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3주차 조모임을 하였습니다.
약간은 어색했던 조모임 첫 OT때의 5월초가 엊그제같은데 벌써 세번째라니
개인적인 사정으로 충분히 조활동을 못했지만 시간은 참 잘 지나고
우리 조원들은 각자 자리에서 묵묵히 직장과 투자공부를 하고 계셔서 저도 다시 힘을 내야겠다는 원동력을 받을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이번 3주차 독서모임은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라는 책을 가지고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주제 1 책을 읽고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무엇이었나요? 왜 그것이 인상 깊었는지 이야기 나눠봅시다 ]
다람지니 : 아는 것에 멈추지 말고 반드시 이를 실행에 옮겨라. 될 때까지 한다. 조급함을 버리고 매일 해야할 일을 묵묵히 해나가는 것이 성공하는 것이다.
씽씽곰탱 : 부동산 투자의 기술적인 부분과 마인드 적인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한 것.
투자의 이유 첫 번째는 노후 준비이다. 두 번째가 경제적인 내용이다. 돈을 벌면 웅장한 계획을 세웠으나 노후준비가 우선이고 경제적 자유나 풍요로운 삶은 선택사항이다. 노후준비는 생존이고 필수이다.
우부양 : 돈을 쓰는 두가지 방식은 생산자산과 소비자산이다. 종잣돈을 모아서 사치품을 사는 경험 등이 있다. 종잣돈을 모아서 생산자산을 사야겠다고 생각함. 저금리상황에서는 예금통장도 소비자산이기에 우리는 종잣돈을 가치있는 생산자산으로 바꾸어 놓는것이 중요하다.
루트버드 : 정보대칭과 전세금 레버리지 때문에 부동산 투자를 선택함. 월급쟁이로는 부동산이 효율적인 투자처. 노후준비는 부동산으로 길게 가야 한다는 것이 인상깊었다.
여름여름 : 아는 것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투자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해라. 기회는 오늘도 새롭게 탄생한다. 늦었다는 생각보다는 내 기회를 잡기 위해 노력을 해야겠다.
[주제2 내가 투자를 시작하게 된 계기나 순간이 있었나요? 어떤 상황과 마음으로 시작하게 되었는지. 초심을 나눠보자 ]
[주제 3 투자할 종잣돈을 모으기 위해 지출 통제는 중요한 부분이다. 각자 종잣돈을 모으기에 어려움을 겼었던 경험이나 종잣돈을 모으기 위한 나만의 노하우가 있다면 이야기 해보자]
두 주제를 가지고 하나로 연결지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다람지니 : 상승장에 모두들 청약에 당첨되는 데 내 집하나 없을 때... 자산이 거의 없음을 체감하게 됨.
우부양 : 21년까지 이어져 온 불장에 달려들면서 돈을 모을 수 밖에 없었다. 투자를 하게 된 계기였다. 매일 반복되는 스트레스 가득한 이 짓을 60세 까지... 생각하니 답답하다. 내가 주도적으로 내 시간을 살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 자유를 느끼고 싶다고 생각했다.
불장때 사놓은 물건의 잔금을 치루기 위해 다른 지출들은 자연스럽게 포기하게 된다. 저절로 지출을 통제하게 된다. 고정지출을 줄이는 것이다. 알뜰요금제 쓰는 것. 보험료 줄여 놓는 것등이 중요하다.
여름여름: 아이가 생기고 나서 좋은 환경에 살아야 되는데 제 월급으로는 힘들다고 생각함. 지출정리는 조금 힘들다... 식비에서 줄이기. 매달나가는 것을 줄이도록 노력해야겠다.
씽씽곰탱 : 부동산에 피해를 입었었다. 젊을 때 이룬 부는 독이 된다. 어렵게 번 돈을 심하게 날렸다. 소비를 통제한다. 가계부를 쓴다. 복기를 일주일에 한번, 한달에 한번. 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을 구분해서 지출을 하고 있다. 사용함. 장바구니에 담아둔다.
루트버드 : 청약에 관심이 많아서 넣었으나 안되더라. 청약이 된 사람들을 보면서 상대적으로 가난해지는 느낌을 받았다. 맞벌이를 하다가 외벌이가 되었다. 월부 채널을 보면서 괜찮겠다 생각을 하게 됨. 목표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서 스케줄러 사용한다. 자연스럽게 지출관리를 하게 된다. 씀씀이를 통제하게된다. 종잣돈을 만들어 보자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신용카드 쓰는 버릇을 고치려고 노력중이다.
다람지니 : 통장 쪼개기가 도움이 많이 되었다.
[주제 4 저자는 투자를 결정하는 나만의 투자 기준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저환수원리’ 중 나에게 가장 크게 와 닿은 투자 기준은 무엇이고, 저평가된 상태인지 어떻게 알수 있을지 이야기 나눠보자]
대부분의 조원들이 저환수원리 중 저평가를 중요한 요소라고 보았다.
[주제5 투자에는 시간이 걸린다. 부동산 투자를 통해 목표 달성하는 기간을 얼마로 생각하고 있나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에서 조급함이 들었던 순간 어떻게 조급함을 다스렸던 경험이 있다면 나눠보자.]
다람지니 : 20년을 생각한다. 1호기 투자를 할 때 조급함에 매수함.
급함을 다스리지 못함.
여부인 : 지방을 먼저 공부하고 투자하려고 한다. 강의를 들으면서 조급함을 내려놓게 되었다. 장기목표는 10년을 생각한다.
씽씽곰탱 : 게리롱님 강의에서 몰입은 하되, 과몰입은 하지 마라. 조급함도 경험해 보면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배우는 것이 있을 것이다. 투자는 죽을 때까지 할 것이다. 눈을 떴을 때 경제신문을 보고, 투자는 습관처럼 자기발전으로 이어나가고 싶다.
루트버드 : 30대 초반이 월부에 들어왔다는 것이 대단하다고 생각함. 목표달성기간은 가치를 제자리 찾아가는 기간을 생각해보면 5-10년은 생각해 본다. 지금 조급함을 다스리는 경험을 하고 있다.
우부양 : 지금이 조급함을 다스리는 기간이라고 생각한다. 수도권에 기회가 오고 있는데 팔고 올라가야 하는 것이 아닌가? 목표하는 금액에 매도한다는 저와의 싸움? 시험을 해보고 있다. 강의를 듣거나 책을 읽으면 조급함이 많이 다스려진다. 10년의 목표를 벌어놓음. 평생 투자를 하고싶다.
댓글
오늘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좋은밤 되세요💙
우부양님 충분히 잘하고 계십니다.^^ 할 수 있는 부분에서 애쓰시고 있잖아유~