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마련중급반 13기 73조 민트하우스] 내집마련 중급반 3주차 과제
(민트하우스) 최고의 내집마련 프로젝트 3주차🏠 1. 매물 임장 후 느낀 점 현재의 거시적인 상황과 부동산 시장을 고려했을 때, 급매를 잡을 수 있는 (혹은 급매 수준의 낮은 가격) 좋은 시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워크인으로 방문했던 부동산의 매물이었음에도, 저층이긴 하지만 일주일에 거쳐 최초 호가의 4천만원 인하까지 제안받았다. 내 예산 범위는 아니고 강
3주차 강의후기
지역별로 더 많은 집을 볼수록 오히려 선택지가 많아지는 데서 오는 답답함이 생겼었다. 최선의 선택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막막했다. 그 답답함과 막막함을 해소할 수 있는 기준을 세울 수 있는 강의였다. 물론, 내가 캐치하지 못한 예측하지 못한 호재의 영역에서 내 선택의 결과가 최선은 아닐 수 있을 수도 있지만 이는 내 예측의 영역이 아님을 받아들였
(민트하우스) 최고의 내집마련 프로젝트 2주차🏠
1. 내집마련 후보 단지 5개 단지 입지표 정리 2. 내가 고른 단지 2곳 현장 방문 후 느낀점 작성 청량리 홍릉 동부 세대수 적은데도 전고점 9억대 찍음. 맞은편 청량리 하이루체 760세대 입주 후 어느정도 환경 개선될 것으로 보임 동호수별로 언덕 차이가 심하지만 정문/후문 각각 버스노선의 이점이 있어 확인 필요 22-23년도 거래 많지 않은 걸 보면 실

2주차 강의후기
수식처럼 대입하기에는 각 지역의 특색이 너무나도 다름을 알게 되었다.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기준이 존재한다. 서울/수도권의 전 지역을 당장에 살펴보기는 불가능하겠지만, 언젠가 두고두고 볼 수 있는 바이블로 활용할 계획이다. 지역이 달라도 전고점 8억대는 전세 5억정도에서 키맞추기가 형성되고 있다던가 하는 공통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투자자는 가수요의
[내집마련중급반 13기 73조 민트하우스] 내집마련 중급반 1주차 과제
내 기준을 갖는다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30%에서 40%까지 전고점 대비 하락했던 시점에 누군가는 손을 놓고 있었고, 누군가는 기회를 잡았다. 이후에도 관심지역에 꾸준한 시세 트래킹과 내 기준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언론에서는 거시적인 부동산 흐름만을 다루기 때문에 몰랐던 부분을 캐치할 수 있었다. 같은 구 안에서도 어떤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