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 버는 독서 모임] 불변의 법칙 - 독서 후기

  • 24.04.10

돈독모 - 불변의법칙


읽기전

키워드: 변하지 않는 것, 역사, 인간의 심리

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인간의 변하지 않는 행동양식을 기반으로 해서 지금까지 일어났던 사건들을 해석하고, 투자와 세상에 대한 견해를 배울 수 있을 것 같다


1. 이토록 아슬아슬한 세상(p.41)

흔히들 미래를 알려면 먼저 과거를 보라고 말한다. 하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보면 다음을 인정해야 한다. 과거를 보아도 미래는 알 수 없다는 사실 말이다. 세상 모든 일은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혼합되고, 결과가 증폭되기 때문이다. ... 하나는 특정한 사건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토대로 예측해야 한다는 것이다. ... 내가 기억하려 애쓰는 또 다른 하나는 열린 상상력을 지녀야 한다는 점이다. 즉 현재 상황을 뛰어넘어 늘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깨) 우리는 미래를 예측하려하는데, 하나의 사건은 예상치 못한 것들에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것이므로 사건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동패턴을 고려해야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해야한다.

(적) 결국 시장을 움직이는 것은 특정한 사건에 대해 반응하는 사람들의 행동패턴이다. 지금까지 보여온 사람들의 행동패턴을 토대로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넓게 생각해봐야한다.


2. 보이지 않는 것, 리스크(p.49)

"당신이 모든 시나리오를 남김없이 고려했다고 생각한 후에 남는 것이 리스크다" ... 오로지 예측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언제 어디서 닥칠지 모를지라도 리스크가 언제고 반드시 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편이 낫다.


(깨) 리스크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언젠가 리스크가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철저하게 대비하고 과하다 싶을 정도로 준비해야한다.

(적) 리스크는 반드시 있다. 내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리스크에 철저하게 대비하고 준비해야한다. 그렇다면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서 리스크가 발생한다고 할지라도 대응할 여력이 있을 것이다.


3. 기대치와 현실(p.79)

행복한 삶을 위한 제1원칙은 기대치를 낮추는 것입니다. 비현실적인 기대치를 갖고 있으면 평생 괴로워집니다. 합리적인 기대치를 갖고, 당신이 맞이한 결과가 좋든 나쁘든 침착함과 평정심을 갖고 받아들이십시오.


(깨) 현실과 기대의 괴리에서 불행하다고 느끼거나 만족감을 느낀다. 지나치게 허황된 기대치를 버리고 현실에 맞게 합리적으로 기대치를 낮춰야한다. 그렇지않으면 절대 행복해질 수 없다.

(적) 누군가와 비교하면서 그 사람의 기준에 맞게 내 기대치를 형성한 적이 있지는 않은가? 나에게 맞는 수준의 적절한 기대치를 가져야한다. 투자공부를 막 시작한 나에게 전문 투자자의 견해를 바랄 수는 없다.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서 일단 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거기서 동력을 얻어야 한다.


4. 확률과 확실성(p.113)

사람들은 이 세상이 예측 가능하고 통제 가능한 곳이라고 믿고 싶어 한다. 따라서 그 욕구를 채워줄 것 같은 권위 있어 보이는 이들에게 의지한다


(깨) 사람들이 그렇게 예측에 목메는 이유는 불확실성을 극도로 싫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군가가 미래를 예측해주길 바라고 그것을 믿고싶어한다. 나 역시 지금까지의 경험을 되돌아보면 이 주식이 오를것인지 떨어질것인지 확실하게 누군가가 알려주길 바랐었다. 왜냐하면 확실한 것에 투자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적) 불확실성이라는 불편한 상황을 견뎌야한다. 쉽게 예측할 수 없고 예측대로 일어나지도 않는다. 내가 그 상황을 정확하게 바라볼 수 있어야 하고 거기에 맞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통계가 놓치는 것(p.154)

경제적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유용성이나 이윤이 아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사람들이 원하느냐 원하지 않느냐가 중요하다. 경제와 관련한 수많은 행동 및 의사결정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은 결국 인간의 욕구와 감정이다. 때때로 그러한 감정 요인을 분석하거나 예측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깨) 인간의 욕구와 감정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한다. 부동산 투자에서도 마찬가지아닐까? 사람들이 그것을 왜 좋아하는지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힘든 것도 사람의 감정이 반영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동산은 공감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것같다.

(적) 머리로 이해하지 말고 가슴으로 이해해야한다. 그래야 사람들의 선호를 분명히 파악할 수 있다. 이 사람들이 어떤 생활을 하고 어떤 것을 추구하는지를 파악해야 그들에게 공감하고 그들이 원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6. 평화가 혼돈의 씨앗을 뿌린다(p.170)

평화로운 시기의 아이러니는, 그 평화가 안심과 만족을 조성하고 경고를 무시하는 태도를 키운다는 점이다.


(깨) 사람들은 최근 3개월의 기억이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좋은 일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한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좋은일이 지속될 것이라 생각하고 잠재적인 리스크에 대해 무시해버리기 때문이다.

(적) 영원한 것은 없다. 시장이 좋을 때도 항상 대비하고 있어야한다. 그 신호를 분명히 알아차려야한다.


7. 더 많이, 더 빨리(p.186)

투자 기간을 압축할수록 투자자는 운에 더 의존하게 되고 실패하기 쉽다. 역사 속의 투자 실패 사례들을 훑어보라. 그중 자그마치 90퍼센트가 이 자연스럽고 '가장 알맞은' 투자 기간을 짧게 압축하려 한 탓에 일어났다.


(깨) 더 빨리 갈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더 빨리 더 많은 수익을 내고 싶어서 무리하게 투자를 하게 되고 그 위험을 모두 떠안는다. 위험을 감수하고 더 빨리 가려고 하는 것보다 정석대로 움직이는 게 낫다. 기다릴 줄 알아야한다.

(적) 조급함이 문제다. 조급함을 버리고 버텨야한다. 저평가된 아파트를 찾아서 투자했다면 그것이 제 가격을 찾아갈 때까지 보유하고 버텨야한다.


8. 비극은 순식간이고, 기억은 오래 걸린다(p.217)

좋은 일은 작고 점진적인 변화가 쌓여 일어나므로 시간이 걸리지만, 나쁜 일은 갑작스러운 신뢰 상실이나 눈 깜짝할 사이에 발생한 치명적 실수 탓에 일어난다.


(깨) 좋은 일은 서서히 일어나고 나쁜 일은 갑자기 일어난다. 좋은 일이 한번에 훅 다가오는 일은 거의 없다. 내가 오늘 이룬 행동과 노력이 쌓여서 나중에 좋은 일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순간의 실수를 통해 나쁜 일이 나에게 다가올 수도 있다. 사실은 좋은일이든 나쁜일이든 서서히 다가오는데 나쁜일이 일어나는 조짐을 알아차리지 못하기 떄문은 아닐까? 그래서 나쁜 일이 갑자기 발생한 것처럼 느끼는 것이다. 나의 연속적인 순간의 판단들이 나쁜 일로 이어지는 것이었다면?

(적) 그러므로 신중하게 접근하고 대비해야한다. 갑자기 발생할 위기에 대응할 수 있어야한다.


9. 희망 그리고 절망(p.245)

비관론자처럼 대비하고 낙관론자처럼 꿈꾸라


(깨) 예상할 수 없는 모든 위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보수적으로 준비해야한다. 그래야 쉽게 나가떨어지지않는다. 그럼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반드시 목표를 이루겠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오래 버틸 수 있다. 잃지않는 투자를 해야 오래 살아남을 수 있다.

(적) 비관론자처럼 대비하라는 것은 잃지않는 투자를 하라는 말이고 낙관론자처럼 꿈꾸라는 것은 목표를 절대 놓지 말라는 것이다.


10. 모든 여정은 원래 힘들다( p.281)

장기적 성공과 발전의 연료가 되는 것은 인내심이다. 힘들고 혼란스러운 시기를 묵묵히 견디는 것은 결점이 아닌, 적정한 수준의 불편함을 받아들일 줄 아는 장점이다.


(깨) 버티지않고 성공할 수는 없다. 높은 수준의 목표를 이루어내길 원한다면 그만큼 힘든 여정을 감내해야한다. 그것을 버티게 하는 것이 인내심이다.

(적) 나는 지금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있다. 쉽지만은 않다. 하지만 나는 버틸 것이고 버틸 수 있다. 쉽지않을 거라고 생각하고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성공으로 가는 과정은 원래 힘들다. 성공한 그 순간만 생각하면 쉬워보이기 때문에 쉽게 나가떨어진다. 그 과정을 생각하고 원래 힘든 길이라고 생각하자.


11. 멀리 보는 것에 관하여(p.355)

혼자서만 장기적 계획을 확신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당신의 파트너나 동료, 배우자, 친구도 함께해야 한다.


(깨)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도 혼자서는 이룰 수 없다. 가족의 지지 없이는 절대 성공할 수 없다. 가족이 배려하고 양보한 덕분에 내가 지금까지 투자공부를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우리 집 가계는 나와 남편이 운영하는 것이다.

(적) 그러므로 혼자서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고, 모든 과정에서 함께해야한다. 내가 지금 무엇을 투자하려고 하는지, 이것에 투자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는 무엇이고 그것에 어떻게 대비할 것인지 등 가족을 납득시킬 수 있어야한다. 그래야 멀리갈 수 있다.


12. 복잡함과 단순함(p.369)

하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몇 개의 간단한 요인이 결과의 대부분을 만들어낸다. 그 핵심적인 몇 가지만 이해하면 상황을 충분히 처리하거나 해결할 수 있다.


(깨) 팔레토의 법칙이 떠올랐다. 20%의 요소들이 80%의 결과를 낼 수 있다. 핵심적인 요인들을 파악해야한다. 그 사람이 진심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야한다. 그래야 최대한의 효율을 끄집어낼 수 있다.

(적) 80%를 이끌어내는 20% 요소들을 찾아보자. 지속적으로 고민해봐야하는 부분이다.


댓글


끝까지간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