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유튜버로 유명하신 코크드림님의 강의를 처음 들어봤습니다.
임장방법, 임보방법 처럼 특화된 내용을 집중적으로 배웠던 1-2주와 달리
비교평가, 전세세팅이라는 부분을 넓게 설명하신 듯 합니다.
시세트레킹을 왜 해야하는가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시세트래킹은 내가 투자하려는 물건의 가격을 시세 트레킹하는게 아니라 대장, 지역별 대표단지를 트래킹하여 그 지역의 분위기를 파악해야 한다는 사실이 쇼킹했습니다.
사실 투자금이 많지 않아 대장들을 다닐 때도 좋은 건 알겠는데... 이런 감정이었는데요
역시 대장을 눈여겨 봐야 하는데에는 타당한 이유가 있네요.
전세세팅은 사람과의 관계이면서 또 법적인 관계이기도 하기 때문에
세심하게 관리하고 영리하게 굴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전단지 돌릴 시간을 좀 더 생산적인 곳에 활용하라는 말은 정말정말 맞는 말 같아요
물론 생산적이려면 돈이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 뼈아프긴 하지만(시간=돈, 돈=시간 ㅠㅠ)..
마지막에 부동산 매매가의 절대가가 높지 않으니 싼 물건보다 투자금을 뭉쳐서 좀 더 좋은 곳에 투자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씀하셨는데, 여러 분들이 공통적으로 하시는 말씀인 듯 합니다.
예전 투자자들의 투자금을 보면 지금과 너무 괴리가 커서 힘이 빠질 때가 있습니다.
부동산 투자 필독서 30(레미앙)
<아기곰의 재테크 불변의 법칙>- 아기곰, 아라크네, 2017.05.
102페이지: 주식시장은 본인이 직접 투자를 하지 않으면 잃을 게 없다. 시장에 참여한 사람들 간의 경기이다. 그러나 부동산은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시장 참여자가 되기 때문에 저자는 부동산 투자를 공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내가 집을 사지 않는다고 해서 부동산 시장을 모르고 살 수 없다는 의미이다. (....) 부동산 공부는 내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반드시 공부해야 하는 분야임에는 틀림없다.
지금 당장 내가 투자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해서 부동산 공부가 의미가 없는걸까?
그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를 공부해야할까, 주식과 부동산을 비교했을 때 주식이 더 내게 나은 투자방식이 아닐까 고민이 다시 시작된 건 사실이에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더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려 합니다.
일단은 이번 주 과제를 완수해야 겠어요.
댓글
수하123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