중 결과가 좋은 투자가 몇개 나온다.


최악의 상황은 생각했던 것처럼 일이 진행되지 않는다고 해서 프로젝트 전체를 포기하고 중단시켜버리는 것이다. 일이 뜻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면 그 이유를 복기해보고, 개선책을 찾아 계획을 수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p.135)

=> 복기가 필요한 이유! 중간에 일이 틀어졌을 때, 완벽하게 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아예 덮어버리지 말자!

수정해서 이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인생에서 궁극적으로 이루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의해두고 그를 향해서 나아가는 삶과, 그때그때 되는 대로 살아가는 삶은 결과에 큰 차이가 있다. 나의 사명을 찾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왜?' 라는 질문을 던질 줄 알아야 한다. 적어도 세 번은 연달아 '왜?' 라고 묻고 그 이유를 찾아내야 내가 정말로 영위하고 싶은 삶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p.141)

=> 왜 돈을 많이 벌고 싶은가?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며 노후를 보내고 싶다.

왜 노후를 위해 돈이 필요한가? 회사는 내 노후준비를 책임져 주지 않는다. 투자로 미래를 대비해놔야 한다.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돈의 가치는 점점 떨어지고 가치가 있는 자산을 보유해 나가야한다.

이런 식으로 원하는 것을 깊이 파고들다 보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싶은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 이렇게 큰 그림을 미리 그려둔다면 돈을 많이 벌고 싶다는 단기적인 목표를 추구할 때에도, 언제까지 얼마를 벌어야 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벌어야 하는지, 이 목표를 달성한 이후에 해야 하는 일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이해한 상태로 흔들림 없이 나아갈 수 있다. (p.142)


건강 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은 상식이지만 우리의 행동은 그와 어긋날 때가 많다. 현대 사회에서 규칙적인 운동 시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기도 하고,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할 때 순간적인 쾌락을 느끼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강해야 하는 나만의 이유를 분명하게 정하지 않는다면 당위는 습관이나 본능에 쉽게 휘둘려버리게 되어 이상과 현실의 간극은 점점 멀어지게 된다.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이루고 싶은 것을 구체적으로 상상할 때 비로소 자제력을 발동시킬 수 있고, 이는 곧 생활 습관을 바꿀 동력의 원천이 된다. (p.149)

=> 나는 왜 건강해지고 싶은가? 노후에 아파서 누워만 있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점점 빠지면 골절, 골다공증이 올 수 있다.

아프기 전에 미리미리 운동하자.

술은 1급 발암물질이다. 암 예방을 위해 전혀 마시지 말아야 한다. 금주!!


'오늘은 하루 종일 집중해서 열심히 공부를 해야지' 라고 다짐을 했다면 그것을 실행할 여력이 없는 우리의 뇌는 시작도 하기 전에 필사적으로 반발을 하게 되고, 여기에 의지력까지 모자라면 자꾸만 일을 미루게 되고 포기하게 된다. 의지력을 있는 대로 끌어모아 공부를 마쳤다고 해도, 그 다음 날에 또 똑같이 하려고 한다면 우리의 몸과 마음은 더욱 피로함을 느낄 것이다. 우리가 쓸 수 있는 에너지보다 억지로 더 많은 양을 소비하고 그 마이너스 에너지가 장기간 누적된다면 번아웃 증후군에 빠지기 쉽다. 관리와 계획 없이 행하는 무조건적인 노력은 답이 될 수 없다. (p.207)

=> 한번에 무리하지 말고 작게 시작하자.



│ 적용할 점


스스로 생각 할 것


매사에 그 이유를 찾아볼 것


작은 실패에 흔들리지 않는 것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목표를 향해 나아가자


기억하고 싶은 문장 (명언집)


언제나 떠올릴 수 있는 우선순위가 높은 목표 두세 가지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나의 시간과 노력을 그곳이 집중시키는 것, 그것이 실패 확률을 줄이고 성공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는 길이다. (p.65)


시간과 체력을 소모하지 않으려면 내가 실천하고 있는 일들이 과연 유효한 것인지, 또 내가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점검해야 한다. (p.75)


노력 그 자체에 매몰되지 않고 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야만 목표에 다다를 수 있다. (p.75)


현실을 포용하고 작은 실패에 흔들리지 않는 것, 그러한 태도가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원동력이 된다. (p.77)


건강을 관리한다는 것은 결국 내 삶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뜻이었다. 건강이란 단기간에 속성으로 완성하고 나서 놓아버릴 수 있는 목표가 아니었다.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습관을 내 일상이자 삶으류 만들어야 비로소 건강해질 수 있었다. (p.91)


'왜'를 묻지 않고 '무엇'에 매몰되는 삶을 경계해야 한다. (p.142)


우리가 목표를 설정하기 전에 먼저 그것을 달성하고 싶은 이유를 생각하고 내가 살고 싶은 인생의 사명을 명확히 한다면 흔들리지 않는 신념을 가지고 나아갈 수 있다. (p.144)


두세 가지로 압축된 중요한 목표는 매일 아침 눈을 떴을 때 당신을 설레게 할 것이고, 항상 도전하는 마음을 갖게 해줄 것이다. (p.150)


여기서 핵심은 기록이다. 아이디어의 원료는 금세 휘발되어 버리므로, 내게 와서 꽂힌 감명 깊은 이야기나 좋은 책의 한 구절, 아름다운 이미지 등을 어디엔가 차곡차곡 쌓아두는 습관을 들이자. (p.218)


연관 지어 읽어 볼 책

OKR


댓글


마오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