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기반을 거북이 걸음으로 걸어가고 있는 둥이와 함께 입니다
지난번 실준에서 ㅊㅇ 지역을 임장하고 이번 지기반 1주차 강의를 들었을 때 ㅊㅇ은 이해가 잘 되었지만
가보지 않은 지역인 ㅊㅈ는 어렵게 느껴지고 강의 내용이 머릿속에 잘 남지 않았던 경험이 있어,
이번 3주차 강의도 그러지 않을까...막연하게 생각했었습니다
망구99님의 강의 초반에 ㅍㅎ?ㄱㅁ? 이런데까지 한다고?? 라고 수강생들이 반응이 있다고
말씀해 주실땐 저도 공감되서 웃었습니다.
근데 강의를 들으면 들을수록 두 지역을 지금 가봐야겠는데?란 생각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서 조금 익숙해진 것인지, 1주차때처럼 가보지 않은 지역이라 머릿속에 안 남아..
가 아니라 이번에는 신기하게도 각 지역적 특징과 생활권, 선호도,시세등이 머릿속에 잘 남아
너무 신기했습니다.
또한 아직 초보인 저에게 임보에 어떤것을 넣을지, 이건 어떤 의미가 있는건지...
헤매고 있었는데 망구99님이 임보 포인트를 찝어 주셔셔 너무 감사했습니다
망구99님께서 BM 3가지 정도만 정리하라 하셔셔 bm할 포인트가 너무 많지만 딱! 3가지로 추려
정리해 보았습니다
1.리스크대비 기대수익률
열기반과 실전반에서 리스크를 대비할수 있고 기대 수익률이 본인 기준에 부합하면
투자로 고려해 볼수 있다...란 내용이 있었는데, 대체 리스크의 크기를 어떻게 정하고,
그 리스크에 나는 대비가 되는지 ,안되는지 어떻게 알지? 란 부분이 막연했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망구9님께서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가며 설명해 주셔셔 너무 잘 이해가 됐습니다.
기대수익이 리스크보다 크다고 할지라고 개인적 성향에 의해
어떤 과정을 가는지를 보여주셔셔 너무 감사했습니다
(중소도시를 투자하기로 마음먹은 지금, 빈땅이 많은 중소도시에서 리스크를 피할 수 없을텐데
어떻게 하는것인지 막연하기만 했었거든요)
나의 상황에 대입하여 어디까지 투자가 가능한지 시뮬레이션 돌리기!
2.시세트레킹은 앞마당 생기면 바로!
시세트레킹은 앞마당이 적어도 3개는 되야 하는것인줄 알았고,
투자할 단지를 골라서 하는 것인줄 알았는데
시세트레킹의 정확한 목적과 방법을 알려주셔셔
지난 실준 임장지부터 바로 시작해야 겠습니다
3.임보
직장- 종사자구/인구수 비율
인구- 전제 인구수만 보는게 아니라 인구구성 특징을 함께 이해
2지역의 경우 인구 전출입이 ㅈㅈ과 연결되어 있어,
각 지역의 자체 공급이 더 중요 => 앞으로 임장지에 또 이런 지역이 있나? 고민하기
환경- 거주하고 싶어하는 안전하고 균질한 지역은 어디인가? (정주여건)
위의 내용을 첨가하여 임보 작성하기
열강을 해주신 망구99님 너무 감사합니다.마지막 20분정도 남겨두고 과거경험들을 말씀해 주실때
"많이 힘드셨구나.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하셨구나"를 배웠습니다
"투자로 돈 벌줄 아는 사람이 되기로 마음먹으셨다면, 스스로를 잘하고 있다고 다독이며 시간을 잘 쌓아가세요"
저 스스로를 많이 다독이며 잘하고 있다고 칭찬해주며 하루하루 보내겠습니다.
감사하고 건강하세요! 망구99님 ^^
혹시 망구99님께서 이 글을 보신다면 2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평형별로 다 한다면 각 몇개씩 해야 하나요?
댓글
둥이와 함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