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백수저

레벨

12
팔로워
279
작성한 글
41
댓글
11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279
댓글단 글
34
저장한 글
0
배지
11
추천도서후기
백수저

[백수저] 독서후기 #6- 입지센스

1. 본 것 1부. 왜 지금 입지인가? 낡은 집들이 차례차례 새 아파트로 변신할 채비를 하고 있다. 이런 변화가 나타나는 곳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결국은 환경이 좋고 교통이 편리하며 일자리가 많은 ‘우수입지’라는 것이다. 입지는 낡은 집이 새 집으로 변하기 위해 필요한 절대동력이다. 앞으로 다가올 시장에서는 ‘전국’의 통계 지표가 큰 의미가 없다. 지역별

25.02.26|조회수 14
02
추천도서후기
백수저

[백수저] 추천도서 후기 #5- 원씽

1.본 것과 깨달은 것 <프롤로그> 원하는 일이 어떤 것이든 최고의 성공을 원한다면 접근방법은 늘 같은 방식이어야 한다. 핵심 속으로 파고들어야 한다. ‘파고든다는 것’은 곧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일을 무시하고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만 집중하는 것을 말한다. 남다른 성과를 얻기 위해선 삶에서 도미노 효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 훌륭한 성공은 동시다

25.02.16|조회수 9
03
추천도서후기
백수저

[백수저] 독서후기 #4-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1. 본 것과 깨달은 것 1장.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부동산도 아파트도 물건이라는 사실, 또 자본주의 경제 체제에서 인플레이션은 필연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이에 따라 아파트도 가격이 올라간다. 자본주의와 인플레이션의 본질을 인식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결과가 얼마나 다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돈을 현금이 아닌, 자산으로 바꾸

25.02.12|조회수 18
05
추천도서후기
백수저

[백수저] 독서후기 #2 - 부의 인문학

1. 본 것과 깨달은 것 원리도 모른 채 열심히만 하면 빨리 망할 뿐이다. 돈의 흐름을 꿰뚫어 보는 통찰이 없다면 성공은 우연일 뿐 절대 반복되지 않는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모든 학자를 우리는 언제든 만날 수 있다. 그들의 통찰력을 빌려서 투자한다면 훨씬 쉽게 큰 그림 안에서 성공할 수 있다 => 거인의 어때 위에 서면 돈의 길이 보인다고 한다. 그 거

25.01.14|조회수 29
02
추천도서후기
반드시 해낸다

[반드시 해낸다] 부의 인문학

책 : 부의 인문학 지음 : 우석 읽은 날짜-종료날짜 : 24.12~29~25.01.04 핵심키워드 3가지 1) 사업가와 월급쟁이 보다 땅주인이 더 부자가 된다 2) 서울과 지방 부동산은 양극화 될것이다 3) 슈퍼스타 도시 서울을 투자해라 기록할점 1) 튀어난 인재들이 특정 지역과 도시로 몰려드는 이유가 있다 ① 우연이다. 첫발을 디딘 인재는 자리를 잡는

25.01.05|조회수 25
12
지역분석보고서
사라스

[서울투자기초반 22기 36조 사라스] 1주차 임장보고서 입지분석

25.03.11|조회수 28
04
지역분석보고서
화려한달

대전시 서구 임장보고서 [실전준비반 65기 12조 화려한달] - 3주차

와…..76개 단지분석 정말 완료하자라는마음으로 했네요 ㅠㅠ 예상소요시간 180분이라고 하셔서, 금방끝내려니했는데… 하루에 180분씩 5일 꼬박한것같아요.

25.01.24|조회수 46
06
지역분석보고서
백수저

대전시 서구 임장보고서 [실전준비반 65기 12조 백수저]

25.01.24|조회수 13
04
실전투자경험
사라스

너나위 보거라! 샤이 월부인이 내마기 1번, 내마중 3번 듣고 지방에서 서울 상급지로 갈아탄 후기

드디어 목표하던 투자를 하셨나요? 🎉🎉 투자를 축하드립니다! 게으른 월부인, 이제서야 1호기 이벤트를 핑계삼아 반쯤 써놨던 서울 1급지 아파트 투자 후기를 완성해 봅니다. 월부입성(23년 9월) 저는 지방광역시에 거주하고 있고, 은퇴하면 서울에서 살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생애주기(?!!!) 상 3년 뒤에 서울 갈아타기 하고 지방에서는 전세 살거나 혹은

25.06.13|조회수 99
48
  • 1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