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디데이입니다 :)
지기 2주차 강의는 A지역을 뿌숴주신 식빵파파님의 강의였씁니다~!
너무 정리를 잘해주셨고, 집중이 잘돼서 끊을 수가 없었어요ㅠㅠ
수요일 또 쉬는날인 덕분에 하루만에 완강했씁니다 (휴일최고)
이번 강의를 통해서 A지역의 공급에 관해서
생각외의 다른 해석을 들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A지역은 인구가 많으므로 수요가 많아서,
특히나 공급 해소가 매우 빠르고 반응 역시 빠르게 온다는 것에서
공급에 대한 리스크가 엄청 크진 않을 수도 있겠구나.
트래킹을 해보면서 반응이 언제부터 올까? 하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깨달은 점과 적용할 점 5가지는 ~!
■ 깨달은 점
1.A지역은 14.2만명이 B지역으로 이동해서 일을 한다.
2.A지역은 이렇다 할 대기업은 없어 총 생산은 낮지만, 소득이 높다
3.A지역은 중심지 이동 + OOO대로 접근성이 중요한 포인트이다!
4.지하철 사용빈도가 적지는 않지만, 역세권이 수도권만큼 중요한 포인트는 아니다.
5.A지역의 B구는 300세대 이상 넘어가면 학교를 지어야하기 때문에, 300세대 미만인 아파트가 많다.
■ 적용할 점
1.구별 랜트마크 트레킹, 전세 트레킹을 해보자! 그러려면 A지역의 B구 C구 앞마당 필요할 듯
2.A지역은 특히나 신축 기준을 좀더 높게 두자
3.전세가율,투자금만 보지 말자. "나라면 전세금 올리면서 까지 계속 살려고 할까?" 질문!!
4.남은 공급들의 위치 분석해보자. 어느 곳에 공급이 들어오는지? 어떤 영향을 끼칠지?
5.학원가가 100개 이상이면 입시까지 무조건 책임지는 곳!!!! 시간될때 지방도시에 그런곳이 있는지 한번 찾아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