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돈의 속성
2. 저자 및 출판사: 김승호 / snowfox
3. 읽은 날짜: 2024.03.10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Chapter1.
#자산 #시간
p.53 빨리 부자가 되고 싶으면, 빨리 부자가 되려하면 안된다.
이 마음은 누군가와 나를 비교하고 있거나 주변에 나를 과시하고 싶은 마음이 필연적으로 내포 되있다.
경제 전문가는 미래를 예측할 수 있나? 경제학자 John Gallbraith 세상에는 ‘모르는 사람’과 ‘모르는 것을 모르는’두종류이 사람이 있다. 모를때가 아니라 안다고 생각한 것이 틀렸을 때 더 위험하다.
최근 유시민 작가가 윤석열 대통령에 “자신이 얼마나 어리석은 모를 정도로 어리석다”고 언급했는데 (당연히 누굴 판단하고 싶지 않다)나 스스로를 되돌아본 말이었다. 나는 무엇을 판단할 때 아무것도 모르면서 무엇을 모르는지 조차 모르면서 판단하지 않았던가?
[Chapter2. 나의 독립기념일은 언제인가?
#시간 독립 #진정한 자유
P158. 나는 자유민주주의 한 나라에 살고 있다. 나에게 자유가 있나? 생각했다. 나는 나의 시간을 소중히 생각한다. 경제적 자유라 흔히 일컬어지는 건 나에겐 시간의 자유의 다른 말이기도 했다. 최근 모 박사의 말이 동일한 의미에서 맴돌았다. 사람을 감옥에 가두는 것은 가장 평등하게 주는 형벌이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주어지고 그것을 뺐는 것으로 동일한 형벌을 주는.
사람은 누구나 하고 싶은 것을 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어쩌면 하기 싫은 것을 안 할 수 있는 선택권을 더 가지고 싶을지도 모른다. 하지 않을 자유를 위해 노력한다.
[Chapter3 돈을 다루는 네 가지 능력
#네 가지 능력
네 가지 능력(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유지하는 능력, 쓰는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글을 읽었을 때 큰일이다! 나는 어느 것을 잘한다 할 수 있나? 생각했다.
돈을 많이 가지고 싶다고만 생각했지 능력을 키울 생각은 못했다. 아니 그런 능력이 필요하다는 걸 인지 하지 못했었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부자가 되는 방법을 알려줘! 이런 책은 그냥 부자가 쓴 책이잖아! 치부했던 것 같다. 어떤 마음가짐이어야 하는지, 어떤 능력이 갖춰져야 하는지,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지,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다 중요하다. 그래야 벌고, 모으고, 유지하고, 잘 쓸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는 것 같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나도 아이를 가지기 전에 도전적이고 경제를 알며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자라는 것을 바랬다. 하지만 똑같은 한국식? 부모가 되어있었다. 오히려 더 극심한 보호막이 되려 했던 것 같다. 조금만 위험하면 “안돼”를 외치고 있었다. 이대로 였다면 나중에는 그냥 공부 열심히 하고, 성적에 화내고 똑같았겠지?
P239 나는 그저 아이가 필요한 것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생각한다. 아들이 필요하면 스스로 노력할 것이기에. 내가 바라는데로 키우려하면 아이 꿈은 더 작아질 것이다. 아들은 꿈꾸려면 나도 꿈꿔야 할 것 같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159p 누군가를 위해 일을 한다는 것은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남에게 제공하고 돈을 받는 것이다. 그가 이를 거절하면 나의 수입은 사라진다. 나에게 결정권이 없는 것이다.
이 결정을 내가 하기 위해, 내 시간의 온전한 주인이 내가 되기 위해 독립기념일을 앞당겨야 한다. 가난의 꼬리를 내 세대에서 끊어내야 한다. 아버지는 그를 끊어주기 위해 지금 나이까지 노력하셨고 최선을 다했지만 미안한 마음에 그 바통을 내게 안넘겨 주고 계신다. 이제 내차례다. 그 고리를 내 세대에 끊고 독립을 기념하겠다.
댓글
상쿵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