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2주차강의후기

  • 24.03.23

와닿았던 점


막연하게 알던 지식들이 명확하게 정리되고 줄세워 짐.


*좋은 투자를 하려면

-매일의 뉴스에 휘둘리지 말고 /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 가치를 믿고 오랫동안 장기 응원할 수 있는 것에 투자하라

매년 30프로 수익률을 내는 마젤란펀드도, 50퍼센트의 투자자는 손실을 봤다.

-> 가치에 확신을 가지고, 오랫동안 버틸수 있어야(리스크에 대비할 수 있어야) 수익을 얻는다.


*부동산의 입지:

1)직장 : 강남(강남서초강동), 종로(광화문), 영등포(여의도), 구로금천(구디가디), 마포, 판교와분당

2)교통: 주요직장3지구 모두 지나는 2호선이 최고,

종로중구강남권을 잇는 3호선, 9호선과 신분당(판교광교분당), 7호선

cf. 용산은 강남 여의도 중구 모두 자차로 접근 편해서 비싸다.

3)학군(서울대 보내는 순위-좋은 곳은 전세수요가 늘 높고 상승장에서 폭발적 상승의 동인), 환경, 호재악재


5~10년뒤를 보고 사는 것이 필요.

지역의 브랜드 등급을 생각- 하락장에서 같은 가격일 때 급지를 더 높여서 움직이자. 하락장은 위아래가 없다.

입지독점성 있는지 보라. (ex.고덕vs동탄)



*부동산 가격은 오를 것인가?

자본주의의 큰 원리를 이해할 것

통화량은 물가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 인플레는 자본주의에서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것.

**서울의 05년도 평당전세가(830만)와 15년도 평당전세가(1650만) 비교하면 100퍼 상승했는데, 통화량 2배 증가한 것이 정확히 반영된 것이다.

**10년후(25-30년도?) 아마 평당전세가 3000 넘을 것이다.

cf.예금은 10년에 두배씩 감가상각중이다.


우리나라는 경상수지 흑자국(세계4위)인데 문제는 우리나라로 쏟아져 들어오는 돈이 내 주머니를 스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근로소득만 해서는 인플레를 헷지하는(?)수단이 없다. 인플레가 생길 때 내것도 올라가야 한다. 그게 바로 월부식투자(시세차익형 부동산)의 전세금 레버리지 이용하는 방법.


늘 상승 다음에는 하락이 온다(지나친 상승 뒤에는 고꾸라짐 있다)

시장은 늘 3년 오르고 5년 보합 2년 역전세


*어떻게 잃지 않는 투자를 할까?

저 평가 : 같은가격이면 가치높은 것, 같은가치면 싼것.

환 금성: 수익률에 눈이 멀어 안팔리는 아파트 사는게 최악이다

수 익률: 10년에 100퍼센트라고 생각(10년에 두배. 물가상승률이 그정도니까 최소한?), 1년에 10프로

높이는 법- 입지독점성(앞으로 가치가 오르는지 수요공급법칙), 적절한투자금과 전세금상승, 타이밍,

원 금보전: 무릎이하에서 산다. (혹시 떨어져도 안팔면 손실확정x), 매입 후 가격 얼마나 빠질지 예상하고 들어가야

한다. 향후 10년간 두배 될수 있나?, 하락장에서 전세가율50프로까지 빠질 때 내가 감당 되나?

월부식투자(시세차익형부동산)의 리스크는 하락장보다는 역전세.(서로 다른가?모르겠다.)

리 스크 대비:



-자산 1억 미만이라면 얼른 총자산을 늘리자. 나중에 부채 갚아가며 순자산을 늘리는 방향으로

-투자1년차의 적정 수익률: 잃지 않는 것이다. 처음은 작게 잃지 않게, 수익률 차츰 높이기 위해 투자공부를 하는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 맞다. (꼬마가 류현진 공 칠 수 없다. 번트(손만대도) 다행, 시장은 아마추어를 봐주지 않는다.)

-전세가율 높을 때 너무 작은 갭으로 했다가 2년뒤 역전세나는 것보다 적당한 갭으로 사서 꾸준히 전세상승분을 얻는 게 훨씬 안전하다.



적용해보고 싶은 점


1)오랫동안 버티려면 리스크대비를 잘 해야한다.

최악의 경우 어디까지 떨어지는가?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는가?


2)가족의 돈을 끌어들이지 말라.


3)10년뒤 서울 평당전세가 3000 된다는 말의 뜻을 여러 방면으로 잘 생각해보자..

ex. 32평기준이면 9억6천일 것.


현재 매/전 9억/4.8억인 물건 있다 치자.

10년 후 전세 9.6억 된다면, 매매가는 전세가 이상은 될 것이고 (즉 현재 평당전세가격이 10년후 가격의 50퍼센트라고 가정해 보는 것), 지금 9억에 산대도 10년후 원금보전은 될수 있다고 상상해볼 수도 있음.

전세가율 50~60퍼센트 생각하면 적게잡아도 매매가 15정도 된다고 생각해볼 수도 있음.

단 충분한 수요가 있는 지역에 대한 이야기임....


4)저환수원리를 잊지말자. 여러방면으로 복기할 것.

10년후 물가 두배되기에, 향수 10년간 두배는 올라야 한다. 50프로까지 빠질때 리스크 감당 되나? 1년에 1채의 의미(리스크대비),


5)멘토와 러닝메이트

내옆에 나보다 잘하는 사람을 두라. 멘토는 내가 올라갈 수 있는 끝이다.

성실하고 밝은 사람을 곁에 두라.


6)5번의 강의 10권의 독서 -> 50일의 임장.(50일...) 5개의 앞마당 ---> 한개 투자.

1개 투자하는데는 최소 이정도의 시행과 안목, 경험이 필요하다

조급해하지 말고 정신차리고 쌓아나가자.

남은 9권과 49일, 그리고 4개의 앞마당을

부자의 그릇은 여러가지가 둘러채워져야 한다. (동료, 강의, 임장, 독서, 멘토, 실전투자경험, 부자의 태도...)










댓글


아름드리숲
24. 03. 28. 10:27

꼼꼼하게 강의 내용을 잘 정리하셨네요. 우리 함께 앞으로 꾸준히 부자 그릇을 채워나가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