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강의후기
적용할 점 1. 투자 우선순위 결정. 임장 후 생활권(또는 동)에서 사람들이 거주하고 싶어하지 않는 동네 우선순위에서 제외하기 각 동별로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파트 리스트업 신축/구축 색깔 등으로 구분 제3자의 눈으로 비교평가 해볼 것! (재건축, 200세대 미만, 80년식 아파트, 고가 아파트 투자 우선순위 제외) 적용할 점 2. 전세가 비교 매매가 뿐 아
결국해내는 사람들의원칙 - 독서 후기
책 제목 :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 저자 및 출판사 : 앨런피즈&바바라 피즈, 반니 읽은 날짜 : 2024-02-06~02-21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명확한 목표설정 #시각화 #구체적 긍정적 확언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목표를 설정하고, 시각화 하고, 스스로 가능하다 믿는
실전준비반 2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50기 40조 히소]
2주차 강의는 임보작성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이 담겨있었습니다. 재수강을 해보니 초수강때는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이 새롭지만 더 잘 들어왔던것 같습니다. 임보를 통해 지역의 선호 생활권과 선호 단지를 고르고 가치를 파악하여, 가치대비 저평가된 물건을 고르는 것 하락장이나 보합장에도 던지지 않고 믿고 가져갈 수 있는 물건을 고르는 것 같은 투자금으로 더 좋은 물
실전준비반 1강 강의 후기 [실준반 50기 40조 히소]
재수강이라서 조금 더 수월할 것 같았지만, 강의 내용이 조금씩 달라져 마치 초수강 같았던 2번째 실준반입니다. 첫번째도 나름 열심히 들었다 생각했지만, 2-3달동안 매일 시세만 시켜보던 광명을 임장할 생각에 더욱 투자자에 가까운 시선으로 강의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더욱 행운은 자모님께서 제가 임장지로 선택한 광명을 알려주셔서 아주 집중해서 들을 수 있었습
열반스쿨 중급반 3강 강의 후기
사정상 조모임에서 중도하차 한 후 강의만은 끝까지 붙들고 있는 이번달.. 조모임도 끝까지 참여하려면 할 수 있지 않았을까? 너무 빨리 포기한 건 아닐까?... . . 망하는 사람의 특징, 척 한다 공부하는 척, 임장가는 척, 임보쓰는 척 뜨끔했다 정말. 편하게 살려고 하지 말자. 컴포트 존에서 벗어나자 생각만 하지말고, 행동하고 실천하자 방법을 아는 것보다
열반스쿨 중급반 1강 강의후기[열반스쿨 중급반 33기 103조 히소]
실준반을 마치고 생긴 고민, 지방투자 vs 수도권투자 ! 이번 강의를 듣고 투자 방향이 조금 더 명확해 진 것 같습니다. 내 투자금으로 먼저 봐야할 곳이 어딘지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전세가율 60% 이상, 강남 1시간 이내 갈 수 있는지! 아직은 전세가율이 상승이 미비하여 투자 적기라고 볼 순 어렵지만, 더 적은 투자금으로 투자 할 수 있는 시기는 가까워
실준반 2강 강의후기 [실준반 47기 95조]
1주차 강의를 들으며 나름 열심히 입지분석 임보를 작성하였다 하지만 임보 각 항목이 무슨 의미인지 어떤 해석을 해야하는지는 도통 감이 오지 않았다 밥잘님 강의를 들으며 하나의 데이터로 어떤 해석을 해야하는지 어떻게 투자에 반영해야하는지 그 데이터들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이제 그것들을 내 것으로 만들고 앞마당을 늘리며 반영하고 생각하는 일이
실준반 1강 후기 [실준반 47기 95조 히소]
실준반에서는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얻어가라! 그리고 나 자신을 칭찬해줘라!! 초보의 임장방법을 알고, 단지대 단지 비교평가 방법을 익혀라, 틀려도 분임루트는 그려보고 고수와의 차이점을 비교해봐라 고수님들과 비교해본 분임루트는 비록 엉망이었지만 지적편집도를 보고 상권을 보며, 학원가를 보며 그려본 첫 분임루트가 대략~ 흐름은 비슷했다는거에 "할 수 있다는
분당구 삼평동 봇들8단지 아파트 수익률 분석 보고서[열반스쿨 기초반 65기 110 히소]
▶ 아파트명 분당구 삼평동 봇들8단지 휴먼시아 준공년도: 2009년 /세대수 447세대 (33평-197세대, 40평-220세대, 47평-30세대) ▶ 위치(지도) ▶ 입지평가 1. 직장 : S - 기준 : S - 종사자 30만 이상, 500인 이상 사업체수, A- 20만이상, B-10만이상, C-10만미만 양적: 성남시 분당구 사업체수 32,971개 / 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