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기 [로나운]


안녕하세요, 로나운입니다.


생애 첫 나눔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멱살잡이 러버블리조장님 너무 감사합니다❤


여기서 잠깐! TMI 지만 "살아남기" 시리즈로 나눔글을 이어가보려고 합니다 :D



오늘은 자본주의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도 비슷하겠지만, 제가 투자를 시작한 것도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함인데요.


그 중에서도 오늘은 "물가(PRICE, 物價)"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저는 물가를 생각할 때 붕어빵을 떠올리곤 합니다.


지난 겨울에 임장하며 붕어빵 많이들 사드셨지요? 얼마 정도 하던가요?


지역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2천원에 3마리면 보통이었던 것 같습니다. 10년 전에는 얼마였을까요?


2014년 1월 기사입니다. 강남 및 여의도는 2013년부터 1000원에 2개로 가격이 올랐군요. 좋은 땅은 논외로 하고,


강북 지역은 10년 전에 1천원에 3마리를 먹을 수 있었습니다. 지금의 딱 2분의 1 수준이네요.


"그땐 그랬지" 하고 넘기시는 분들은 없겠지요?


붕어빵을 예로 들었지만 식품을 비롯한 물가는 계속해서 올랐습니다, 그럼 물가는 언제부터 올랐을까요?



10년 전에도, 20년 전에도 물가가 오른다는 기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4년 2월 기사를 보면 어쩜 인상 사유도 요즘과 비슷하지 않나요?


그렇다면 대체 왜 계속 물가가 오르는 것일까요?


우리가 자본주의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본주의에서는 물가가 상승할 수 밖에 없는데요,


바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화폐 가치는 왜 하락하나요?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가격이 떨어지죠, 돈이 필요량은 일정한데 통화량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사실은 물가가 오르는 것이 아니라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같은 물건을 사는 데 더 많은 돈이 들게 되는 것입니다.


10년 전 3마리에 1천원이면 먹을 수 있던 붕어빵을 이제는 2천원을 내야 사먹을 수 있는 것처럼 말이지요.


그럼 통화량이 증가하는 이유를 앎으로써 자본주의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할 수 있겠군요.



통화량이 증가하는 대표적인 이유로 은행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이 있습니다.


A는 피땀 흘려 번 돈 1백만원을 은행에 예금하고 싶습니다.



A는 은행에 가서 예금을 하였고 통장에는 1백만원의 돈이 찍히게 됩니다.


반대로 B는 1백만원이 부족하여 은행에서 대출을 받고 싶습니다.


은행은 예금된 1백만원을 B에게 대출해줍니다, 그럼 B의 통장에도 1백만원이 찍히겠지요.


이때, A의 통장에서 1백만원이 사라질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걸 신용창조 또는 신용팽창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구조로 매년 돈의 양은 증가하고 화폐 가치가 떨어지며 물가가 상승하는 것입니다.



실제 통화량은 물가지수는 매년 증가해왔습니다.


자본주의에서 물가말고 또 오르는 것이 있는데요, 바로 소득입니다.


물가가 오르기만 한다면 민심이 안좋아지기 때문에 정부는 기업과 함께 소득을 올려주게 되는 것이지요,


이미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 가치는 떨어지는데 소득의 증가는 통화량의 증가를 부추깁니다.


결국 통화량 증가 -> 화폐 가치 하락 -> 물가 상승 -> 임금 상승 -> 통화량 증가, 무한의 굴레가 반복하게 됩니다.



잘 아시겠지만 아파트 전세도 물가와 연동됩니다.


통화량 증가로 인해 화폐 가치가 떨어지면서 건축자재(물가), 인건비(소득)가 꾸준히 상승했기 때문이지요.



지금까지 물가가 상승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현재도 과거에도 미래에도 물가는 오를 것입니다.


소득도 같이 오르니 괜찮지 않을까요?


아뇨, 우리는 소득이 줄거나 소득이 끊기는 시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2023년 말 기사입니다.


노후에 적게는 월 200만원 대, 많게는 월 300만원 대 필요하군요.



간단하게 계산해보았습니다.


노후에 30년 동안 월 300만원 씩 지출하기 위해서는 10억원 이상의 자금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은퇴 시기가 당겨질수록 필요한 자금은 늘어나게 됩니다.


물론 어디까지나 현재 물가 기준이고 20~30년 뒤에는 화폐 가치는 지금보다 하락해있을 것이기에 더 많은 돈이 필요할 것입니다.


붕어빵과 물가지수, 전세지수를 꼭 기억하세요.


퇴직금이나 각종 연금으로 노후 자금이 준비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 준비가 안된다면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요?


제가 너무 현실적으로 이야기했나요? 너무 상심하지 마세요


자동차는 땅에 굴리는 순간 가치가 떨어지지만, 여러분의 실력에는 감가상각이 없습니다, 시간을 들일수록 상승하지요.


게다가 여러분의 은퇴까지 적게는 10년, 많게는 30년이라는 이라는 시간이 있습니다.


여러분의 실력과 시간이 만나면 충분히 노후를 준비할 수 있을 거라고 믿으세요, 그리고 대비하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아침에 읽으신다면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녁에 읽으신다면 편안한 밤 보내세요 :)









좋은 글을 남겨주신 멤버에게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로 감사함을 나눠주세요. 😀

댓글


너츠user-level-chip
24. 05. 17. 23:20

자본주의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과서 같은 글이네요 ㅎㅎ

성윰user-level-chip
24. 05. 17. 23:30

자본주의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글이네요. 붕어빵과 물가지수, 전세지수를 꼭 기억할게요 ㅎㅎㅎ 잘 읽었습니당

찬찬리치user-level-chip
24. 05. 17. 23:47

자본주의 잘 배웠습니다! 나눔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