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본깨적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79조 포뉴라이프]

  • 24.02.20

<2장. 삶을 바꾸는 책읽기란>

p.68 본깨적 책읽기

  1. 보다 - (저자의 관점)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
  2. 깨닫다- (나의 관점)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
  3. 적용하다 - (나→모든사람 관점)내 삶에 적용하기

책을 읽었는데도 삶에 아무 변화가 없었던 것은 책을 제대로 읽지 못했걷나 읽었어도 읽은 것만드로만 끝냈기 때문이다.


p.79 모티머 애들러의 3단계 독서법

1단계 개관 독서법 : 한 번 죽 훑고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기

2단계 분석 독서법 : 책 주제, 구조 파악 + 내용 완전히 이해해 내것으로 만들기

3단계 종합 독서법 : 하나의 주제 관련 여러권 책 비교하며 읽기


p. 84

중요한 정보의 기준은 기억하는 횟수다. 한 달을 기준으로 몇 번 기억을 불러냈는지 따진다. 많이 불러낸 기억일수록 중요한 기억이다.

1124(1일, 1주, 2주, 4주) 재독법 활용하면 책의 내용을 잊지 않고 책을 읽은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 짧은 시간내 다수의 책을 읽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한달에 한 권정도는 활용해보면 좋을 것 같다.


p.87

얼마나 빨리 읽었는가보다 시간이 좀 걸려서 제대로 읽는 것이 중요하다. 제대로 읽어 책 내용을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들고 삶에 적용해야 인생이 바뀔 수 있다.

→ 요즘 시간은 없고 읽을 책은 많다보니 이렇게 책을 정리하 것 보다 빠르게 많은 책을 읽는게 더 효율적일수도 있다라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역시 속도 보다는 정확성! 지금처럼 쭉 제대로 책을 읽어가는 방향이 맞다. 조급해 하지 말고 제대로 읽기!


p.90 제대로 읽기 위한 3단계 프로세스

준비(20%) → 읽기(70%) → 마무리(10%)

제대로 읽으면 속도는 저절로 붙는다.


p.91 이해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자연스럽게 책 읽는 속도도 빨라진다.

→ 내가 가장 원하는 바로바로 읽고 이해하기는 결국, 배경지식이 쌓이면서 이해력이 빨라져야 하는구나


p.98

좋아하는 책과 그렇지 않은 책의 비율을 7대 3 정도로 읽다. 일정한 기간을 정해두고 관심 주제를 바꾸어가며 집중적으로 책을 읽는 것도 편식을 막을 수 있다.

→ 지금은 특별히 선호하지 않은 책이 없으므로, 업무와 관련된 책을 같이 읽자.


p.107

책 읽기의 임계점은 삶의 경험과 변화에 대한 간절함에 의해 결정된다.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버릴 정도의 큰 사건을 경험하고 평소 그에 대해 깊이 생각했다면 몇 권을 읽고도 변화할 수 있다. 그 책이 평고 고민했던 삶의 문제를 통찰할 수 있게 해주는 책이라면 변화의 속도와 폭도 크다.

서두르지 말고 차근차근 책을 읽다 보면 반드시 임계점을 통과하는 그날이 온다.

→ 믿음을 가지고 차근 차근 독서를 해나가다 보면 변화의 시기는 반드시 온다.


p.109

지속적으로 자극을 주어 실천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최소한 300권은 읽어야한다. 자극이 시들해질 무렵, 새로운 책을 읽어 또 다른 자극과 깨달음을 얻고 바뀌려고 노력하기를 반복하면서 잘못된 습관과 사고방식이 바뀌는 것이다.

→ 중요한 것은 ‘반복’! 한 권의 책을 여러번 반복하는 것도 좋지만, 좋은 책이 주는 인사이트는 서로 통할 것이니 좋은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고, 의지를 다잡아서 변화하자


p.110 씨앗이 되는 책을 읽는 것을 ‘씨앗독서’라 한다. 평소 치열하게 고민했던 주제에 대한 화두를 던져주고 계속 생각을 연결해 해답을 찾게 만드는 책이라면 씨앗이 되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씨앗이 되는 책을 읽을 때는 치열하게 읽어야한다.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으면서 행간에 숨은 깊은 뜩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한다.

→ 나의 씨앗 독서는 무엇일까? 모두가 추천하는 ‘원씽’, ‘아주작은 습관의 힘’ 모두 좋았지만 내가 평소 크게 고민하던 부분이 아니여서인지 씨앗독서까지는 아니였다. 현재까지는 업무와 관련있는 ‘고수의 보고법’이 나의 씨앗 독서 인 것 같다. 앞으로 남은 책 들 중에 씨앗 독서가 있기를 바란다.


p.112

실행을 방해하는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가 ‘아는것’과 ‘실행’을 동일시 한다는 것이다. 아는 것만으로 이미 변화했다고 착각한다.


p.113 정보 과부하가 실행을 방해한다.

얕고 넓은 정보보다는 적더라도 깊이 있는 정보가 행동하는데 더 도움이 된다. 그러려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책을 읽고 또 읽는 것이 중요하다.

→ 역시나 재독! 나의 씨앗이 될 만한 책을 재독하여 체화 하는것이 실행해도 도움이 되는구나


p.115 행동을 제한하는 부정적 사고방식

부정적 사고방식을 고치지 않고서는 적극적으로 삶을 변화시킬 수 없다. 사고방식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다. 부정적으로 사고하느냐, 긍정적으로 사고하느냐는 노력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매사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연습을 하다 보면 사고방식도 긍정적으로 바뀐다. 긍정적인 사고방식이 습관화될 때까지는 의식적으로 틀린 부분을 찾기봅다는 좋은 점, 긍정적인 부분을 찾기 위해 노력하자.

→ 부정적 사고방식은 타고났다고 생각했는데, 바꿀 수 있는 것이군. 백해무익한 부정적 사고를 배제하는게 변화의 시작이겠다.


p.117~p.123

깊은 고민과 해답이 필요할 땐 수직적 병렬독서(같은 주제, 여러 책), 사고를 확대하고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수평적 병렬독서(다양한 주제, 여러 책)


<3장. 본깨적 책 읽기>

1) 준비 단계 p.127~p.137

(1단계) 3가지 질문하기(비포 리딩 양식 활용)

① 책과 나의 연관성 점검 : 표지, 프롤로그, 에필로그, 목차를 참고하여 연관성 점수 매기고, 점수 따라 책 읽는 방식 결정

② 책의 예상 핵심 키워드 뽑기 : 저자입장에서, 저자가 강조해서 이야기하고 싶어하는게 무엇인가.

: 제목 위주로 본문 전체 빠르게 훑기 → 최소 10개 이상 키워드 뽑기 → 그룹핑하여 최종 3개 뽑기

③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 : 왜 이 책을 선택했는지 목적 정리


(2단계) 귀접기(핵심 페이지) p.139~141

→ 책 미리 훑어보며 관심 가는 페이지가 나오면 책 상단 끝 귀퉁이를 접자

→ 책을 읽다 귀접기 되있는 부분은 속도 줄이고 내용 음미하며 제대로 읽고, 읽다가 중요 페이지 아니면 풀자.

2) 읽기

① 밑줄과 박스를 활용해라 p,142

  1. 마음에 드는 구절 : 밑줄
  2. 핵심내용 : 박스 또는 별표

② 책 여백 상 하단에 본깨적 정리(페이지별) p.147

  1. 본 것 : 상단 - 밑줄, 박스 친 내용 키워드나 핵심 문장으로 요약
  2. 깨닫고 적용할 것 : 하단(깨, 적) - 깨닫고 적용할것, 아이디어

3) 마무리 p.150

① 인덱스 붙이기

→ 처음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별 3개씩만 추려 인덱스 붙여라

  1. 본 것 : 파란색
  2. 깨달은 것 : 노란색
  3. 적용할 것 : 빨간색

② 평가 시트 작성(애프터 리딩 양식 활용)

  1. 유용한 책?
  2. 얻은 것?
  3. 책속의 책, 연관 지어 볼 책?


<본깨적 노트> p. 159~

책을 읽기만 하고 쓰지 않으면 책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어렵다.

⇒ 본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 인상깊은 구절 로 구성

① 중요한 대목은 배껴 쓰는 것이 기본(초서, 초록)

  1. 저자가 저달하고자 하는 핵심을 정확히 파악해 중요한 내용만을 적어야한다.
  2. 중요한 문장을 베껴 쓴 것은 그 자체가 ‘본’이 될 수 있다.
  3. 익숙해지면 키워드 중심으로 형상화하자

②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은 사유를 바탕으로 적어야 한다. p.168

  1.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은 충분히 사유하지 않으면 책을 아무리 많이 읽어도 매번 비슷한 수준으로 쓰기에 바쁘다.
  2. 좀 더 깊게 생각하면 미처 보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를 보고 지금까지 시도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적용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3. 다각도로 깨닫고 적용하는 만큼 삶이 더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효과성을 높이려면>

1.함께 읽기 p. 171~

→ 의견 교류 과정에서 생각이 확장, 습관화 가능, 긍정적인 변화의 전염성

-p.172 내가 뽑은 키워드가 다른 사람들이 뽑은 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해보는 과정은 생각을 확장하는데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키워드가 일치한다면 저자가 말하고 싶은 핵심을 제대로 파악했다고 이해하면 되고, 차이가 있다면 저자가 아닌 나만의 잣대로 책을 보았다고 반성하면 된다.

-p.173 똑같은 것을 보고도 깨닫고 적용하는 것은 사람마다 다르다. ‘자신의 입장에서 하는터라 각자 삶의 경험과 배경지식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각자의 경험과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을 이야기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생각이 확장된다.

-p.174 여럿이 함께하면 좀 더 지치지 않고 오래 할 수 있다.

2.333 본깨적 p.177

1)저자의 핵심을 보기 위한 SKI p.178

-Subject / Keyword : 표지, 제목, 목차, 머리말을 보면 저자의 주제와 키워드 파악 가능

-Impressive phrase : 마음에 와 닿는 문장이 아닌 저자가 이야기하려는 핵심 내용을 담은 문장에 줄을 치자

→ 전체/ 장 별로 주제, 키워드, 인상깊은 구절을 밑줄치자

2)좀 더 깊은 깨달음 MRK → 깨닫는 방법 P.180

-Motivation : 어떤 형태로도 자극을 주고 마음을 움직이는 모든 것

-Role-model : 책 속의 롤모델을 찾거나, 저자를 롤모델로 대화하자(저자라면 어떻게 할까)

-Knowledge : 단순히 알고 있는 것을 넘어 자신의 입장에서 명확히 인식하고 이해한 것, 얻은 각각의 정보를 분석하고 통합해 온전한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함

3)적용을 더 잘하기 위한 시스템 KIA P.182

-Kaizen(개선) : 점진적인 변화가 부담이 덜하므로 당장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개선 사항 찾아보자

-Idea : 아이디어 적어두고 적용 방법 찾기

-Action plan : 개선할 내용 및 아이디어를 적용하기

3.오감 동원 하기 p.190

-손으로 읽기 : 밑줄, 정리 등, 종이책으로 책 넘기는 것

-낭독하기 : 중요한 부분, 이해 안되는 부분이라도 읽기

-일체화/상상력 발휘하기(깨닫기) : 저자나 주인공과 나를 일체화 → 저자와 가상의 대화 나누기


<4장 북바인더>

1.북바인더 : 독서습관 + 지식자서전

-p.222. 책 내용을 전부 머릿속에 기억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기란 불가하다. 그래서 메모가 필요하다. 메모해둔 내용을 필요할 때 꺼내 잘 활용하려면 메모만 잘해서는 안된다. 관리를 잘해야한다. 메모를 종류별로 잘 분류하고 관리해야 필요할 때 빨리 찾아 활용할 수 있다.

-p.224 북 바인더는 본깨적 노트, 아이디어 노트, 좋은 글 등을 구분히 적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분류 카테고리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 지 추가하고 통합할 수 있다.

-p.230 컴퓨터로 정리한 내용을 출력해 바인더에 끼우는 것이다.

-독서 계획 붙이기 p.212~

->목표를 종이에 적으면 목표를 이룰 확률이 훨씬 높다.

>평생 계획 : 정량, 정성

>월간 계획 : 몇권, 어떤 주제?

>주간 계획: 어떤 책, 몇 쪽

>일간 : 몇시부터


2.p.233~p.235. 원북, 원메시지, 원 액션

-하루 이틀 반짝 열심히 사는 것보다 하루에 한가지씩이라도 변화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할 때 삶은 변한다. 목표가 과하면 빨리 지친다.

-한 책에서 하나씩만 꾸준히, 확실히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삶은 충분히 변한다.

-21일 정도면 충분한 습관으로 자리잡는다.

  1. 일주일만 나의 시간 기록해보고, 나의 시간 파악하고 자투리 시간 활용해라
  2. 디지털 미디어는 뇌를 바보로 만든다. 미디어 하는 30~50%만 독서를 하면 인생이 바뀐다.


적용할 것

1.원액션 : 독서시 3단계 독서법 실천(노션 본깨적 템플릿 활용)하는 습관 만들기

->귀접기, 밑줄(맘에 드는 구절), 박스(핵심내용), 본깨적 정리법 실천, 정리법(인덱스)

2.(독서계획) 3년내 최소 임계점 300권 돌파하기 위해, 1년 100권, 1달 9권, 1주 2권~3권 책 읽기

3.(1124독서법)현재까지 직장 관련 씨앗 도서인 ‘고수의 보고법’을 치열하게 읽고 실제 업무에 적용해보자.(열중 끝난 이후 즉시, 필요시 참고하기)

4.(태도)새로운 것을 접했을때 좋은점, 긍정적인 부분을 먼저 말하고 생각하자. 의심하지 말자.

5,책을 읽으면서 나의 고민, 걱정 등과 관련하여 답을 얻고자 하는 부분에 저자의 답을 생각해보자

6.1달에 하나씩은 사소한 거라도 개선해나가자 - 2월 : 자기전에 영상 딱 하나만 보고 자는 습관 만들기


댓글


오호라1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