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2023년 4월말 실전준비반 과정이 마무리되어 가고 있을 시점 다음 과정으로 무엇을 들어야 할지 당시 조원분들과 고민을 많이 하고 있었습니다. 지기반이냐 처음 생긴 서기반을 들을것이냐 고민하다 당시만 해도 지방투자에 대해 편견이 있었던 터라 서기반을 먼저 신청했으나 광탈하고, 차선책으로 지기반을 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지기반과 자실을 통해 지방투자에 대한 편견을 많이 없앴고, 오히려 투자금이 적다면 지방투자가 현재로서는 더 적합한 것 같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월부방식의 전세투자의 최종 목표는 서울, 수도권에서의 가치성장 투자이므로 이번 9월에는 서울기초반을 호기심 반, 기대 반의 심정으로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가. 서울투자 기초반의 목적
ㅇ 서울지역별 특징과 실 투자방법에 대해서 익혀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라고 튜터님은 말씀하셨는데 개인적으로도
과연 서울투자는 지방투자와 어떻게 다를까 아울러 적은 투자금으로도 투자가 가능할까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강의를 차분히 들을 수 있었습니다.
ㅇ 첫주차는 서울투자 로드맵과 25개 자치구별 투자 기준에 대해서 개괄적으로나마 들을 수 있어서 유익했고,
특히 임장이나 임보, 향후 실제 투자과정에서도 어디에 더 포인트를 두고 지역과 단지의 가치를 가중치를 두고
봐야할 지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ㅇ 잘못 투자하지 않으려고 공부하는 거고, 시간이 지나서 더 많이 벌수 있는 투자를 하려고 강의를 듣는 것이니
그냥 공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떤 서울 투자를 할 수 있느니 로드맵을 그려보고, 입지와 투자 기준을
제대로 익혀야 한다는 튜터님의 말씀에 공감이 많이 갔습니다.
그냥 공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그려보고, 각 단계별로 어떻게 행동해야할지 명확해야 투자
시장에서 생존해 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나. 현재 서울시장 진단
ㅇ 최근 여러 언론매체를 통해 부동산 가격이 15주 연속 상승했다는 보도를 자주 보게되어 과연 현재 시장은 어떨
까 궁금하기도 했고, 실제 임장지의 단지 시세를 조사해보면 불과 2주전보다도 상승한걸 보게 되어 이번장에서
도 투자는 어려울까 생각을 했었습니다만, 현재 서울의 부동산 시장은 분명 반등세를 보이긴 하지만 모든 단지가
반등하지도 않았고, 여전히 가격이 멈춰있는 단지도 많다라는 말씀을 듣고, 역시 부동산은 입지와 심리에 따라
개별단지마다 차별화되어 평균 가격만 보고, 투자를 할지 말아야 할지를 판단하면 안되는 다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부동산 투자는 정말로 앞마당을 얼마나 많이 확보하고, 얼마나 많은 개별 단지를 알고
있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는 걸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결국에 부동산 투자공부는 지속적으로 임장을 하고,
임보를 작성해서 앞마당을 늘려가는 것이 핵심인것 같습니다.
다. 금액대별 서울 투자 로드맵
ㅇ 서울 부동산을 1급지~5급지로 구분하여 명쾌하게 각 급지별 특징과 가격을 상세하게 알수 있었습니다. 막연하게
그간 읽었던 칼럼을 통해 서울과 서울급 경기도의 입지기준과 가격을 짐작하고 있었는데 명확하게 가격대와
급지별 입지특징을 상세하게 들을 수 있어서 향후 수도권 투자에 있어서 조금 더 명확한 투자 기준을 마련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단순히 강남 접근성만으로 모든 급지를 비교 평가할 수는 없고, 각 급지별, 자치구별 특징과
선호요인에 따라 어느 정도의 가치를 두고 투자 우선순위를 둬야할지 조금 더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나에게 맞는 투자의 기준 평가>
① 감당 가능한 매매가는 얼마까지 일까?
② 투자금은 어느 정도까지 투입해야할까?
③ 서울이면 지역상관없이 투자해도 될까?
④ 강남 입주가 많다던데 서울 투자해도 괜찮을까?
각 개별기준에 대해 개인상황과 선택지역, 물건수준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하고, 리스크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하겠습니다.
ㅇ 가치성장 투자와 소액투자를 비교해보고 나에게 맞는 투자방식이 무엇일지 어떤 방향으로 투자활동을 이어나가야
할지 다시 한번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만, 종국적인 목표는 둘다 동일하므로 어떤 경로를 통해 목표를
달성할지는 현재 나의 상황을 다시한번 진단해보고, 흔들림없이 투자활동을 지속해나가야 겠습니다.
라. 서울 25개구 입지별 특징과 서울 투자 기준
ㅇ 25개 자치구별로 급지를 1~5급지로 나누고, 각 급지별 20평형, 30평형대 매매, 전세가격 / 지역별 선호입지 요인
에 대해서 명확하게 나눠보고, 내 투자금으로 선택할 수 있는 지역수준을 토대로 임장과 임보를 통해 구체적인
단지를 특정해 나가는 훈련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ㅇ 서울아파트 투자 기준
① 저평가 : 가치대비 현재 가격이 싼가?, 상승장 고점대비 oo% 이상 하락한 가격인가?
② 전세가율 : 투자하기 좋은 시기인가?, 저평가시기 서울의 평균 전세가율을 넘어서고 있는가?
③ 비교평가 : 내가 할 수 있는 투자 중 최선인가?
마. 서울 투자 사례
ㅇ 목표달성을 위해 상황에 맞는 방향을 알고, 걸 맞은 시간과 노력을 쌓으면 반드시 기회는 온다라는 튜터님 말씀
에 공감하고, 지금 할 수 있는 투자가 마땅치 않다 하더라도 투자자로서 기다릴줄 아는 인내와 평정심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ㅇ 투자의 목표, 상황과 해야할 일, 각오와 최종 목표를 다시 한번 다져보면서 1주차 강의를 마무리 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