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는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따져보고
투자 가능한지 / 보류해야하는지
여기서 "원칙"이란,
-인생에서 원하는 것을 얻도록 만들어주는 행동의
기초가 되는 근본적인 진리
"기준"이란,
-원칙을 지키는 표준 가이드라인
원칙1. 전세를 안정적으로 세팅하고 운영한다.
원칙 2. 공급이 많고 리스크가 높아도 투자할 수 있는 해법을 찾는다
원칙3. 전세를 싸고 빠르게 세팅한다.
원칙4. 핵심 계약 조건은 반드시 필요조건 성립해서 계약한다.
원칙5. 전세는 매뉴얼대로 세팅한다.
원칙6. 재계약은 매뉴얼대로 진행한다.
원칙7. 예상하지 못한 일은 빨리 받아들이고 대응한다.
원칙8. 임차인이 불편하지 않게 하고 좋은관계를 유지한다.
원칙9. 매도는 목표 수익을 달성 했을 때,
또는 더 좋은 갈아타기(자금활용) 할 수 있을 때 한다.
0호기때 공급리스크를 확인하지 않았었습니다.
전세계약 후 1년뒤에
시장상황도 좋지 않았는데
인근에 입주가 있었습니다.
전세가에 영향이 컸습니다.
만약 내 물건의 재계약 기간과 겹쳤다면
역전세가 심했을 것입니다.
그 일 이후에 공급과 계약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칙과 기준이 되었습니다.
리스크를 항상 피하기만 할 수 없으니,
상황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봐야겠습니다.
댓글
1뚜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