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월부학교 겨울학기 구6ㅐ줘망구 1뚜뚜] 4강 후기-리스크에 대한 모든 것

  • 24.02.28

안녕하세요 뚜뚜입니다.

월부학교 4강은 부자대디 튜터님의 '리스크에 대한 모든 것'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리스크? -> 공급? -> 무서워! -> 피하자!
이런 단순한 생각 회로였는데;;

강의를 듣고나니, 리스크도 세부적으로 상황과 정도에 따라 구분하고
투자 가능 여부를 세세히 따져봐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두렵고 피하고 싶은 R I S K...


관리할 수 있다면 대응할 수 있습니다.

투자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리스크는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준비할 수 있는 리스크
  2. 대응해야 하는 리스크
  3. 리스크 이후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리스크 계량 을 해야합니다.


감당 할 수 있는지 vs 감당할 수 없는지
편익이큰지 vs 대가가 큰지
Hedge 가능한지 vs Hedge 어려운지


따져보고


투자 가능한지 / 보류해야하는지

원칙과 기준을 가지고 판단해야합니다.



여기서 "원칙"이란,

-인생에서 원하는 것을 얻도록 만들어주는 행동의

기초가 되는 근본적인 진리


"기준"이란,

-원칙을 지키는 표준 가이드라인



원칙1. 전세를 안정적으로 세팅하고 운영한다.


원칙 2. 공급이 많고 리스크가 높아도 투자할 수 있는 해법을 찾는다


원칙3. 전세를 싸고 빠르게 세팅한다.


원칙4. 핵심 계약 조건은 반드시 필요조건 성립해서 계약한다.


원칙5. 전세는 매뉴얼대로 세팅한다.


원칙6. 재계약은 매뉴얼대로 진행한다.


원칙7. 예상하지 못한 일은 빨리 받아들이고 대응한다.


원칙8. 임차인이 불편하지 않게 하고 좋은관계를 유지한다.


원칙9. 매도는 목표 수익을 달성 했을 때,

또는 더 좋은 갈아타기(자금활용) 할 수 있을 때 한다.




0호기때 공급리스크를 확인하지 않았었습니다.


전세계약 후 1년뒤에

시장상황도 좋지 않았는데

인근에 입주가 있었습니다.

전세가에 영향이 컸습니다.

만약 내 물건의 재계약 기간과 겹쳤다면

역전세가 심했을 것입니다.


그 일 이후에 공급과 계약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칙과 기준이 되었습니다.


리스크를 항상 피하기만 할 수 없으니,

상황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봐야겠습니다.


댓글


1뚜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