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돈의 속성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돈의 속성
2. 저자 및 출판사: 김승호, 스노우폭스북스
3. 읽은 날짜: 2024.05.07 ~2024.05.11
4. 총점 (10점 만점): 11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 돈은 인격체다]
#돈을 대하는 태도 #돈의 힘 #부자가 되는 세가지 방법
돈을 ‘스스로 감정을 가진 인격체’로 대하며 돈과 함께 사는 법을 배워야지만 풍족한 부를 이루는 데 성공할 수 있다. 다행히 돈은 뒤끝이 없어서 과거 행동과 상관없이 오늘부터 자신을 존중해주면 모든 것을 잊고 우리를 존중해 준다. 작은돈을 절대 함부로 하지 말고 남의 돈을 대하는 태도가 또한 내 돈을 대하는 태도임을 잊지 않는다.
[돈을 다루는 네가지 능력]
#부동산 혹은 주식 #나의 독립 기념일 #경제와 정치적 신념
이 능력은 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유지하는 능력, 쓰는 능력이다. 이는 각기 다른 능력이므러 각기 다른 방법으로 배워야 한다. 소득을 모아 자산을 이루고, 자산이 다른 자산을 낳고 키우며 미운 자산의 규모가 내 노동 급여를 앞지르는 날(개인 독립 기념일)을 이뤄내자.
[직장인이 부자가 되는 두 가지 방법, 그 중 투자]
#종잣돈 1억 #좋은 돈이 찾아오는 법 #부의 속성
임원이나 사장이 되는 방법이 첫째요, 다른 하나는 투자다, 급여의 20%이상을 종잣돈으로 모아 투자를 지속하는 것이다. 직업이 두개라 생각하고 끊임없이 경제를 공부하고 관찰해야 한다. 물가상승률 이상, 평균 주가 지수 이상을 벌어내는 기술을 따로 습득해야 한다.
열심히 산다고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아니다.
돈을 많이 번다고 부자가 되지도 못한다.
부자가 된다고 행복해 지는 것도 아니다.
부는 삶의 목적이 아니라 도구다.
[퍼PER를 높이자]
#강자가 약자의 밥 #쿼터 법칙 #돈을 모으는 네 가지 습관
역사는 약자가 강자를 이긴 기록이다. 흙수저는 금수저를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 강자가 되겠다고 마음 먹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의 경제 활동에서는 자본에서 생긴 돈만이 내 돈이다. 수입은 높지만 낮은 PER를 가졌다면 자신의 생활 수준을 바꿔야 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돈을 모으는 네가지 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꼼꼼히 체크해서 실행해 나가야겠다. 내가 가장 부족한 능력이 버는 능력이니까 이를 키우기 위해 투자 공부 열심히 하자!
2. 능구와 공부 – 능구는 3개월만 무엇이든 꾸준히 하면 본질이 바뀐다는 공자의 가르침, 공부는 사실은 몸의 단련을 일컫는 말로 지속적으로 3개월간 내몸을 단련시키는 일을 해내는 사람은 무엇이든 바꿔나갈 수 있다!! 월부 생활 6개월차로 접어들었는데~~~~우와! 나 정말 무엇이든 이뤄낼 수 있는 사람이야!!!홧팅!!!!
3. 100억을 상속받은 사람이 230만원 급여 생활자와 같다는 엄청난 사실은 내가 사실 100억을 상속받은 사람과 같다는 것!!!!! 이제부터 나는 100억 상속받은 사람의 품격과 태도를 갖추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돈을 모으는 네가지 습관(기지개 켜기, 이부자리 정리, 아침공복에 물 한잔,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기)
2. 시장을 이길 능력이 없다면 S&P500 사라!(VOO나 SPY)
3. 한 달 수입의 80%를 저축할 수 있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386) 난 오늘 언제라도 내 운명을 바꿀 기회가 있다. 돌이켜보면 내 인생을 바꿀 기회는 20대나 30대는
물론이고 40대나 50대도 수없이 많았다. 내 운명을 바꿀 기회를 제한하는 것은 나이가 아니라 스스로의
자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죽지 않는 한 내 운명을 바꿀 기회는 매일 매시간 찾아오고 있기
때문이다.
마음이 일어나지 않은 사람을 바꿀 방법은 없고, 마음이 일어난 사람을 바꿀 방법도 없다. 마음의 변화는
그 인간의 변화다. 마음이 변한 사람은 그 이전의 사람과 다른 사람이다. 내가 내 인생을 바꾸겠다고 마음 먹은
사람은 이미 다른 사람이기에 이전과 같은 인생을 살지 않는다.
댓글
꼭대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