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도민에 대한 모든 것
에어비앤비에 대해 몰랐던 자료들을 상세하게 알려주신 강의였습니다. 처음부터 어떨것을 준비해야할지 막막했던 저에게는 아주 도움이 된 강의였습니다.
성취한 것처럼 느껴보자.
지방투자기초 17기 마지막 강의 지역은 작년에 제가 직접 앞마당을 만들었던 11지역과, 11지역과 밀접한 22지역이었습니다. 11지역은 중소도시라고 하기가 무색할 정도로 인구수가 절대적인 곳 이었습니다.(울산과 비교를 하기위해 간 곳입니다.) 중소도시지만 막상 가보니 지역내 위상을 느끼기에 충분 했었습니다. 금번 강의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시세트레킹을
[지기 17기_17조_대릉원] 3주차 임보(단지분석)
배울점이 너무 많은 강의였습니다.
망구99님으로부터 지방 중소도시 두 곳에 대해 잘 배웠습니다. 한 곳은 지금 제가 거주하는 지역과 비교적 가까워 몇주 전 분위기임장을 마친 곳이었고, 사실 다른 한 지역은 인구수 대비 별로 관심 없던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인구수도 그렇지만, 지역이 가지고 있는 폭발적인 흡수력, 선호도, 일자리, 소득 등이 그 도시를 분석하고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도록 만
대구광역시 달서구 임장보고서 [지방투자 기초반 17기 17조 대릉원]
정말 중요한 강의 챕터
금번 강의를 듣고, 지방 임장에 대한 레벨이 한층 up 되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지금까지 그래도 적지 않은 곳을 임장 하면서 현장의 단지들을 바라보며, 궁금하고, 고민 되었던 부분들이 싹 정리되었다. 특히 여태 앞마당이었던 단지들을 다시 재조명해 봐야겠다고 느낄 정도이다. 강의는 버릴 부분 없이 모두 피와 살이 되는 강의였다. 특히 지방 단지 구축을
중소도시 투자기준을 확실히 배웠습니다.
금번 강의를 통해 중소도시 두 군데를 배웠습니다. 물론 B지역은 2023년도 여름에 진지하고 치열하게 앞마당을 만들고 매물을 털어보기도 한 지역이기도 해서 더 귀에 쏙 들어왔습니다. 개인적으로 광역시도 가보고, 중소도시도 가봤지만, 금번 강의를 통해 지역별 중점이 제 머리 속에 잘 정리가 된 것 같습니다. 특히 첫 번째 강의에서 현 시장의 공급을 바라보는
[지기 17기 1어나 얼른 임장 7ㅏ야조_대릉원] 1주차 임장보고서(대구 달서구_~지역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