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21회차
https://naver.me/5fIfpWJ3 -부동산 양극화가 심해지는 가운데 정부의 부동산대책이 나왔다. -미분양 아파트를 구입하면 1가구 1주택 특례와 주택 수에서 제외 시킨다는 것이다. -기사에서는 실수요자를 고려하지 않은 내로남불의 대책이라고 꼬집고 있다. -강남의 일부 단지를 제외하고는 금관구, 노도강 및 경기권의 아파트들도 대부분 하락하고 있다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20회차
https://m.mk.co.kr/news/economy/11247402 -과천 임장 경험은 없기에 경기도인 과천의 집값 상승률이 서울보다 높은 이유가 더욱 궁금해진다. -과천의 집값이 고평가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비교 평가를 위해 비슷한 입지의 다른 지역 아파트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나의 투자 기준은 좋고 비싼 아파트가 아닌 가치에 비해 저렴한 아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19회차
https://naver.me/5gFZYiyY -땅의 가치를 판단할 때 우선 순위로 교통이 언급된다. 강남과 주요 업무지구까지의 거리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기사에서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추진으로 인한 수혜지역에 대해 다루고 있다. 새롭게 생기는 교통호재는 아니지만, 상습 정체 해소, 여의도 업무지구 도착 시간 절반 단축, 단절된 지역을 연결, 공원 등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18회차
-부동산 투자와 관련없는 이 기사를 읽으며 문득 내가 임장보고서를 작성했을 때의 모습과 닮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목적과 목표의 차이를 통해 그동안 나는 임장보고서를 목적이 아닌 목표로 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넣어야 할 내용을 찾고 페이지를 채우면서 잘 안되지만 잘하고 싶었고. 근사한 결과를 만들고자 했다. 그것 자체가 목표가 되지 않아야 함을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17회차
https://naver.me/I55zOVMr -서울 전세가가 올라 세입자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기사이다. -전세 상승분에 대한 대출 이자와 월세 비용이 거의 비슷하다고 한다. -결국 방법은 대규모 공급이 이루어지는 입주장이나 서울 와곽 또는 경기로 밀려나게 될 것이다. 서울에 내집마련을 하고 싶은 수요자들의 모습과 비슷한 것 같다. -반면 투자하기에는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16회차
-서울 집값이 오를 때 외곽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은 주로 임차인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집주인이었다면 가격이 오르는 상황에서 굳이 경기나 인천으로 갈 이유가 없을 거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다만 구축 아파트에 살고 있던 경우 신축으로 옮기기 위해 갈 수는 있을 것 같다. -서울의 구축vs 경기도 신축! 항상 고민되는 부분이지만 입지를 우선적으로 살피는 것 꼭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15회차
-소액 투자자에게 전세가율은 정말 중요한 것 같다. 현재 시점은 전세가율보다는 전고점 대비 하락률을 더 주목해야 한다고 하지만, 매매가가 많이 떨어졌어도 나의 투자금 범위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매매가는 하락했지만 전세가가 상승하지 않아 갭이 크다는 기사를 보기도 했다. 전세가율이 꾸준히 올라 68%까지 상승했다고 하니 주목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14회차
https://m.mk.co.kr/news/economy/11242164 -예전 창업 1순위는 치킨집이었던 것 같다. 요즘은 카페가 바통을 이어받은 느낌이다. 두 집 건너 한 곳이 커피 전문점인 듯 하다. -창업하는 대다수는 장사를 처음 해본 사람들일 것 같다. 프랜차이즈가 많아진 것은 그 영향이 아닐까. 예전 창업 박람회에 갔을 때에도 상담 받는 대다수가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13회차
"주차 좀 제발"…건강 위협 받는 노후 아파트 저층 입주민들 [오세성의 헌집만세] 출처 : 한국경제 | 네이버 - https://naver.me/GeUEBrEm -아파트 시세 조사 시 1~3층 가격은 제외하곤 한다. 로얄층에 비해 사생활 보호가 어렵고, 조망 및 일조 정도에 있어 불리하기 때문일 것이라 추측했다.주차 매연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고려하지 못했다
[레츠두잇]신문 읽기 100회 도전 #12회차
-서울의 강남권인 잠,삼,대,청은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발표로 집값이 들썩이고 있고, 반면 대구는 악성 미분양과 공인중개업소의 줄폐업 그리고 건설 관련 업체들의 경영악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양극화가 이런 것을 말하는 것일까? 과연 서울 또는 서울/수도권과 그 외의 지역의 격차가 더 심해지는 것은 아닐까? 이제는 되는 곳만 되기에 결론적으로 현명한 판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