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부안에서 무럭무럭자라
몸도 마음도 건강한 투자자가 되고싶은
로지민입니다 :)
오늘은 기대하던 실전반의 첫번째
제주바다님의 강의였는데요
바뀐 시장흐름에 대해 새로이 알수있어 더 집중되고
명확한 수도권 투자 기준을 알 수 있었던
1강 후기 시작합니다
수도권 시장의 현실은 어떨까?
우리가 손꼽아 기다리는 수도권 투자 시장!
의외로 수도권은 매매가가 지지부진하고 전세가가 오른 상황에서도 기다려주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단 걸 다시금 느꼈습니다
하지만 선호되는 단지라면 그 기간이 절대적으로 짧거나 기대만큼 오지않을수도 있다는 것!
그렇기 때문에 ‘난 좋은곳만 할거야’라는 이분법적 생각은 버리고
내가 모은 종잣돈으로 투자할수 있는곳 중 ‘가치있는 곳’을 ‘지금 투자한다’를 복기할 수 있었습니다
Bm 꾸준한 앞마당과 저축으로 투자기회가 왔을때 다음을 기약하지 않고 투자로 행동한다
수도권의 특징과 급지에 대해서
투자를 할 때, 급지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다는 걸 알 수 있었는데요
수도권 투자 기회가 다가온다는 걸 코칭과 구해줘 월부를 통해서,
그리고 작고 소중한 제 수도권 앞마당의 전세가율이 점점 높아지는 걸 보며 어렴풋이 느낄 수 있었지만
정말 2급지에도 투자를 할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 + 의구심이 함께 있었던 것 같아요
모두가 좋아하는 상급지에 당장 투자를 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이라면
급지별로 투자 우선순위에서 핵심요인을 알아야 하고
서울의 급지가 경기도 급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이라도 투자 결과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 가치를 알아보려면
ㅈㅈ ㄱㅌ ㅎㄱ ㅎㄱ에 따라 평가를 달리 해야함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평균가격으로 일반적인 가격수준을 알고
지역의 가장 높은 가격까지 알며
입지요소가 변할때 급지는 변할수 있다는 점까지 염두해둔다면 상대적으로 좋은 가치를 선택하고 투자까지
이어지겠구나를 알게 되었습니다
Bm 아직은 어려운 비교평가! 하지만 급지로 가치를 가릴수 없다는 점을 명심하고 급지는 도구로서 활용하자
수도권 투자는 어떻게 접근해야할까?
제주바다님께서 예시로 들어주셨던 전세가율이
기준치일때와 높을때로 나누어 단지 투자 결과를 보며
이해가 쏙 되었습니다
서울은 투자금이 많이들기에 소액으로 하면 좋겠단
막연한 기대감이 있었는데
오히려 지금처럼 겨울인 시장에서는 높을때를 기다리지 않고
자본금이 더 들더라도 전세가의 상승 수익으로 투자금을 빨리 회수하고 재투자를 하는게
더 좋을 수 있다는 접근법을 배울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점은
그 투자금으로 투자할 선순위 단지인가?
소액으로 투자를 해야할 후순위 단지인가?를 고려해야하고
역전세의 리스크에 대해 새롭게 알수있어
개인적으로 가장 울림이 있는 강의부분이었습니다
Bm 전세가율 60%인 단지들을 잘 봐두었다가 가치가 높은 곳에 투자를 고려하자
모든 강의 내용이 중요했기에
머리속에 쏙쏙 입력하고 싶었는데요
이번 강의에서 제가 가져가고 싶은 한 가지를 꼽는다면
“전세가율 60% 이상 중급지의 선진입 투자를 살펴보되
그 가격의 투자금이라면 내가 바라보는 단지가 최선인지
아니면 더 상급지 투자도 가능한지를 체크하는 것”입니다
돈그릇을 키워 들게 모은 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강의도 감사드립니다 :)
댓글
로지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