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이번 2주차 강의는 식빵파파님이 실제 거주하시면서 느낀 경험들과 몇년동안 임장을 다니시면서 배운 지식과 노하우를 한번에 레버리지 할 수 있는 알찬 강의였다
듣는 사람이 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강의를 해주셨고, 강의 하나만 들었을 뿐인데 B지역에 대해 많은 부분을 알게 되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식빵파파님
이번 강의를 통해 새롭게 배우고, 꼭 가져가야겠다고 느낀 것은 다음과 같다
1. 학군지의 판단은?
- 학군지는 학업성취도율이 높은 학교 + 양질의 학원가 + 대규모 택지가 모인 곳이 학군지라는 것을 배웠다
이 3가지의 요소가 있어야 진정한 학군지라고 할 수 있기에 학군지는 쉽게 형성될 수 없다.
이후 다른 지역 임장시에도 학군지 판단시 위에 3가지 요소가 있는지를 봐야겠다!
2. 지방에서의 교통입지는 막강하지 않다
- 수도권에서 교통, 역세권이 가지는 힘은 막강하다. 수요를 이끌어내는 직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방에서는 역세권, 교통이라는 입지가 큰 영향을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방에서의 직장은 아무리 멀어도 자동차로 1시간 이내면 갈 수 있는 거리이기 때문에,
의미는 있으나 수도권처럼 역세권이 막강한 힘을 가지지는 않는다.
지방마다 역세권이 가지는 의미는 다르겠지만, 수도권과는 다르다는 것을 항상 인지하자!
3. 지역만의 핵심 선호 요소를 파악해라
- 지역을 임장할 때 직장, 교통, 학군, 환경, 공급도 중요하지만, 임장하는 해당 지역만의 핵심요소는
무엇인지를 보려고 해야한다.
언덕이 많은 부산은 평지를 선호하고, 평촌과 대구는 학군을 무엇보다 중요시하고, 광주는 브랜드'
아파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투자를 검토할 때 입지요소인 직장, 교통, 학군, 환경, 공급 + 해당 지역에 핵심 선호요소도
같이 생각한다면 보다 좋은 투자를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지역을 임장할 때 그 지역만의 핵심 선호요소는 무엇일지를 생각하도록 하자!!
4. 저가치를 어떻게 판단하나?
- 공부를 하면서 저평가와 저가치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건지 너무나도 궁금했던 부분인데,
드디어 궁금중이 풀렸다!
저가치는 과거 가격의 흐름을 분석하며 판단할 수 있다.
상승장에 과거 전고점을 뚫지 못하거나, 전세 그래프가 일자로 가는 단지들은 저가치일 확률이 높다는 것!
그 이유는 저가치 단지는 수요가 많지 않기 때문에, 가격 상승의 힘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제 저평가인지 저가치인지 헷갈리는 단지가 있을 때는 과거 그래프를 보며 판단하도록 해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