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기다렸던 2강의 강의 수강을 마무리하고 인상깊었던 것, 벤치마킹해야겠다는 것 위주로 강의후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1. 제 1호기 투자는 잃지않는 투자하기
아직 내마 기초만을 수강하는 초보투자자의 입장에서 목표로 세운 '24년 1호기 투자가 아직 막연하게만 느껴지는 상황에서, 제1호기를 투자하는 초보 투자자의 경우 잃지 않는 투자가 중요하다는 강의 내용은 1호기 투자시 어떤 부분에 조금 더 집중을 해야할지 윤곽을 잡아주는 느낌이었습니다. 물론 강의에 나온 기준(저평가, 환금성, 수익률, 원금보존, 리스크관리) 모두 따져서 투자를 진행해야겠지만 1호기는 특히 원금보존, 리스크관리에 조금 더 비중을 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가격이 동일한 것 중에서 가치가 가장 높은 것!
앞으로 앞마당을 만들면서 비교평가를 통해 투자를 진행해야 하는데, 그 방법적인 부분에 있어서 인상이 깊었습니다. 확실한 비교가 가능한 '가격'에 비해 '가치'는 정확한 측정 및 평가가 힘들기 때문에 가격이 같은 것들 중에서 '가치'가 가장 뛰어난 투자방법을 행해야 한다고 이해했습니다.
(생각해볼것) 가각이 동일한 것 중에 가치가 더 뛰어난 것을 추출했어도, 그것이 가격이 싸다는 것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모든 비교평가 후보군에 든 아파트가 모두 비싼 상태일 수 있지 않을까? 가격이 싸다는 것을 확인할 줄 아는 눈 기르기!
3. 입지독점성을 가지는 가(입주물량 관련)
투자 시 고려해야할 것 중 전세가와 관련하여 향후 N년간의 입지독점성을 꼭 확인해봐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0.5% 인구에 해당하는 입주물량인지 여부에 따라서 입주물량에 대한 가치평가(S, A, B, C, D)를 할 수 있습니다. 전세가는 매매가격이 가장 많이 떨어졌을 때 수준으로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전세가가 어느정도 변동할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생각해볼것) 통상 전세계약(2년, 4년 등) 기간의 단위로 입주물량을 확인하는 것 같습니다. 한가지 의문이 들었던 것은 , 입주물량의 경우 신축 아파트가 건설된 이후 분양 등이 이루어진 이후에 확정되는 사항이므로, 신축 아파트 건설 항목까지도 미리 파악을 해놓아야 하는 것인지 궁금하였습니다.
댓글
YOSHI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