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반 1기 1단 가자! 2번달도 임장3매경조 민듕] 2주차 강의 후
2주차 강의를 통해 실질적으로 신도시의 투자 접근 방법을 알 수 있었습니다. 현재 임장하는 지역을 강의 해주셨는데 해당 지역에 대한 입지분석을 이미 끝냈지만 멘토님의 지역 이해도 수준이 정말 깊다는 것을 강의를 통해 느꼈고 덕분에 제가 놓친 부분과 얼마나 넓게 봐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해당 지역의 가치가 내가 생각하는 것 보다 그 이
[신투기 1기 1단가자! 2번달도 임장3매경조 민듕] 1주차 강의 후
BM> ㅇ 현재 앞마당과 비슷한 가치를 가진 서울 내 앞마당 단지에서 땅의 가치를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비교평가 ㅇ 얼마나 더 오를까에 집중하지 않고 어디가 더 싸고 투자기준에 들어오는가에 집중해서 비교하기 ㅇ 지방처럼 신축이라고 무조건 우선순위에 놓고 보지 않기 (시간이 지나도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입지를 가졌는가) ㅇ 교통 인프라 유무에 따라 우선적으로
[지기19기 임장3매경에빠져0혼을담은조 민듕] 최종 임장보고서
결론 부분 아직 미완성이지만 보완예정입니다 한 달간 함께해주신 지기 19기 분들과 30조 분들 고생많으셨고 감사합니다 ♥
[지기 19기 임장3매경에빠져0혼을담은조 민듕] 4주차 강의 후기
bm > 지역/입지분석에서 무엇을 봐야하는지를 알고 투자적관점으로 정리하기 > 입지분석 양과 질 모두 연결지어 지역별 특징 정리 > 상위 입지를 가졌다 하더라도 그 안에서 선호도에 따라 투자 결정의사는 다르게 나뉜다. 무조건 상위입지라고 다 좋은 거라는 판단을 내리지 말자 지기 마지막 4주차 강의가 있었습니다. 4주차로는 게리롱 튜터님 께서 진행해 주셨는데
[지기19기 임장3매경에빠져0혼을담은조 민듕] 3주차 강의 후기
BM > 지역분석과 입지 분석을 통해 가설을 세우고 비교, 검증하기 > 생활권별로 특징을 가진 입지요소 정리하고 지역사람들의 수요가 어디로 움직이는지 단지별 비교하기 > 연식과 입지별로 생활권마다 투자범위 어디까지 봐야 하는지 원페이지 정리 > 절대적 저평가 시장에서는 투자금이 아닌 선호도를 우선순위로 판단해야 한다 벌써 3주차의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