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성공은 한걸음부터!
날마다조금씩입니다.
시작 전부터 설렘반 긴장반
두근거렸던 지투기 첫 수강후기 시작합니다!☺️
저에게 투자범위는 수도권으로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내가 살고싶어하는 곳, 투자 목적으로 샀지만 실거주도 가능한 곳은 수도권이기 때문이었죠.
실준반, 너나위님 특강을 들으면서 제가 지금 '할 수 있는' 투자는 지방투자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우선 투자금이 적었고, 1년에 모을 수 있는 투자금도 한정적이었기 때문에
제게 지방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였습니다.
특히 너나위님 강의를 듣고서 장기적인 투자플랜을 세웠을 때,
이 부분은 더 구체화 되었습니다.
'지방으로 종잣돈을 불리고, 수도권 투자를 시작한다.'
그 시작점으로 지투기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불안한 지방투자에 대한 생각을 좀 털어낼 수 있었습니다.
지방의 매매가 많이 내려온 상태고, 특히 중간급 아파트를 잘 고르면 좋은 투자물건을 찾을 수 있겠다는게 결론이었습니다.
지방에서 중요한 인구입니다. 우리가 아파트를 사고 팔려면 이 아파트를 사고 팔 사람이 있어야겠죠?
인구수가 곧 수요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이상의 인구수가 받쳐줘야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할 것입니다.
그렇다고 인구수가 적은 곳엔 투자를 못하느냐?
그건 아닙니다.
입지요소가 좋은 곳이면 언제든 투자기회는 열려있습니다.
그러나, 입지요소를 결정하는 것은 광역시나 중소도시냐에 따라 다르고,
비슷한 규모의 광역시, 중소도시라 할지라도 선호하는 입지요소는 다 다르기 때문에
손품, 발품을 통해 선호하는 단지를 잘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내 투자조건에 맞는 단지를 선별해서 투자해야 합니다.
그리고 상품성이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상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ㅇㅅ과 ㄱㄱ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지방은 분석을 철저하게 해서 리스크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됐습니다.
지투기를 듣기 전에는 지방은 입지 중에서도 환경이 중요하다,
상대적으로 교통과 직장, 학군은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지방에서 신축이 최고 아니야? 생각했었죠.
강의에선 제가 최근에 관심을 두고 있었던 A, B지역의 입지를 분석해주셨는데,
같은 중소도시임에도 선호하는 입지요소는 전혀 달랐습니다.
A지역은 좋은 입지요소가 한쪽구에 몰려있었고, 대표하는 구가 어딘지가 명확했습니다.
그렇다고 그쪽만 투자가치가 있느냐? 그건 또 아닙니다.
A지역은 중심지와 거리가 좀 있더라도 신축단지가 생기면 수요가 옮겨갈 수 있습니다.
지방은 특히 연식에 따라서 시세지도를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B지역은 구가 전체적으로 수요를 주고받는 지역입니다.
구 안에 선호하는 동이 있고, 여기 지역에서도 연식과 매매가 등을 고려해서
나에게 맞는 투자물건을 찾아보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제 곧 있을 분임에서 생활권별 분위기를 파악할텐데,
이번 강의에서 대략적인 생활권을 나눠서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그리고 좀 놀랐던 게 지방이지만 생각보다 좋은 직장이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좋은 직장은 수도권에 몰려있다고 생각했는데,
큰 땅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산업특성상 수도권에 위치하기 어려운 경우에
수도권 인접지역에 대기업이 들어올 수 있고,
대규모 양질의 일자리가 들어올 때,
공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매매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좋은 직장+신규택지'가 좋은 입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지방은 투자하기 적합한 곳이 아니라고 생각했던 제가 틀렸다는 걸 알았습니다.
임장을 한번 해보니 손품을 팔고 갈 때와 아닐 때 보이는게 다르다는 걸 알았습니다.
사전조사를 미리 해놔야 현장에서 핸드폰만 들여다 보는 일이 적어지고,
현장 분위기에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방은 자주 가기 어렵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조사를 마치고 임장을 해보려고 합니다.
강의 때 입지요소를 잘 짚어주신 덕에 손품을 팔 때 더 수월해질 것 같습니다.
강의내용 잘 정리해서 임장도 잘 다녀와야겠습니다.
댓글
날마다조금씩님 지기반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