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억 벌게 해준 가계부 (무료로 나눠드립니다)
1편을 안보신 분들은 먼저 1편부터 보고오시면 아래 글을 읽는데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https://weolbu.com/s/E28nGeCm0A 흙수저가 어떻게 9년만에 20억을 모았냐구요? 송구하지만,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그냥 열심히 벌고, 모으고, 불리는 걸 꾸준히 반복했을 뿐… 특별한 노하우는 없습니다. 2016년도 가계부 시작할 때 저희

[토리센세] 나의 첫 번째 내집마련 보고서 완성
1️⃣ 열심히 작성해본 내집마련 보고서의 1주차부터 3주차 발(현장임장 후기) & 최종 판단 PART까지 작성 완료합니다. 이후 PPT & 엑셀 파일 모두 양식에 맞추어 (과제 가이드대로 작성) 모두 캡쳐하여 이미지를 첨부해주세요! 2️⃣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내집마련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 & 확언을 작성해봅시다. 나는 한달에 재테크관련 책을 한권 이

[토리센세] 내집마련 기초반 1주차 / My Dream House Project (드림하우스 프로젝트) 🏠
1️⃣ 내가 원하는 드림하우스는? 2️⃣ 드림하우스 프로젝트 플랜 (로드맵) 3️⃣ 3.3.3 계획표 ‘임장’ 칸 → ‘3개 구’ 작성하여 계획표 캡쳐 후 사진 업로드
[현실적인 내집마련 프로세스의 방법] – 내집마련 기초반 1강 후기
✅ 인상 깊었던 내용 내집마련 시기를 판단할 때 단순한 체감이나 분위기가 아니라, PIR과 전세가율 같은 객관적인 지표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 PIR이 10이면 비싸다고 생각했지만, 과거 서울 아파트 평균 PIR이 12.2였다는 점을 통해 오히려 낮은 수치일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 점. PIR 12 이하, 전세가율 60% 이상일 때가 내집마련에
멀리 간다는 목표로 뒤늦게 완강
60초반의 나이에 노후 준비하겠다고 강의 듣기를 결정했는데 젊은 분들과 빨리빨리 못 따라가서 속상할때도 있네요. 하지만 끊임없이 ‘잘하는 것보다 완료에 중점을 두라’- 는 말씀 때문에 위안을 얻으며, 멀리 가기 위해 느리더라도 천천히 완강 중입니다. 이제 늦었지만 임장보고서도 써보려고요. 그리고 뒤늦은 공부인데 어찌 이렇게 재밌는지 모르겠네요. 아마 내 생
실전준비반 1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64기 70조 토리센세]
✅️1강 키포인트 정리 임장보고서를 처음부터 [완벽]하게 하려하지 말고, 10장이든 20장이든 한번 [완료]해보는 것을 목표로 하자. 투자자로서 첫 발을 내딛은 것에 의미를 두자 앞으로 아파트에 대해 평가할 때는 ‘좋네’, ‘별로네’와 같은 이분법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우선순위]라는 키워드를 항상 기억하며 ‘A보다 더 좋네’, ‘A보다 덜 좋네’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