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행동으로 미래를 증명하는 투자자 적절한산책입니다.
2강은 게리롱님의 강의였습니다.
처음들었는데 진짜
매우 좋았습니다.
(그냥 친근.. ㅎㅎ)
진짜 찐 선배가 어떻게 지방투자를 해야할지
C지역을 토대로 정말 잘 알려주셨습니다.
추가적으로 지방에 투자할 때 어떻게 가치있는 물건을 고르는지
3천만원으로 지금 당장 투자할 수 있는 방법도
깔끔하게 알려주셨습니다.
게리롱님은 서두에
"제가 어떻게 지역을 분석해 나가는지
그걸 알아가면 좋을거 같아요."
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이번 강의에선 전반적으로
C지역에 대해 선호도를 확인하는 것도 좋았지만,
더 좋았던 것은 지역 분석의 사고 흐름을
정리하고 배울 수 있어서 더 좋았습니다.
지역 분석의 사고 흐름
이번 강의에서 가장 크게 배웠던 점은,
지역분석을 어떤식으로 해나가는지.
각 입지별로 분석포인트를 어떤 것을 잡고,
어떤 식으로 결론을 낼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길을 제시받았다는 점입니다.
1) 지역개요
2) 생활권 구분
3) 입지분석
이렇게 크게 3개자의 파트로 나눠서 분석을 할때
너무 재밌게 지역이 쏙쏙 들어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저도 큼직한 장표에 그림하나만 딱 놓고
그 장표에 관해서 5분 10분 말할 수 있는 레벨이
되고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생활권을 이제 구분할때
해당 생활권이 언제시기에 형성된 생활권인지,
구축, 준신축, 신축 생활권으로 나눠서 기억해 놓으면
오래 기억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인상 깊었던 부분은
지역 개요 파트에서의 인구는 총 규모와 이동정도의 수준만 파악하고,
입지분석에서의 인구에서는
그 지역의 딱 두가지만 봤다는 점입니다.
a. 젊은 인구
b. 세대당 인구수
이렇게 각 입지요소별로 어떤 것이
그 생활권 선호도와 맞닿아 있는지 분석하는 흐름.
이 흐름을 배웠습니다.
<BM사항>
* 분석페이지 이유들 확인해서정리
인구 - 어디에 젊은인구?/ 4인가족 많이 사는?
직장 - 질좋은 일자리는 어떤 산업 위치?/ 인근지역 일자리로 올만?
학군 - 전주에서 학군이 좋은곳? / 인근지역에서 올만큼 좋은 학군?
환경 - 대표 상권? / 신도시 느낌의 생활권?
공급 - 지역내 외부 공급? / 언제 어느위치에 몇세대?
교통 - 주요 일자리까지 가는데 얼마나? / 호재가 있는지?
* 생활권 연식별로 정리해 놓기.
감사합니다!
댓글
적절한산책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