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1강후기-지방지역 개별성을 아는 투자자

23.08.04


안녕하세요 뚱부자입니다!

두번째 지방기초강의를 듣게 되었는데 정말 강의는 들을때마다 제가 흡수하는 양이 다르고 중요하게 여겨지는 포인트가 달리 와닿는것 같습니다. 이번 제주바다님의 강의는 임장보고서에 좀더 보완해야할 점이 무엇인지, 제가 임장다니면서 놓쳤던 부분은 무엇인지, 혹 자료 해석을 잘못된 방향으로 해오고 있던건 아닌지를 되돌아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지방지역 개별성을 아는투자자>

요즘 사람들의 성향을 MBTI로 구분하던데, 아파트의 MBTI는 이런 입지요소의 선호도가 아닐까싶습니다. 어느 지역이건 입지요소 중에 가장 중요시여기는 요소가 일관적일 수가 없는데요. 임장보고서를 통한 지역분석을 해보면서 이 지역에서는 입지가 중요할지 연식이 중요할지 교통은 어느정도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지 등을 고민해보는 과정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나 지방이라고해서 무조건 교통을 별로 중요하지않아! 또는 지방은 무조건 연식이지! 같은 편협된 생각에서 벗어나야할 필요성을 다시듬 되새겨보았습니다

<외곽에 위치한 신축?>

지난 앞마당 중에 광주 남구의 효천지구/ 대전 유성구의 관평동 등을 돌면서 이주변에 인프라가 너무 부족한건 아닐까. 너무 외곽에 있어서 선호도가 있을까? 아무리봐도 도심에있는 구축이 더 좋지않을까? 라는 궁금증이 많았는데 주요 직정의 배후지역이라면 외곽이라고 할수없다! 라는 제주바다님의 말씀으로 외곽은 제쳐야겠다라고 생각했던 좁은 시야에서 조금은 벗어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번 임장지를 다시 돌면서 외곽에 있는 생활권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시도를 해봐야겠다 마음먹었습니다

<전고점대비 하락률 또는 전저점대비 상승률>

임보쓰면서 항상 단지 비교분석에 빠지지않는 아실 단지비교그래프!

저도 이 그래프에서 항상 전고점에서 겨우 20퍼센트밖에 안빠졌는데? 다른곳은 30프로는 기본 빠졌던거같은데 아직 더 떨어져야 되는거아냐?

라는 생각을 단순하게 해봤던것같은데요

상승률 하락률만 따져볼게 아니라 절대적 저평가!인지를 비교분석을 통해 해봐야한다!

저평가!비교분석! 진짜 월부에서 백만번 들었던 중요포인트인데 왜 임보쓰면서 이 부분을 자꾸 간과하게 되는걸까요ㅠ

저평가여부판단에 대해서 다시 월부강의 처음듣는 마음가짐으로 다시금 샹각해보고 임보에 반영해봐야겠다 생각해보았습니다

BM: 임보지역의 투자계절이 어딘지 가늠해보기

생활권별 대표단지 비교릉 통해 생활권순위 재차 체크해보기

생활권별 시세지도 이후 신축/준신축/준구축/구축별 가격적특징 분석



댓글


뚱부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