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돈의 속성
2. 저자 및 출판사: 김승호
3. 읽은 날짜: 2023.5.6-5.13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52p. 빨리 부자가 되려면, 빨리 부자가 되려 하면 안 된다]
#차근차근 #종잣돈과 경제 용어
부자가 되려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빨리 부자가 되려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부자가 되기 가장 좋은 나이는 50세 이후다. 부는 차근차근 집을 짓는 것처럼 쌓아나가야 한다. 돈을 버는 기술과 모으는 능력, 유지하는 능력, 쓰는 능력을 골고루 배우려면 시간이 걸린다. 빨리 부자가 되려는 마음을 버리고 종잣돈을 마련해 복리와 투자를 배우고 경제 용어를 배워 금융문맹에서 벗어나야 한다.
[162p. 돈을 다루는 네 가지 능력]
#버는 #모으는 #유지하는 #쓰는
1.돈을 버는 능력-급여 수입, 근로 소득으로부터 독립이 필요함
2.돈을 모으는 능력-자산의 균형, 세밀한 지출 관리 능력, 재정분리, 돈에 대한 올곧은 태도
3.돈을 유지하는 능력-재산을 지키는 것, 통찰과 거시적 안목
4.돈을 쓰는 능력-검소하되 인색하지 않게, 기한에 맞게 지출, 목적에 맞는 정당한 지출
[205p. 좋은 돈이 찾아오게 하는 일곱 가지 비법]
#기록 #가치있는 것 #포기해야하는 것
1.품위 없는 모든 버릇을 버려라
2.도움을 구하는 데 망설이지 마라
3.희생할 각오를 해라
4.기록하고 정리하라
5.장기 목표를 가져라
6.모두에게 사랑받을 생각을 버려라
7.시간이 많다고 생각하지 마라
[278p. 두량 족난 복팔분]
#기록 #가치있는 것 #포기해야하는 것
부지런히 발품을 팔아 현장에 다녀보고 알아보고 공부해야 한다. 돈을 쓸 때는 냉철하고 이성적으로 판단한 후에 지출한다. 투자를 할 때는 배부르기 전에 일어서는 것이 좋다. 과도한 욕심을 부리지 않는 것이 가장 확실한 이익만 챙기는 것이다. 100분의 1초짜리 전자시계를 가지고 가장 높은 숫자에 정지시켜보려면 100을 넘기기 쉽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부자의 능력을 천천히 갖추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았다. 결과론적으로 부자의 모습이 아닌 과정으로서 차근차근 계단에 오르듯이 쌓아야 부자가 되었을 때도 잘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2. 돈을 다루는 네 가지 능력의 균형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돈에 대한 올곧은 태도로 돈을 벌고 모으며, 유지하고,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단순히 돈을 모으고 써야지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좀 더 돈에 대해 알고 네 가지 능력을 갖추어야 겠다.
3. 좋은 돈이 나에게 찾아오게 하려면 내가 그 돈을 받아들일 만한 자격이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하겠다고 생각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의 일곱 가지 방법을 적용해 인지하고 실천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특히 기록하고 정리, 희생할 각오, 도움 구하기가 필요해 보인다.
4. 과유불급이라는 말과 비슷한 것 같다. 생활습관과 태도, 투자에 있어서 모두 적용해야 하는 말이다. 먹는 것, 자는 것, 소비하는 것, 운동하는 것, 투자하는 것 모두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독강임투인을 매일매일 실천하며 투자 공부 성실히 하기
2. 직장에서 할 일에 최선을 다하기, 절약하며 저축, 투자해 종잣돈 잘 모으기
3. 다른 사람과 약속 잘 지키기. 공중도덕 잘 지키기, 도움이 필요하면 월부카페, 단톡방에 적극적으로 문의하고 나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은 돕기, 투자 공부를 하면서 잠을 줄이고 절약하고 공부 시간 확보하기, 가계부 매일매일 작성하기, 1년 내에 투자하기
4. 과식하지 않기, 사고싶은 것 소비 줄이고 정말 필요한 것만 사기, 몸 상태 보면서 운동하기, 투자할 때도 과도한 이익을 바라지 않고 적정선의 이익을 보면 매도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158) 나의 독립기념일은 언제인가?
(p. 278) 두량 족난 복팔분
(P. 407) 돈이란 노력, 인내, 인정, 희망, 가능성, 보상이란 꽃잎을 가진 수선화이며 그 가운데 평온이라는 방을 감싸고 있다.
댓글
빛나는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