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위즈덤하우스
3. 읽은 날짜: 2023.02.25
4. 총점 (10점 만점): 8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프롤로그]
#살아있는 책읽기
살아있는 책읽기는 1) 독서 마인드 셋 2) 본깨적 독서법 3) 북 바인더로 구성되어 있다.
[Chapter2. 7장. 책을 몇 권이나 읽어야 삶을 바꿀 수 있을까]
# 300권
본깨적 책 읽기로 300권이면 가능하다. 고정관념이나 습관은 본능과도 같아서 끈질기게 불쑥불쑥 고개를 내민다.지속적으로 자극을 주어 실천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최소한 300권은 읽어야 한다.
100권 읽으면 사고방식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300권을 읽으면 긍정적 사고방식이 완전히 뿌리를 내리고, 700권부터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해 1000권을 읽으면 완전히 바뀐다. (이지성 작가)
[Chapter3. 실전! 본깨적 책읽기]
#Before reading
작가의 관점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 보려고 노력
1) 이 책과 나의 연관성은?
2) 책을 보고 예상 키워드 3개 뽑아보기
3) 이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깨적
1) 읽기 전 귀접기, 읽으면서 귀접기: 속도, 강도 조절
2) 밑줄, 박스 치면서 읽기: 집중력 높이고 기억에 도움, 중요한 내용 파악, 이해도 높임
3) 책 위쪽 여백에 본것, 아래쪽 여백에 깨적아 적기: 재독 속도 빨라짐. 아이디어 기록하기 좋음
*333 본깨적
본: SKI (Subject, Keyword, Impressive phrase) 저자가 말하고 싶은 핵심 내용 파악하기 위한 3가지
깨: MRK (Motivation, Role-model, Knowledge) 내가 더 깊은 깨달음을 얻기 위한 3가지
적: KIA (Kaizen, Idea, Action plan) 더 잘 적용하기 위한 3가지. 적용해야 완성된 책 읽기
#After reading
1) 인덱스 붙이기: 본, 깨, 적 각각 3개씩만 다른 색으로 인덱스 붙이기 (재독에 도움)
2) 평가: 1) 나에게 유용한 책인가?
2) 책을 읽고 난 후 핵심 키워드 3개 뽑아보기
3) 이 책에서 얻은 것은 무엇인가? (읽기 전과 비교)
4) 책 속의 책 또는 연관 지어 읽어볼 책이나 내용은 무엇인가?
3) 본깨적 노트: 중요한 대목 베껴 쓰기, 핵심 요약 정리, 깨달은 점, 적용할 점 적기
[Chapter4. 북 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독서습관 #지식자서전
바인더는 단순히 일정을 기록해두는 다이어리가 아니다. 분명한 목표를 세우고 그에 따라 어떻게 시간을 쓸 것 인가를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적극적인 시간 관리 시스템이다. 시간 관리 뿐만 아니라 꿈을 이루거나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역할도 한다.
#One book #One massage # One action
아무리 좋은 내용이 많아도 한 책에서 하나의 메시지를 선정해 그것만 실행하는 것이다. 삶을 변화 시키려면 '지속성'이 중요하다. 하루에 한 가지씩 이라도 변화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할 때 삶은 변한다.
목표가 과하면 빨리 지친다. 욕심 부리지 말고 한 책에서 하나씩만 꾸준히,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 만으로도 삶은 충분히 변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1.책을 읽는 방법을 처음 제대로 배운 것 같다. 책을 읽으면 며칠 후에는 금방 잊어버렸었는데, 읽는 것을 넘어서 깨달은 점과 적용할 점을 더 생각하고, 기록하고 체계적으로 저장해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2.본것은 저자가 말하고자하는 내용이므로 밑줄을 긋고 박스를 치면서 핵심내용을 파악하고 내 언어로 정리한다. 깨달은 것은 내가 내 상황에 맞게 생각해보고 마음의 변화가 생기거나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적용할 것은 떠오른 생각과 개선할 점을 현실화 하기 위해 해야할 일을 생각해 보는 것이다.
이를 책의 빈 공간에 적고 인덱스로 표시해두고, 따로 노트에 정리해 두고, 하나의 행동을 꾸준히 한다면 책을 제대로 읽었다고 할 수 있다.
3.1124 재독법 1주 2주 4주 후 한 번 씩 재독을 하면 장기 기억이 가능하다. 본깨적과 본깨적 노트는 이를 쉽고 빠르게 해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4.바인더는 목표, 시간관리, 일정관리, 독서목록, 본깨적, 아이디어 등을 포함하여 삶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다.
5.목표를 세우고 좋은 책을 골라서 본깨적을 하면서 꾸준히 독서를 하면, 행동, 습관, 삶이 정말로 변화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1. 책을 읽을 때 아끼지 말고 밑줄 긋고 깨달은 점, 적용할 점 적극적으로 적어두기, 본깨적노트 정리해 두기, one message, one action 정해서 실행하기, 1124 재독법으로 잊기 전에 재독하여 기억하기
2.바인더 또는 유사한 방식을 세팅해서 시간, 일정, 독서, 아이디어, 목표를 잘 적어두고 관리하기
3.추천도서 리스트를 독서목록으로 작성하고, 계획을 세워 독서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p. 100-101) 알을 깨려면 책과 나의 줄탁동시가 필요하다.
고정관념과 습관으로 단단해진 나를 둘러 싼 껍질을 깨야 삶이 바뀐다. 내 삶의 변화를 가로막는 고정관념과 습관을 바로 잡는 데 책만큼 도움이 되는 것도 드물다. 책의 장점 중 하나가 나와는 다른 다양한 생각을 접하고, 수많은 일들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책을 읽는다고 다 나를 둘러싼 단단한 껍질을 깰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책을 읽기 전에 편견 없이 책 내용을 받아들이려는 마음의 자세가 필요하다. 편견없이 책 내용을 받아들이려는 마음가짐과, 책을 통한 다양한 생각과 간접경험이 동시에 일어나야 껍질이 깨진다.
(p. 172-173) 다양한 생각을 공유해야 생각이 깊어진다.
'한 사람이 10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10명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 더 낫다'라는 말이 있다.
각자의 경험과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을 이야기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생각이 확장된다. 혼자 있을 때는 전혀 떠올리지 못했던 이야기를 다른 사람을 통해 들으면서 생각이 유연해지고 생각의 울타리는 점점 넓어진다. 개관 독서의 수준을 넘어 분석 독서와 종합 독서를 한 것과 같은 효과가 난다.
(p. 247-248) 책과 함께라면 건너지 못할 웅덩이가 없다.
직장인의 하루는 짧다. 하지만 바쁜 시간을 쪼개서라도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책이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고 좋은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맹자의 '불영과불행 (不盈科不行)은 '물이 흐르다 웅덩이를 만나면 그 웅덩이를 다 채운 다음에야 비로소 앞으로 나아간다'라는 뜻이다. 우리는 시련이라는 웅덩이를 스스로 채우고 넘어가야 한다. 웅덩이에 빠졌다면 그 웅덩이에 책을 넣어보라. 먼저 가슴 아팠던 저자들에게 손을 내밀어보자.
역경이라는 말을 바꾸면 경력이 된다. 역경을 칼이라고 한다면 경력은 칼집이다. 역경이라는 칼에 우리는 상처를 입는다. 하지만 책과 함께라면 역경이라는 칼을 경력으로 멋지게 포장할 수 있다. 책과 함께라면 어떤 깊은 웅덩이를 만나고, 어떤 강력한 역경을 만나도 넘어갈 수 있다.
댓글
나무1010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