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이번 주차 강의는 크게 2가지 내용이 다뤄졌다.
먼저 지방투자에 대한 내용, 기준에 대해새서 수업을 들었을때 지방투자 기초반을 신청하면서도 고민을 했던 부분들이 수업부터 다뤄져서 놀랐다.
내가 했던 고민들이 나만의 고민이 아니고, 지방투자를 생각하는 모든 사람들의 고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업시간에 다뤄졌던 고민 3가지 중 지방 아파트를 구매시 매도 되지 않으면 어쩌지.. 라는 고민이 내가 가장 깊게 했던 고민이다.
수업시간에 다뤄졌던 것처럼 아파트는 환금성이 좋은 투자 대상이며, 지방이 매도가 어렵다는 것이 편견이라는 것을 배웠다.
지방이라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대상을 환금성 기준에 맞는 아파트를 찾아 투자한다면 지방 아파트 또한 좋은 수익률을 가진 투자 대상이 될 것이다.
투자가 어려울 것이라는 걱정보다는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토대로 저환수원리에 맞는 투자대상을 잘 찾아보도록 해야겠다는 걸 깨달았다.
그리고 지방투자는 수도권 투자와 다르게 교통이 크게 중요하지 않으며 지방투자는 신축이 중요하면서도 중요한 입지요소가 있는 지역은 구축의 수요도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각 지역마다 입지분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또한 지방은 공급이 중요하며 해당 지역의 공급뿐만 아니라 주변 연관된 지역의 공급이 중요하다. 그리 멀지 않은 지역이라면 수도권보다 주변 지역의 공급을 더 잘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이번 수업시간엔 A와 B지역에 대해서 다뤄졌다.
A지역은 예전에 내가 다니던 대학이 있는 지역이었고, 어느정도 알고 있는 지역이 나와서 강의를 들을 때 조금은 수월했다. 이건 번외의 내용이지만, 수업을 듣기전 생소한 지역이면 나무위키에서 어느정도 지역개요를 읽고 수업을 듣는 것도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A와 B지역의 강의를 들으면서 지방투자시 두가지 경우의 예시가 나온 것 같다. A지역은 1등이 확실한 지역, B지역은 1등이 확실치 않으며 신축이 생기면 그 신축에 따라 사람들이 옮겨가는 지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A지역과 B지역을 접근할 때 어느정도는 비슷하지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하겠다는 걸 깨달았다.
또한 지방에서 직장의 질도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수도권도 그렇겠지만 어떤 직장들이 위치해 있는지에 따라 그 지역 사람들의 소득수준이 바뀌며 그에 따라 소비력, 구매력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번 강의를 통해 지방투자 수업을 듣기전엔 지방투자에 대한 고민과 걱정에 대해서 이번 시간을 통해 해소했고, 지방투자의 틀을 잡을 수 있었다.
댓글
제이유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