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아주 작은 습관의 힘 독서후기[열반스쿨 중급반 31기 44조 차정우]

23.09.26

책 제목(책제목 + 저자)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저자 및 출판사 : 제임스 클리어 비즈니스 북스

읽은날짜 : 3.25~26

핵심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정체성 # 과정에서의 행복 # 습관의 중요성

도서를 읽고 내점수는 (10점만점에 ~ 몇점?) : 10점



아주 작은 습관의 힘



[본 것]

p34 대단한 행위가 있어야 성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목표들을 이루려면 어마어마한 개선이 있어야 한다고 자신을 압박한다.


p37 1퍼센트 나아지거나 나빠지는 건 그 순간에는 큰 의미가 없어보이지만 그런 순간들이 평생 쌓여 모인다면 이는 내가 어떤 사람이 되어 있을지, 어ᄄᅠᆫ 사람이 될 수 있을지의 차이를 결정하게 된다.


우리의 삶은 한 순간의 변화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중요한 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습관이 성공으로 가는 경로에 있느냐는 것이다.


[깨달은 것]

그동안 어마어마한 노력, 피나는 노력을 해야지 성취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거 같다. 하지만 그냥 묵묵하게 성실하게

하나하나 작게 노력하는 것이 답인거 같다.

뭔가 거창하게 하려고 하면 자꾸 미루게 되어 결국 포기하게 되었던거 같다.


[적용할 것]

거창하게 하려고 하지 말고 내가 가려는 길에 도달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하는지 분석하고 차근차근 작게나마 해보자



==============================================

[본 것]

p41 잠재력 잠복기라고 부르는 기간을 돌파할 때까지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p43 잠재력 잠복기에서 살아남고, 그것을 돌파할 수 있을 만큼 오랜 시간 동안 습관을 유지하게 해주는 것은 무엇일까?

p44 목표는 우리가 얻어내고자 하는 결과이며, 시스템은 그 결과로 이끄는 과정이다.

p45 더 나은 결과를 내고 싶다면 목표를 세우는 일은 잊어라 대신 시스템에 집중하라

목표는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하며 시스템은 과정을 제대로 해나가는데 필요하다. 그러나 목표를 생각하느라 너무 많은 시간을 들이고 시스템을 고안하는데는 시간을 투자하지 않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p46 우리는 결과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 결과는 문제가 아니다

진짜로 해야 할 일은 결과를 유발하는 시스템을 바꾸는 것이다.

입력 값을 고쳐야 결과 값이 바뀐다.

p47 시스템 우선주의는 그 해독제를 제공한다.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좋아하게 되면 ‘이제 행복해져도 돼’라고 말할 시기를 기다지 않아도 된다. 시스템이 작동되고 있다면 어느 때건 만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깨달은 것]

목표만을 생각하면 해결되지 않는다. 오히려 목표를 향한 시스템(과정)만을 해보자 목표를 향해 잘 시스템이 작동되고 있다면, 즉 과정이 잘 진행된다면

그것만으로도 만족하고 행복을 가져다 준다.

또한 목표달성은 일시적 변화일 뿐이다

예를 들어 몸무게 80kg다이어트 성취는 한순간을 변화시킬 뿐이다. 영원히 개선해야하기 때문에 결과가 아니라 시스템 단계에서 습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적용할 것]

나의 목표(부자, 몸짱, 좋은 인간관계)를 위한 시스템(과정)을 구축해보자

부자 : 주1회 임장다니기, 월 1회 시세트레킹하기, 소득 60% 이상 저축하기,

몸짱 : 소식하기, 국물먹지 말기(당뇨 조심), 주3회 이상 운동하기, 술자리 단호하게 거절하고 제안하지 않기 등

좋은 인간관계 : 먼저 웃으며 인사하기, 아낌없이 도움주기, 경청하고 공감하기 등


==============================================


[본 것]

p52 지속하기 위해서는 정체성 중심의 습관을 세워야 한다.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집중하는 데서 시작한다.

p56 그 습관을 꾸분히 해나가는 건 오직 그것이 자기 정체성의 일부가 될 때뿐이다.

p61 한번의 특별한 경험은 그 영향력이 서서히 사라지지만, 습관은 시간과 함께 그 영향력이 더욱 강화된다. 즉, 습관은 정체성을 형성하는 가장 큰 증거가 되는 것이다.

p64 습관이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우리의 정체성은 습관을 형성한다. 이는 쌍방향으로 작용한다.



[깨달은 것]

습관과 정체성은 쌍방향으로 작용한다.

내가 몸짱이 되고 싶음 -> 소식하고 헬스장 주3회 이상 간다-> 몸짱이 되고 싶다는 정체성 강화 -> 소식하고 헬스장 주3회 이상 이런 식으로 계속 반복


[적용할 것]

내가 원하는 사람, 되고 싶은 사람에 초점을 맞추어 정체성을 만들고

결과보다 과정을 중요시하는

1) 100억대 투자자

2) 건강한 몸짱

3) 좋은 인간관계(남편, 아들, 아빠, 친구, 직장동료)


그에 따른 습관을 실천해보자.


그렇게 습관을 실천하다보면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변화시킬 수 있다.


==============================================

[본 것]

p91 우리는 의식적으로 행동 변화 과정을 시작해야 한다. 의식하지 않으면 변할 수 없다. 새로운 습관을 효율적으로 세우기 전에 먼저 현재의 습관을 파악해야 한다.

p93 습관을 변화시킬 때 가장 큰 어려움은 우리가 실제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인식하지 못하는데 있다. 따라서 ‘확인하고 외치는’ 시스템은 우리 생활에도 필요하다.



[깨달은 것]

내가 하는 행동들에 대해서 인지를 통해 나쁜 습관인지 좋은 습관인지 파악이 필요하다.



[적용할 것]

내가 하고 있는 습관을 정리해보자 그 중에 나쁜 습관은 어떤 것인지 체크를 해보자 평가하지 말고

============================ ==================


[본 것]

p101 일반적으로 무엇을 해야할지 분명하지 않을 때 동기는 결여된다.

p102 습관에 시간과 장소를 부여해 실행 의도를 세워야한다


[깨달은 것]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시간과 장소를 정하여 습관을 만들어보자


[적용할 것]

내가 적용할 것들을 정리해보기

ex) 나는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 핸드폰을 거실에 둔 채 서재방으로 이동하여

스트레칭을 하며 나의 정체성에 대해서 생각하며 오늘 해야할 일 어제 했던 일을 책상에 앉아서 수첩에 정리해본다.

==============================================


[본 것]

p118 우리가 ‘보는’ 것에 작은 변화가 일어나면 우리가 ‘하는’일에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생활 및 직장 환경에 생산적인 신호들을 채우고 비생산적인 신호들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깨달은 것]

좋은 습관을 만들기 위해 주변 환경에 좋은 습관을 유발하는 촉매들을 섞어놓자


[적용할 것]

ex) 점심 식사후 영양제를 먹기 위해 식사 전

영양제를 책상 위에 올려 놓고 식당으로 이동하자


==============================================

[본 것]

p124 내가 발견한 유용한 주문은 ‘한 공간에서는 한 가지 일만’이다.

p125 모든 것이 자기 자리를 지키고, 그 목적에 부합하는 안정적인 환경에서는 습관이 쉽게 형성된다.


[깨달은 것]

소파에서 책 읽거나 ,식탁에서 공부하거나 등 장소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으면 습관도 섞인다.


[적용할 것]

투자공부는 서재에서만

운동은 옷방에서만

잠은 침실에서만

공부하다가 잠깐 휴식은 거실 쇼파에서만 취하자


==============================================

[본 것]

p133 좋은 습관을 불러오는 신호들을 분명하게 드러나게 하고, 나쁜 습관을 일으키는 신호들은 보이지 않게 하라.

[깨달은 것]

나쁜 습관을 제거하기 위해 그것을 유발하는 신호에 노출되는 일을 줄여보자


[적용할 것]

핸드폰 거실에 두고 서재에서 공부하기

==============================================

[본 것]

p143

어떤 행동을 할 가능성을 높이고 싶다면 그것을 매력적인 것으로 만들어야한다



[깨달은 것]

해야 할 일과 하고 싶은 행동 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보자


[적용할 것]


ex) 자전거 30분 타면서 나는 솔로 보기

==============================================



[본 것]

현재 습관을 한 후에 내게 필요한 습관을 한다

내게 필요한 습관을 한 후에 내가 원하는 습관을 한다.


[깨달은 것]

피할 수 없는 행동 패턴에다가 필요한 일을 다하면 원하는 일을 하자


[적용할 것]

(현재 습관) 점심먹고 사무실에 복귀하면

(해야하는 습관)신문을 가볍게 보고

(원하는 습관)낮잠을 자자

==============================================

[본 것]

가까운 사람, 다수, 유력자의 습관을 모방하는 성향이 있다.


[깨달은 것]

좋은 습관을 얻을 수 있는 사람들을 가까이 두고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집단에 들어가고

좋은 습간을 가지고 있는 유력자를 모방하자


[적용할 것]

월부에서 살아남자

==============================================


[본 것]

P175 어떤 습관에 관해 결함보다는 이득이 되는 쪽에 집중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가짐을 다시 설정하고, 어떤 습관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드는 빠르고 손쉬운 방법이다.


[깨달은 것]

좋은 습관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에 초점을 맞추어 해야한다는 생각보다

얻는다는 것으로 초점을 바꿔보자


[적용할 것]

아침에 일어나서 헬스장으로 가야해 라기 보다는

상쾌한 아침에 내 몸을 건강하게 해주고 나를 더 활기차게 해주는 시간을 맞이해보자!

==============================================

[본 것]

P186 계획을 세우고 전략을 확립하고 배우는 것은 결과를 만들어내지 않는다.

계획을 세우고 전략을 확립하고 배우는 것은 쉽다

자신이 그 과정중에 있다고 느끼게 해준다.

계획을 세우고 전략을 확립하고 배우는 것은 뭔가를 했다는 느낌을 준다. 하지만 실제로는 뭔가를 하는 준비를 한 것 뿐이다.


무엇이든 실제로 변화하는 게 중요하다.

어떤 습관에 통달하려면 가장 중요한 건 ‘반복’이다. 완성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반복하라 그러면 된다.


[깨달은 것]

실천을 하자 자기계발서 같은거 그만 읽고 명언 그만 보고 그냥 하자

가장 효율적인 학습 형태는 실행이다. 계획 세우기가 아니다.


[적용할 것]

내가 실천해야할 것(임장, 시세트레킹, 운동) 등을 반복해서 그냥 하자


==============================================


[본 것]

P206

좋은 행동들과 관련된 마찰을 줄여라

나쁜 행동과 관련된 마찰을 늘려라.


[깨달은 것]

좋은 행동을 할 때 많은 노력이 가지 않도록 하기

가능하면 그 일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적용할 것]

운동복, 속온을 미리 운동가방에 준비하여 문 앞에 놓기


퇴근 후 핸드폰은 거실에 두고 서재로 들어가서 투자공부하기


출근 후 핸드폰은 데이터 꺼두고 벨소리로 바꾸고 책상 서랍에 두기

==============================================

[본 것]

P240 좋은 습관의 비용은 현재에 치르며, 나쁜 습관의 비용은 미래에 치른다.

P245 보상은 습관을 시작하게 하고, 정체성은 습관을 지속하게 한다.

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일이 즐거워야 한다.


[깨달은 것]

나쁜 것을 알지만 뇌가 어쩔수 없이 좋은 기분을 따라가는 것은 어쩔수 없다.

[적용할 것]

장기적으로 보상을 주는 습관에는 즉시적인 기쁨의 조각들을 덧붙이고 그렇지 않는 습관에는 고통의 조각들을 덧붙이자.


운동하면서 또는 운동 후에는 20분간 나는 솔로 시청

그 외에는 핸드폰을 거실에 놓고 서재로 가서 투자공부

==============================================

[본 것]

때로는 제대로 하지 않은 운동이 가장 중요해지기도 한다.

0으로 만들지 마라 손실이 그동안의 성과를 먹어치우게 두지 마라


[깨달은 것]

꾸물거린 날들, 제대로 하지 않은 운동들은 계속해서 이전의 잘한 날들, 좋은 날들에 일어났던 일들과 혼합된다


[적용할 것]

하기 싫더라도 깨작거리더라고 0으로 만들지 말고 일단 하자

절대로 2번은 거르지 말자

하루 걸렀다면 가급적 빨리 궤도로 되돌아가자

==============================================

[본 것]

누군가가 자신을 지켜보는 것은 강한 동기가 될 수 있다.

[깨달은 것]

지키고 싶은 습관이 있으면 파트너와 함께하거나 습관 계약서를 쓰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적용할 것]

내가 버려야할 습관, 지켜야할 습관을 정리하여 와이프에게 선언하고

잘 보이는 곳에 써붙여 놓자. 더 이상 부끄러운 남편이 되지 않게

==============================================

[본 것]

P284 모두가 최소한 어떤 노력을 했을 때 자신이 상위 25퍼센트가 될 수 있는 영역 몇 가지를 가지고 있다.


[깨달은 것]

내가 가진 특화된 기술이 있다. 그 기술을 잘 습득하고 활용하여 경쟁력을 키우자

[적용할 것]

내가 가지고 있는 기술,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내는 것

눈치가 빠른 것 등 나의 성격과 재능에 일치하는 습관을 선택하여 노력을 쏟아보자

==============================================


[본 것]

P298 지루함과 사랑에 빠져야한다.


[깨달은 것]

습관이 일상이 되면 흥미와 만족감이 줄어든다. 지루해진다

하지만 전문가는 아마추어와 달리 지루해도 일정에 따라 계속 한다.


[적용할 것]

우선 습관을 만들고 나중에 지루하더라도 따른다.

내가 가장 취약한 쉽게 싫증나는 것.. 이라 하더라도 지루함을 극복해보자

==============================================

[본 것]

P301 숙련에 필요한 건 자동화된 습관과 의도적인 연습의 조합이다.

P307 숙고와 복기는 모든 습관에서 장기적 증진을 돕는다.

P 313 삶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주기적으로 과거의 습관과 믿음이 여전히 자신에게 이득을 주고 있는지를 살펴봐야 하다.

자기 인식 결여는 독이다. 숙고와 복기는 해독제다


[깨달은 것]

좋은 습관을 유지하되 주기적으로 숙고와 복기 해보기


[적용할 것]

매년 매 반기, 매 분기, 매 월말, 매 주 1회

내 자신을 되돌아보고 잘 살고 있는지 살펴보자




댓글


차정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