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철저하게 부자의 관점에서 생각하라(Not A But B)."는
너바나님의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매일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나래버비 입니다.
강의를 듣기 전 저는 늘
투자금까지 고려한
나만의 1등뽑기를 해왔었습니다.
"비교평가와 1등뽑기"
그거 같이 하는것 아닌가? 라는 부분에 대해
대단히 큰 오해를 하고 있었던 관계로
마무리가 부실한 상태로
선명하지 못한 앞마당을 쌓아나가고 있었습니다.
이번 게리롱님의
지투실전 2강은
'비교평가'(가치->가격)와
'1등뽑기'(투자금->리스크) 프로세스를
구분해서
아주 세세하게 강의해 주셨는데요.
그리고
다른 도시간 단지끼리의 비교평가
"도생단" 까지
현실적인 조언들과 팁으로 가득찬 강의였습니다.
그럼, 어떤 내용들이 있었는지 정리하며 복기해 보겠습니다.
비교평가(가치->가격)을 위해서는
결국 임장/임보를 통해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이 무엇인가?"
즉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단지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지의 선호도(입지+상품성+선호요소)와
단지간 과거 가격흐름을 통해
가치를 비교해 볼때
이제껏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던
그래프 비교 방법까지 알려주신 부분은
매우 유용했습니다.
또한 인구규모가 다른 도시간 단지끼리
비교를 함에 있어 어려운 점이 많았었는데
생활권+단지라는 비교평가에서
도시라는 변수까지 추가되니 정말 어렵고도 아리송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강의에서
지방도시의 체급에 대한 한판정리와 더불어
도시의체급을 파악하는 방법(인구/평당가/랜드마크)을 알려주셔서
다른도시간 단지비교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도시간 단지의 비교평가를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 배울수 있었습니다.
<적용할것>
그래프 비교 주의사항 3가지(같은지역, 5, 3개이하) 적용해 가치 비교해 보기
"1등 뽑기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나에게 맞는 1등을 찾아가는 것이라는 부분이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각자의 투자금과 상황이 다른데 그동안
1등뽑기를 문제의 해답 찾기와 같이 생각해왔었습니다.
이번 게리롱님의 강의를 통해
투자금->리스크를
나의 상황에 접목하여
1등을 뽑아나가는 프로세스와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나 최종 선정이유를
다른사람에게 설명해준다는 생각으로 풀어쓰는 부분에서
내가 뽑은 1등에 대해 많은 고민이 필요함을 다시 한번 느낄수 있었습니다.
1등뽑기에 대한 큰 갈증을
해소해주신
게리롱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적용할것>
1. 최종선정이유를 강의장표와 같이 풀어서 써보기
감사합니다.
댓글
나래버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